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2/01 13:16:17
Name 처음처럼
Subject 속업셔틀과 리콜의 적극적인 활용을 기대해 봅니다
어제 송병구vs전상욱 선수의 경기를 봤습니다..

초중반까지 송병구선수 견제가 좋았는데 중반이후에는 견제가 없더군요..

전상욱선수가 5시미네럴멀티에 커맨드센터를 짓고 있을때 송병구선수가 드래군 질럿 하템으로 공격했지만..무난히 막았을때 이미 전세가 전상욱선수쪽으로 넘어갔다고 생각했습니다..

어제경기보고 이런생각이 들더군요..

속업셔틀과 리콜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보면 어떨까하구요..

속업셔틀은 게릴라에도 좋고, 조이기 뚫는데도 좋습니다..

중반이후에 속업셔틀 3~5기정도 이용해서 테란의 타스타팅멀티나 주병력이 있는 지역에서 먼곳에 드랍하면 좋을것같고..방어가 잘되있다면(테란병력분산..) 테란의 주병력을 없애준다거나 여기저기 질럿+하템으로 일꾼사냥하면 좋을것같네요..(빠른손이 요구되지만 프로게이머이기 때문에 가능할것같네요)

그리고 왜 아비터를 뽑으면 스테시스만 활용할까? 리콜은 사용할수없나?  이렇게 생각했었는데..어제 경기 보면서 테란의 주병력에 질럿을 리콜하면 어떨까하고 생각해봤습니다..

처음에 드래군이 몇대맞아주면서 적절하게 질럿드랍(질럿은 덩치가 적기때문에 아비터한대가 리콜해도 좋을것같음)..나머지 아비터로는 스테시스활용..그리고 뒤에있는 하템의 천지스톰~~

실제로 효율성이 좋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12/01 13:19
수정 아이콘
음 프로게이머 분들도 다 시도해 보셨겠죠..

프로니까요.^^; 아비터든 셔틀이든..

하지만 쓰지 않는 이유가 다 있는 것 같네요. ^^; 좋은 아비터 괜히 안쓸 리가 없잖아요.

아마도 타이밍을 못 찾았거나 프로분들의 수비능력이 너무 좋아졌다든가..

뭐 이런 이유죠.

나중에 쓸만할 상황이 되면 왜 안나오겠습니까.^^
05/12/01 13:22
수정 아이콘
아, 뭐 아비터야 요즘은 쓰지만.. 최근까지도 거-의 안쓰였죠. ㅇ_ㅇ;
My name is J
05/12/01 13:26
수정 아이콘
속업셔틀로 얼마전 서지훈 선수를 이긴 김성제선수가 생각하는군요.
대규모 전투시에 3~4기 분량의 질럿과 드라군이 빠진다면 중앙이 너무 약해지지 않을까요? 테란이 센터를 완전히 장악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셔틀로 질럿 떨구기 대신 리콜이란 말씀이시군요.
하기만 한다면 굉장히 이득보는 전투를 할수 있을것 같기는 합니다.
(역시나 손이 너무 간다는 것이....)
정지연
05/12/01 13:41
수정 아이콘
어제 경기에서 전상욱 선수쪽 미네랄 멀티들 쪽에서 탱크들 잔뜩 얼리고 드라군으로 싸우다 졌을때 그 생각을 해봤습니다. 탱크는 일부만 얼리고 아비터 한기정도는 마나 아꼈다가 탱크들 위에 질럿 한뭉텡이만 리콜시키고 전투하면 어땠을까..? 어제 그 상황에서는 분명 괜찮았을거 같았습니다. 벌쳐가 많았던 것도 아니고 골리앗도 없었는데 말이죠,,
Sulla-Felix
05/12/01 13:53
수정 아이콘
어제 강민선수는 3기의 속업셔틀로 질럿 한부대를 탱크사이에 떨어뜨리면서
대놓고 방어하는 차재욱선수의 수비를 괴멸시켰죠.

