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7/30 23:41:48
Name Cherry
Subject 큐리어스 와 KOR. 그리고 T1의 우승횟수는 ? ?
사실 작년부터 궁금하던 겁니다.  

작년에 드디에 프로리그가 1년단위리그로 개편되며,

팀 프로스포츠의 모양새를 갖춰가더니.

올해는 드디어 정식으로 통합된(어거지로 되긴 했지만....)  

권위있는 리그로 거듭났습니다.  

그런데 과연 위의 팀들의 우승횟수는 몇회일까요 ?  

2004 2라운드 우승팀 큐리어스와  

2004 3라운드 우승팀 KOR.  

그리고 에버컵 우승(당시 동양,이걸 T1의 우승으로 봐야하는가...?)과  
이번에 2005 1라운드 우승을 차지한 T1.  

하지만 프로리그는 1년단위 리그.

연말 그랜드파이널로 최종 우승팀을 가립니다.  

2005 프로리그는 K리그와도 굉장히 흡사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번 전기리그에서 부산이 우승했습니다.(맞나...? 인천이라고 들은거 같기도...)    
하지만 후기리그가 지나고, 연말 통합 플레이오프에서 부산이 우승을 못한다면 ?  

1~2년 후, 부산이 2005년 K리그 우승했었어 ?
라는 물음에 아마 대부분이 '아니다'라고 대답하겠죠.(혹 매니아라면...;;;)  

그럼 여기서 프로리그로 넘어가 봅시다.  

1년단위 리그로 개편되며 본격 팀 프로스포츠를 선언한 프로리그.  

작년엔 3라운드를 거치고, 그랜드파이널로 최종 우승팀을 가렸죠.

결국 1라운드 우승팀 한빛이 통합우승을 차지했습니다.    

그런데 과연 라운드 우승을 우승으로 공식기록해도 될까요 ?  

아니, 오해하진 마시고...  

그냥 프로필이나 팀 소개에서 뭐 2005 1라운드 우승, 2004 2라운드 우승... 등등

이런건 얼마든지 써넣을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프로리그가 자리가 잡혀가고, 공신력있는 팀 프로스포츠로 자리를 잡게되면

혹시나 지금의 매직앤스처럼 팀 로고에 프로리그 우승 횟수에 따라
별을 넣는 게 관례가 될지도 모르죠.    

그럼 라운드 우승으로도 그 별을 기록할수 있게 될까.... ?  
하는 겁니다.    

어찌보면 라운드 우승은

마지막 그랜드 파이널로 가는 과정일 뿐, 우승은 아닌걸까요 ?  

그래도 모든 팀들을 제치고 한 우승이니 별을 달수 있을까요 ?  

K리그를 보면 안될꺼 같기도 하면서

지금 분위기를 보면 될거 같기도하고....

어떻게들 생각하시나요 ?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7/30 23:43
수정 아이콘
KTF 별의 의미는 우승을 20번 했다는 의미 아니었던가요.
we get high !
05/07/30 23:44
수정 아이콘
그냥 글쓰신분의 말씀대로
2004 프로리그 1라운드 우승
2004 프로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
이런식으로 불러도 크게 무리는 없을 것 같아요~
그래도 가장 권위 있는 우승은 그랜드파이널이 아닐까요?
무우도사
05/07/30 23:44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전 케이리그엔 관심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지금 스카이 프로리그의 우승은 라운드 우승정도로 치부하기엔 그 비중이 너무 크다고 봅니다..
먹고살기힘들
05/07/30 23:45
수정 아이콘
그랜드 파이널이 끝나기 전까진 공식적으로 유효한 우승이겠죠.
그 이후로는 생각하기 나름 아닐까요?
랩퍼친구똥퍼
05/07/30 23:45
수정 아이콘
전 로열로드한 게이머들의 우승 횟수와 로열로드를 하지못하고 우승한 게이머들의 우승횟수의 차이궁금한... 로열로드를 한 우승자중에서 로열로드우승 한번 이후 우승 못한 게이머가 있는지도 궁금한...
05/07/30 23:46
수정 아이콘
통합리그라는데 의미가 크죠
05/07/30 23:46
수정 아이콘
아니 KTF 별은 20번 했다는 의미이긴 한데요....(그중 18번이 이지훈선수라죠?) 나중에 프로리그가 공신력을 가지게 된다면요. KTF처럼 별을 다는게 유행할지도 모르고 그럼 그 별은 아마도 프로리그라는 공신력있는 리그를 기반삼아 달게 되겠죠. 그런걸 얘기하는 겁니다.
무우도사
05/07/30 23:47
수정 아이콘
그랜드 파이널은 웬지 약간의 왕중왕전 성격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마치 임요환 홍진호 김동수 조정현 등이 대결했던 왕중왕전 처럼 말이죠
무우도사
05/07/30 23:47
수정 아이콘
KTF 스타관련 별 두개가 이윤열 선수의 과거 파나소닉 우승하고 홍진호선수의 스니커즈 우승인가요?
05/07/30 23:49
수정 아이콘
스타 관련은 이윤열 선수의 파나소닉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과 이윤열 선수의 베스킨라빈스배 KPGATOUR4차리그의 우승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FreeComet
05/07/30 23:52
수정 아이콘
스니커즈우승하기 전에 만든거죠. 몇개는 아마 지금은 없는 이윤열선수의 다른 우승일겁니다.. 나머지는 전부다 피파우승-_-;;
Grateful Days~
05/07/30 23:58
수정 아이콘
그랜드 파이널이 더 예우받아야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이미 정규리그-플레이오프의 관문을 통과한 팀입니다. 그랜드파이널이 오히려 제외되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램은 있습니다.
이희락
05/07/31 00:01
수정 아이콘
그랜드파이널은 정규리그보다는 이벤트성이 조금 있어 보입니다.
아침해쌀
05/07/31 00:04
수정 아이콘
그랜드파이널이 이벤트성이라;;;
원가스울트라
05/07/31 00:20
수정 아이콘
사실 KTF가 스타로 우승한건 이윤열선수랑 홍진호선수(거의 이윤열선수)밖에 없고 다른건 전부 피파의 반칙왕이라는 닉을 달고있는 선수(맞나?)가 우승한 겁니다. 스타는 레드나다의 저주때문에 우승을 별로 못했죠.
05/07/31 00:23
수정 아이콘
인천이 맞습니다..

