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1/22 00:14:20
Name 낙~
Subject 온게임넷의 준비
처음으로 글을 써봅니다. 사실 제가 하나 준비하려고 했던 글이 있었는데요
에버스타리그때 박성준선수가 우승했었지요 그 당시 피오에스의 팀이름이
정식으로는 이고시스피오에스인데 이고시스가 도대체 멀하는 회사인지에
대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셨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 당시 글을 쓸 자격이 안되는지라
이야기를 못했었지요. 이고시스는 참 자랑스런 회사인데요 (갠적인 생각)
지금와서 이야기하기는 좀 애매하겠죠? ^^;;

양 방송사가 중계를 하였습니다. 평소에 온게임넷 해설을 더욱 좋아하기에
엠게임이 나옴에도 불구하고 온겜을 시청했죠. 그러면서 왔다 갔다 하며 봤습니다.
전기리그 당시 엠게임이 어떻게 중계를 했는지는 모르지만 이재균감독님과
조정웅 감독님 그리고 기존의 온게임 캐스터와 해설진이 진행하는 해설은 색다른
맛이 있었습니다. 평소에 감독들의 생각이라던지 그 밖에 엔트리의 예상등에
대한 생각들. 하나하나 재미있더라구요. 그밖에 인터뷰등등 행사의 주축은
아니었지만 티비를 보는 시청자입장에서는 매우 좋았던 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일 감동받은것은 오프닝이었죠. 엠게임에서도 결승이기에 그러한
부분까지 신경썼으면 어떠했을까 했지만 어쨌거나 두팀의 결승을 위해 조금 바뀐
오프닝을 보게 되었는다. 으아.. 정말 굿 이제 오프닝은 예술이다라는 말을
하고싶을정도였네요.

마지막으로 티원의 우승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김가을감독님의 말대로
후기리그의 주인공은 삼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드라마를 썼어요.
삼성의 준우승 역시 축하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애연가
06/01/22 00:15
수정 아이콘
엠게임은 방송장비하고 결승전 준비하는데도 시간이 많이 부족했을 것 입니다.
못된녀석...
06/01/22 00:15
수정 아이콘
온겜이 준비는 잘해요.
06/01/22 00:17
수정 아이콘
오늘 두팀의 감독을 섭외해서 감독의 심리라던가, 그런 부분은 정말 감탄을 불러일으키더군요. 이재균감독님 너무 귀여웠어요. ^^
그외 감독님들 예상 엔트리등등,볼거리가 많았습니다.
희망의마지막
06/01/22 00:17
수정 아이콘
경기전만 해도, 조정웅 감독과 이재균 감독 보고 자연스럽게 온게임넷을 보고 있게 되더군요.... 결국 '현장감' 덕택에 엠겜으로 넘어왔지만요... 엠겜에게 나름대로 좋은 기회였을텐데, 확실히 잡지 못해 아쉬움이 남네요...
버관위_스타워
06/01/22 00:18
수정 아이콘
오프닝 예술이었죠
06/01/22 00:19
수정 아이콘
근데 에이스결정전 멤버가 정해지고 바로 말씀해주시는
전용준 캐스터가 얄미웠습니다. ㅜㅠ 엠비씨 게임은 정말 멋지게 공개했다는데 ..
Grateful Days~
06/01/22 00:20
수정 아이콘
참.. 준비철저에.. 재밌었습니다. 경기시작전까지는 온겜시청->경기스타트후엔 엠겜을 시청했습니다.
lightkwang
06/01/22 00:21
수정 아이콘
오늘 잭윤 감독님 너무 재밌으셨어요.
"저희 팀이랑 팀플 철의 장막 연습했는데 저는 보지 못했는데 선수들이 대부분 다 이겼다고 하더라구요." -> 경악이였습니다 하하하 더군다나 오늘 결국 철의장막 T1 2패.....
06시즌에 한빛! 다시 살아나리라 믿어요.
이희락
06/01/22 00:22
수정 아이콘
현장감 가득한 에코 가득한 엠겜의 해설과 마치 더리플레이 보는 듯한 느낌의 온겜 해설. 나름대로 골라보는 맛이 있었습니다. 처음에 온겜 해설이 화면이 멀다고 해서 뭔가 했는데 ㅡㅡ^ 평소엔 바로 앞에 모니터 놓고 보는데 오늘은 무대로 나와서 하면서 카메라 쪽으로 모니터를 따로 놓은 것 같더군요. 그래서 화면이 멀리 있어서 유닛 색 구분을 잘 할 수 없었다는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오늘 결승. 첫경기는 못봤지만 재밌게 잘 봤습니다. 엠겜은 현장 중계라는 장점을 활용해 시청자를 늘리 수 있는 기회였을텐데 조금 부족해 보였고 온겜은 방송 준비만 하면 되서 그런지 이것저것 많이 준비한 것 같더군요. 오프닝도 T1과 삼성칸으로 바꿔서 멋지게 해놨고요.
WizarD_SlyaeR
06/01/22 00:27
수정 아이콘
이제 이쯤되니 그 문제의 희제사마의 옵저빙 반전드라마에 대해선 묻혀버리네요. 1경기 아칸의 급습!! 정말 재미있게본 반전드라마였다는..