어제경기는 송병구 선수의 실수들이 너무 많았습니다.
힘싸움하면서 질럿비율도 낮았고 전투이후 병력충원도
되지 않았고 심지어 캐리어 실수까지..
닥터페퍼
05/12/01 14:05
수정 아이콘
차라리 드라군 위주의 병력이었으면 팩토리 주변으로 리콜했다면 아마 큰 효과를 봤을겁니다. 어제 경기 같은 상황에서는요. 그리고 어제 같은 상황에선 송병구 선수가 아비터만 믿고 질럿 드라군 비율은 지키지 않은채 너무 들이댄게 아닌가 싶습니다.
StaR-SeeKeR
05/12/01 14:18
수정 아이콘
요새는 테크니컬하게 게임 하는 선수들이 적은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자원전 양상으로 가는 게임들이 많아서 물량형이 많은 듯 하군요.
선수의 스타일에 따라 다를 듯...
05/12/01 14:59
수정 아이콘
탱크들이 뭉쳐서 자리잡고 있을 때는 그 위로 질럿을 왕창 리콜하는게 스테이시스 필드보다 효과가 좋을떄도 있습니다. 저도 어제 그 생각을..
05/12/01 15:51
수정 아이콘
아비터 숫자가 적으면 질럿 리콜을, 많으면 필드를 쓰는데 둘다 괜찮은 것 같아요
안티테란
05/12/01 16:02
수정 아이콘
전에 강민선수가 한동욱 선수 상대로 프로리그에서 5마리 이상의 아비터를 활용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에도 역시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스테이시스 필드만 사용하다 손해를 보고 나중에 옵저버를 뽑았죠. 그때야 유리한 상황이라서 그랬다 치더라도...
지상병력이 공격가는 상황에서 스테이시스 필드만을 고집하는 것은 하이템플러로 싸이오닉 스톰 사용하는 것과 크게 차이가 없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어짜피 범위 공격이니까요. 몇 대라도 덜 맞고 사용하기도 쉬운 스테이시스 필드가 효과가 더 크긴 합니다만. 질럿 드래군이 덮치면서 탱크위에 한 대쯤은 리콜해준다면 마인 역대박을 노릴 수도 있을 것 같고 괜찮을 것 같긴 합니다. 다만 어제처럼 넓게 자리잡은 탱크들 중앙으로 돌파하려는 상황이었다면 탱크가 워낙 광범위하게 퍼져 있어서 리콜된 병력도 순식간에 녹아버렸을 것 같긴 합니다. 탱크가 넓게 퍼져있으면 구석 쪽부터 덮쳐야 더 이득을 보는 싸움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05/12/01 16:07
수정 아이콘
광범위하게 퍼진 탱크라인을 보면 정말 한숨만 나오더군요 -_- 공격력 70에 사정거리 12짜리 이동형 성큰콜로니같다는....답은 셔틀질럿 + 질럿 ㄱㄱㄱ뿐일듯
체념토스
05/12/01 17:05
수정 아이콘
안티테란님// 그때 강민선수는 옵저버 뽑을 의도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지나치게 스테이스 필드만 써서 손해 본게 아니라 옵저버를 안뽑고 경기를 하려고 했던거 문제가 아닌가요?

그때 스테이스필드의 과공할만 위력을 제대로 보여주었죠.. 테란의 거의 모든 병력이 얼려 버렸으니..

무슨 하이템플러 인양 데리구 다니는 거 보고 많이 좀 놀랐습니다..

음.. 저도 왠지 초반부터 다수 셔틀을 이용하여 드랍가는 것도 좋을 거 같아요..

김성제 선수가 보여줬었죠 msl에서 다크 사우론 맵에서 다수 속업 셔틀로 좋은 경기를 보여주었죠.. 물론 맵이 좀 넓고.. 그러긴 하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859 스타팬으로서 이것 저것 적어봅니다.. [3] stardom4537 06/02/11 4537 0
20858 Farewell.... 저그대마왕 [2] KTF4059 06/02/11 4059 0
20856 강도경..그를 떠나보내며... [11] 조윤호3967 06/02/11 3967 0
20855 내 기억속에 H.O.T486 [31] onfishing4048 06/02/11 4048 0
20854 미안합니다. 근데 잘 안되네요. [9] My name is J3763 06/02/11 3763 0
20852 떠난 가림토와 남아있었던 포에버... 그리고 뒤바뀌는 운명? [9] 워크초짜6727 06/02/10 6727 0
20851 조금은 낯선 경우...... [20] 狂的 Rach 사랑3765 06/02/10 3765 0
20850 이번 OSL 어떤결승대진을 원하시나요~~~ [69] 초보랜덤4653 06/02/10 4653 0
20849 임요환선수의 문제점. [31] WindKid7876 06/02/10 7876 0
20848 죽음의 듀얼 2R...... 제 2막(B조) [23] SKY924256 06/02/10 4256 0
20847 스타리그 8강 3주차 종료. 듀얼2R 대진표 96% 완성되었습니다. [27] 수경4714 06/02/10 4714 0
20846 요환아 괜찮아! 힘내! [6] 날개달린질럿3804 06/02/10 3804 0
20844 전상욱선수를 프로토스로 잡는길은 엽기전략???&POS 한팀 3개종족의 3개시드 싹슬이 가시화 [38] 초보랜덤5929 06/02/10 5929 0
20843 세상 모든 발컨들의 희망. 세상 모든 플토들의 희망.(오늘 스타리그 1경기 관련) [24] Blind3843 06/02/10 3843 0
20842 e네이쳐는 선수들의 무덤인가? [21] 하얀마음 밟구5834 06/02/10 5834 0
20841 저그의 마지막 위대한 왕을 떠나보내며... [22] legend3669 06/02/10 3669 0
20838 8강에서 4강으로 가는 관문,그 세번째...... [35] SKY923822 06/02/10 3822 0
20837 박지호 선수를 위한 개사곡(?)입니다. [10] Shevchenko3872 06/02/10 3872 0
20836 [RinQ] 다음주부터 펼쳐지는 배틀로얄 프로리그 일정입니다. (일부 공개된 엔트리 추가) [10] 304445547 06/02/10 5547 0
20835 강도경 선수 은퇴 기자 회견에 참석 가능하신 분들의 참석을... [14] homy5353 06/02/10 5353 0
20834 e스포츠를 위해 무언가 하고 싶다. [10] legend4187 06/02/10 4187 0
20832 유학생.외국에서 역사 이야기 좀 그만하자.. [32] 루루4617 06/02/10 4617 0
20831 "사랑을 놓치다" (조금이지만 강력할 수도 있는 스포일러 있습니다.) [7] 전영소년6511 06/02/10 651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