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1/13 05:16:38
Name K_Mton
Subject 차기 시즌과 차차기 시즌을 생각해보면.


마치 질레트배와 에버 2004배 같습니다.
당시 질레트 배는 테란이 무려 8명. 프로토스는 강민, 박정석, 전태규, 김성제, 박용욱 등의 강세라인, 저그는 박성준, 변은종, 박태민 등의 변태준이 초 강세를 이룰 때.
당시의 포스는 프로토스와 저그에게 많이 집중되어 있었는데 저그인 박성준 선수가 우승을 이루었었죠. 이렇게 종족 배분이 한 쪽으로 굉장히 치우친 상황에서의 다른 종족 우승은 차기 시즌을 기대하게 만들었습니다.


에버 2004.
질레트 배 때 출전하지 못했던 선수들.
그야말로 대 호화 대진이었습니다.


우선 스타리그에 진출 실패한 임요환 선수와 홍진호 선수의 강림.
변길섭 선수의 오랜만에 등장, 박성준 선수와 최연성 선수 등의 종족별 새로운 강자들 확보, 사대천왕 및 당시의 테란 3강 등등.

질레트배 이후의 차기 시즌은 정말 많은 팬들이 기대를 했었습니다. 그만큼 명경기도 많이 나오고 비난도 많이 쏟아지던 리그 였습니다.


이제 지금을 생각해봅니다. 차기 시즌.
모든 진출 선수들이 확보된 상황.
질레트배 때처럼 테란 8, 프로토스 5, 저그 3의 대진이 이루어져서 마치 질레트 어개인 같은 느낌이 듭니다. 특히 전 시즌의 우승자가 프로토스였고 전 시즌의 최강세를 프로토스가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면 말입니다(질레트배 때도 강민 선수 우승).


너무 이른 생각이지만 이번 차기 시즌의 우승이 결정 된 후 그 차기 시즌, 즉 차차기 시즌에서는 화려한 대진을 볼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입니다.
박정석 선수와 이윤열 선수와 홍진호 선수가 다시 올라오고 임요환 선수도 잔류, 강민 선수와 최연성 선수와 박태민 선수와 박성준 선수 등이 스타리그에 있고. 거기에 엄청난 포스를 내뿜는 신예들과 중견 및 고참 선수들의 조화.


왠지 저는 차기 시즌보다 더 화려해질 것 같은 차차기 시즌이 기대가 되는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ewModelNo.15
05/11/13 05:23
수정 아이콘
그렇게 된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공정한 과정을 통해 16명을 뽑지만, 그래도 익숙한 얼굴들이 보이지 않으면 많이 섭섭하거든요^^

저 개인적으로 양대 방송사 개인리그 16명에 포함되었으면 하는 선수를 꼽자면.....
테란 : 임요환 최연성 이윤열 서지훈 염보성 이운재
프로토스 : 박정석 박용욱 강민 전태규 김성제
저그 : 홍진호 박성준(pos) 변은종 주진철 강도경

올드게이머들 부활하세요!!
IntoTheNal_rA
05/11/13 06:16
수정 아이콘
강도경선수..ㅠ.ㅠ
올라오기만 한다면 완전 초대박일것 같은데요. 혹시 스타리그 4강까지가면 한빛은 돈문제 완전해결..
제발 내년에는 듀얼에서라도 볼수있기를..
새로운별
05/11/13 06:43
수정 아이콘
다음 시즌에 이윤열 선수가 반드시 올라오리라고 믿습니다
발업까먹은질
05/11/13 07:07
수정 아이콘
테란 -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서지훈 이병민
프로토스 - 박정석 박용욱 강민 김성제 전태규 오영종 박지호
저그 - 홍진호 박성준 마재윤 박태민
토스 왕국을 꾸리자구요~
빛의정원
05/11/13 08:16
수정 아이콘
강민 선수 우승은 한게임배였어요~ 질레트땐 박성준 선수가 우승했죠.
전 본선에 요환선수만 있다면 안 기대되는 시즌은 없네요^^
05/11/13 09:02
수정 아이콘
너무 말이 안되는거같은;;
ghostsun
05/11/13 09:34
수정 아이콘
빛의정원// 질레트배때 그 전시즌 우승자가 강민 선수였다고 표현한 것 같습니다만...
사신김치
05/11/13 10:36
수정 아이콘
묘하게 그때와 맞아떨어지는 느낌..
차차기 시즌에는 화려한 멤버들을 다시 보고 싶네요
시미군★
05/11/13 11:00
수정 아이콘
저는 다필요없고 박경락선수만;;
My name is J
05/11/13 13:57
수정 아이콘
전 한명이면 됩니다...ㅠ.ㅠ
Peppermint
05/11/13 16:43
수정 아이콘
저도 한명이면 됩니다..ㅠ.ㅠ
천재를넘어
05/11/13 23:50
수정 아이콘
전 2명이나 됩니다..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412 초 뒷북, 듀얼전 감상 후기(강민 대 성학승전) [18] 뛰어서돌려차4310 06/01/23 4310 0
20411 PGR21에 처음 입장 하던 날의 기억.. [9] LED_nol_ra3241 06/01/23 3241 0
20410 정말 치트를 쓰는 프로게이머는 없을까요? (글수정, 죄송합니다..) [205] 마르키아르8518 06/01/23 8518 0
20408 팀단위 리그 4:3 명승부 [39] GENE4431 06/01/23 4431 0
20407 눈물을 쏙 빼게만든 드라마가 있습니다.[안녕하세요. 하느님!] [31] 애연가3921 06/01/23 3921 0
20406 그랜드 파이널의 의미 [47] swflying4363 06/01/23 4363 0
20405 1월 26일 개봉작 무극, OTL.... (스포일러 有) [45] ☆FlyingMarine☆4082 06/01/23 4082 0
20403 강남 집값 세금 문제에 대한 저의 짧은 소견 [170] sgoodsq2895230 06/01/23 5230 0
20402 요즘테란들의 Trend, 그속의 이윤열이란 존재 [53] Aqua6858 06/01/23 6858 0
20400 어느 PC방 알바의 넋두리..... [28] 폭룡5009 06/01/23 5009 0
20399 우승에서 멀어진 팀들...(이미지와 전력) [30] mars5006 06/01/23 5006 0
20398 1년전 이맘 때 [3] 백야4377 06/01/23 4377 0
20397 삼성의 준우승...누구보다 아쉬워할 선수 최.수.범 [14] 박기환3956 06/01/23 3956 0
20396 테란핵...어떻게 안됩니까? [27] 청동까마귀4241 06/01/23 4241 0
20395 저는 온겜 옵져버가 더 좋습니다. [83] jyl9kr4219 06/01/23 4219 0
20394 후기리그 결승전을 마치고...여러가지 이야기. [33] Daviforever6434 06/01/23 6434 0
20393 아니겠죠...?? [14] panda3751 06/01/22 3751 0
20392 온겜 옵저버 이대로 괜찮은것인가 [51] Necrophobia5192 06/01/22 5192 0
20391 [잡담] 최고의 수사물 NCIS.. [노 스포일] [14] Grateful Days~3983 06/01/22 3983 0
20390 온겜과 엠겜 화질의 차이 [78] 닭템5595 06/01/22 5595 0
20387 삼우재담초록 -2nd- [7] kikira3119 06/01/22 3119 0
20386 1.13f패치 후 바뀐점.. [8] Deja_Vu4787 06/01/22 4787 0
20385 프로리그 방식을 이렇게하면... [11] 라이포겐4030 06/01/22 403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