날아라!드랍쉽
06/01/22 00:31
수정 아이콘
엠겜 해설 오늘 어땠습니까? 전 개인적으로 엠겜으로 보다가 티원이 두게임 지길래, 온겜으로 바꼈습니다. 근데 정말이지... 오늘 해설 놓치는 부분이 많더라구요, 특히 4경기, 스포닝풀...
06/01/22 00:31
수정 아이콘
저도 둘다 번갈아가면서 봤는데 4경기 팀플에서 이재황선수 스포닝풀이깨진 것을 해설자가아닌 조정웅감독이 언급하는 것을 듣고 음... 약간은 그랬어요.. 전체적으로 약간은 온겜은 삼성쪽(?)경향의 해설로 들리더군요.. 저만 그랬다면 죄송요 ㅡ.ㅡ;;
날아라!드랍쉽
06/01/22 00:32
수정 아이콘
아 위의 말은 온겜 해설분들이 많이 놓쳤다는 말입니다...
06/01/22 00:34
수정 아이콘
4경기 스포닝풀 빼고는 .. 온게임넷 모자를건 없어보였는데요 ..
달리 생각해보면 감독님들의 견해 같은걸 물어봐야하고 좀더 여러가지를 생각해가며
해설을 해야했던 상황이기에 오히려 이정도면 우수한 진행이었다고 생각합니다.
06/01/22 00:35
수정 아이콘
날아라!드랍쉽// 엠겜측도 스포닝풀이 깨진건 놓쳤습니다만..;;
날아라!드랍쉽
06/01/22 00:41
수정 아이콘
슈슈//
헉 그랬군요. 양쪽 해설들이 오늘 안하던 실수를 똑같이 했군요~~
Grateful Days~
06/01/22 00:51
수정 아이콘
옵자체가 한쪽에서 한거 아녔나 모르겠네요.
My name is J
06/01/22 00:54
수정 아이콘
옵저버는 달랐습니다.
중간중간 돌려봤는데..다른 화면을 잡고 있는 경우가 있던데요. 주요 교전 장면은 둘다 잘 잡던데요 뭘....
lightkwang
06/01/22 00:57
수정 아이콘
근데 창선해설님 해설중에 옵저버 컨트롤이 이쪽에선 안된다는 얘기가 한번 나왔던거 같은데요? 아닌가요??
이희락
06/01/22 01:09
수정 아이콘
옵저빙은 현장에 있고 중계는 메가웹에 있어서 서로 의사 전달이 조금 늦었던 것 같습니다. 게다가 오늘은 모니터링 화면도 평소와 달리 멀리 있어서 선수들 색 구분에 약간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더군요.
KOOLDOG*
06/01/22 03:26
수정 아이콘
조정웅 감독님이 양방송사 중계진 보다 제일 먼저 스포닝 깨진걸 집어 내시고 발언 하는 예리함이.. 역시 감독님이라 경기 보는 내용이 너무 예리 하십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396 테란핵...어떻게 안됩니까? [27] 청동까마귀4295 06/01/23 4295 0
20395 저는 온겜 옵져버가 더 좋습니다. [83] jyl9kr4279 06/01/23 4279 0
20394 후기리그 결승전을 마치고...여러가지 이야기. [33] Daviforever6482 06/01/23 6482 0
20393 아니겠죠...?? [14] panda3793 06/01/22 3793 0
20392 온겜 옵저버 이대로 괜찮은것인가 [51] Necrophobia5254 06/01/22 5254 0
20391 [잡담] 최고의 수사물 NCIS.. [노 스포일] [14] Grateful Days~4027 06/01/22 4027 0
20390 온겜과 엠겜 화질의 차이 [78] 닭템5662 06/01/22 5662 0
20387 삼우재담초록 -2nd- [7] kikira3185 06/01/22 3185 0
20386 1.13f패치 후 바뀐점.. [8] Deja_Vu4844 06/01/22 4844 0
20385 프로리그 방식을 이렇게하면... [11] 라이포겐4083 06/01/22 4083 0
20384 김정민...- 그랜드 파이널에서의 출전? [58] 사악한인간4742 06/01/22 4742 0
20382 강남은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 합니다. [49] 토스희망봉사4120 06/01/22 4120 0
20381 2005 프로리그, POS 리포트 [7] Blind4313 06/01/22 4313 0
20380 김가을 감독의 테란 딜레마 [32] 청동까마귀5305 06/01/22 5305 0
20379 어제 7경기 음모론은 옵저빙이 한몫 했다. [58] 虛無6915 06/01/22 6915 0
20378 어제 SK T1 vs 삼성 칸 5경기에서요. 한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14] 물빛은어3947 06/01/22 3947 0
20376 2005년 삼성팀의 성적 [10] 소주4223 06/01/22 4223 0
20374 그랜드파이널 4팀의 상성관계 [27] 피플스_스터너5021 06/01/22 5021 0
20373 2005 sky 프로리그의 최고의 히어로는? [20] 가승희4073 06/01/22 4073 0
20372 그랜드파이널 준플레이오프 엔트리 예상 [20] 초보랜덤4176 06/01/22 4176 0
20371 [잡담] 나도 낚시글을 쓰고싶다- [15] My name is J4215 06/01/22 4215 0
20369 프로리그 결승전 1경기 재조명 [8] 김치원4075 06/01/22 4075 0
20368 ◆귀맵 방지의 새로운 패러다임◆ [24] WizarD_SlyaeR4540 06/01/22 454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