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0/22 09:50:07
Name 총알이 모자라.
Subject 인생의 경험

살아가면서 이런 저런 일을 직접 겪어 보는 게 중요합니다.

성공을 겪어보는 것만큼이나 실패를 겪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실패를 겪고 다시 일어서는 것처럼 사람을 성숙시키는 것도 없으니까 말입니다.

실패를 겪어본 사람은 알 수 있습니다.

자신감은 자만으로 빠지기 쉽다는 것을,

실패를 딛고 일어서 본 사람은 알 수 있습니다.

아픈 만큼 성숙해진다는 것을,

실패를 교훈으로 삼는 사람은 알 수 있습니다.

성공이란 것도 끝이 아니라 과정이라는 것을,

살아간다는 것은 그리 쿨한 것은 아닙니다.

아무리 멋진 사람이라도 변기에 쪼그려 앉아야 하듯이 말입니다.

그래서 살아가는 건 재미있습니다.

박서는 승리의 기쁨에 취해있을 수만은 없다는 것을 알기에 마음을 가라앉히고 차분한 일

상으로 돌아갈 겁니다.

부산은 아쉬움의 크기만큼 커져버린 자신을 돌아볼 수 있을 겁니다.

박지호 선수는 자신이 승리의 기쁨을 만끽할 마음의 준비가 조금 부족했을 뿐입니다.

이제 그 기분이 어떤 것인지 알기에 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할 수 있을 겁니다.

비가 개인 후 몰라보게 커버린 죽순처럼 박지호 선수의 마음이 조금은 편안해졌으면 좋겠

습니다.

그게 인생의 경험이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와와왕
05/10/22 10:00
수정 아이콘
다음시즌을 기대해봅니다.......박지호 선수 파이팅!
Rocky_maivia
05/10/22 10:04
수정 아이콘
엄재경해설의 말씀처럼 실력은 이미 결승전에 오른거나 마찬가지입니다.
다음 리그에서 또 스피릿으로 치고 올라가자구요.
05/10/22 10:07
수정 아이콘
이병민 선수도 한번의 4강 좌절 이후 결승까지 올라서며 무서운 기세를 뽐냈습니다. 다전의 경기이자 중요한 경기라는 것..그 압박감을 한번 경험한 선수가 얻게 되는 것은 정말 큰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번 경험한 선수만이 높은 곳을 바라보았을때 이루어질 확률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해야할 경기는 수천, 수만번 있고, 스포츠에서의 실패란 다음을 바라볼 가능성을 항상 동반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했으면 합니다.
아케미
05/10/22 10:15
수정 아이콘
결론, 박지호 파이팅!!! (어제부터 계속 이 말만 외치고 있습니다;;)
마리아
05/10/22 10:35
수정 아이콘
어제의 경험은..박지호선수 앞으로의 정말 좋은 경험이 될것 같습니다.
호수청년
05/10/22 10:39
수정 아이콘
Progressing........ 99.9%

스피릿은 진행중입니다.
폭주창공
05/10/22 10:55
수정 아이콘
박지호 선수 아마 더욱더 강해질 것입니다. 박지호 선수도 약점이 분명 존재하고 엄청난 성장 속도를 보이는 선수니까요 ^^ 그리고 이번 4강전도 분명 경험이 있었다면, 다전의 경험이나 결승 무대의 경험이 한번이라도 있었다면 어제 황제의 역전승은 힘들었을지도 모르죠... 이번 패배는 승리 이상으로 분명 박지호 선수에게 많은것을 안겨줬을 것 입니다. 박지호 선수 화이팅 ~
야크모
05/10/22 13:24
수정 아이콘
여담입니다만... ^^
"아무리 멋진 사람이라도 변기에 쪼그려 앉아야 하듯이 말입니다."
유럽 역사에는 이게 싫어서 서서 씻고 서서 일을 봤던 왕들도 꽤 있습니다.
쪽빛하늘
05/10/22 13:31
수정 아이콘
박지호선수 어제 무섭더군요...
제가 이선수를 너무 과소평가했었구나 하는걸 느꼈고 반성했습니다.
바로 다음시즌에 지호선수가 우승을 한다고 해도 절대로 놀라지 않을겁니다~~~
05/10/22 14:41
수정 아이콘
야크모님...동감입니다...

"아무리 멋진 사람이라도...똥꼬가 바지를 먹죠."

힛...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785 휴. 이병민선수.[스포일러 다수] [46] Spectrum..7623 05/10/27 7623 0
17784 김성제 선수.. 당신은 뭔가 특별합니다 [46] 난언제나..6474 05/10/27 6474 0
17783 임요환 선수 플레이, 이제 이해가 가네요 [19] 므흣한오후6050 05/10/27 6050 0
17782 [잡담]그 분을 아직 기억하고 계신분이 있나요? (임요환선수가 아님) [15] 퉤퉤우엑우엑5143 05/10/27 5143 0
17779 김성제vs이병민 2경기 (스포일러 있음) [28] aiur5495 05/10/27 5495 0
17777 방금 김성제vs이병민 2차전 보셨습니까? [93] kama8801 05/10/27 8801 0
17776 임요환...대플토전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 [34] 김호철5163 05/10/27 5163 0
17775 임요환 VS 이재훈 (스포일러 가득) [18] SKY925193 05/10/27 5193 0
17774 이묘환? !+ 김성제!!!!!!!!! [59] 삭제됨6635 05/10/27 6635 0
17773 요즘같은 날이 오기를 얼마나 기다렸는지 모릅니다. [5] laviz4025 05/10/27 4025 0
17771 S급 프로토스로 가는 길 [14] 필력수생5296 05/10/27 5296 0
17769 [펌]나는 서빠다. [15] 토돌냥4464 05/10/27 4464 0
17768 [펌]순희의 동지, 박돌이에 대한 고찰 [13] 토돌냥4950 05/10/27 4950 0
17767 오늘도 멋지게 이깁시다 [23] 난언제나..4336 05/10/27 4336 0
17766 [펌] "나는 잘 모릅니다"의 감동 [13] 소년5217 05/10/27 5217 0
17765 blizzcon invitational starcraft 시드 배정자 [28] Debugging...4721 05/10/27 4721 0
17764 [잡담]순위는 경기분석자료지 경기결과는 아니다-팬택 vs 플러스 [11] Daviforever4570 05/10/27 4570 0
17763 노충국씨의 사망...... [35] 산적4870 05/10/27 4870 0
17762 프로이기 때문에... [234] 스톰 샤~워6274 05/10/27 6274 0
17761 최연성선수가 결승갈경우 나오는 4가지 진기록 [46] 초보랜덤7332 05/10/27 7332 0
17757 SERI에 E-sports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네요. [9] 솔로몬의악몽4364 05/10/27 4364 0
17756 이런 짜릿함에 스타를 합니다. [15] Passion4562 05/10/27 4562 0
17753 '마린의 후회' 들어보셨습니까? [9] 된장국사랑4388 05/10/27 438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