이지훈 선수가 그렇게 반칙을 많이 하셨나요?? 충격 ; ㅅ;
05/07/31 00:26
수정 아이콘
전기리그는 부산이 우승햇는데요 ?
05/07/31 00:26
수정 아이콘
단 1패로 우승햇엇는데 ㅠ
나쁜테란
05/07/31 00:42
수정 아이콘
네..부산이 우승했죠.
안티벌쳐
05/07/31 01:12
수정 아이콘
역대 최강의 팀인 'IS'가 가장 많은 우승을 했죠.^^
동양,4U,SK텔레콤,KTEC,플러스,투나SG,팬텍앤큐리텔이 모두 이팀의 코치진과 선수에서 파생되었으니까요.
05/07/31 10:26
수정 아이콘
그랜드파이널이 이벤트성........ 전 각 라운드별 우승팀을 모아놓고 플레이오프를 거쳐서 하는 그랜드파이널이 가장 권위있고 인정해줘야한다고 생각하는데요
다크아칸의공
05/07/31 16:34
수정 아이콘
그랜드파이널 가장 권위가 있는 리그?라고 할수 있겠죠...
근데 저번에 한빛 선수들도 말했듯이 약간 긴장감도 떨어지고
아무느낌도 없다고 하셨듯이..저도 개인적으로 그랜드 파이널이
상당히 긴장감 넘치고 뭐 그렇지는 않아 보입니다...짧아서 그런지는
몰라도..1라운드 2라운드 리그처럼 진짜 긴박하게 막판에 승,패,세트
다 따져가며 뭐 이기고 지고 결국 다 이기고 결승이다! 하면 정말
가슴 설레고 그러겠죠 뭐...근데 어쨋든...그랜파이널 입니다..선수들도
그랜드파이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 하죠...가장 권위있는 대회는
그랜드 파이널이고...그렇다고 라운드 결승을 무시하거나 우승으로
치면 안된다는건..좀 아닙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789 스타를 접어야겠습니다. [5] 8사랑4468 05/09/25 4468 0
16787 공동인터뷰를 할 경우.. [5] Heartilly4846 05/09/25 4846 0
16786 WCG 한국대표 결정전을 보고 있는 중입니다. [24] silence5263 05/09/25 5263 0
16785 [긴급속보] 최홍만 레미 본야스키와 맞대결... [88] 초보랜덤7133 05/09/25 7133 0
16782 플러스팀 연패 행진中? [7] 요쉬5150 05/09/25 5150 0
16781 [잡담]2001년 나만의 최고 신인가수. [30] Daviforever7017 05/09/25 7017 0
16780 '던전&파이터'를 아십니까? [12] 넨네론도5851 05/09/25 5851 0
16779 조금 쉬렴.. [10] Timeless5377 05/09/25 5377 0
16778 e-Sports는 이렇게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10] snookiex4552 05/09/25 4552 0
16777 화제의 문희준 4집을 들어봤습니다. [117] 포르티8775 05/09/25 8775 0
16776 저그 최초우승은 누구인가?(수정) [54] 몽상가저그6676 05/09/24 6676 0
16774 달려라.. 박지호.. [10] 블러디샤인4521 05/09/24 4521 0
16773 지구인, 생선 굽기, 귀찮음... [16] 총알이 모자라.4861 05/09/24 4861 0
16772 프리미어리그 맨유 vs 블랙번 박지성 선발출장! [24] 두번의 가을4945 05/09/24 4945 0
16771 드라군의 쉴드 감소 분만큼 HP로 증감한다면..? (공상) [29] 망이5006 05/09/24 5006 0
16770 너무 심하게 사랑하면.... 안된다. [20] 못된녀석...5027 05/09/24 5027 0
16769 아칸 합체가 순간이라면 어떨까요 [35] minyuhee5983 05/09/24 5983 0
16768 pgr21로의 도피 [7] 유수e4938 05/09/24 4938 0
16767 왜 김도형해설이 "케리어 가야되요~" 라고언급하는지 몸으로 느꼈네요.. [36] 한줌의재7275 05/09/24 7275 0
16766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 보십니까?.. [47] Marriot Man..5846 05/09/24 5846 0
16765 아무리 방송경기라도 예선은 예선이었습니다. [28] 푸하핫5775 05/09/24 5775 0
16763 악플.... 악플이라..... 무엇이 악플인가.... [49] 홍정석5653 05/09/24 5653 0
16762 esFORCE 7호:'프로'의식 없는 프로게이머 [40] elegance8478 05/09/24 847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