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5/31 20:26:44
Name Bar Sur
Subject [잡담] 무심한 눈동자
보르헤스의 《불한당들의 세계사》의 〈부정한 상인 이스트맨〉의 결말에는 이렇게 쓰여져 있다.

신비스럽고 당연해 보이는 종말

1920년 12월 25일, 몽크 이스트맨의 시체가 뉴욕 시의 한 중심가에서 새벽을 맞았다. 그는 다섯 발의 총탄을 맞고 죽어 있었다. 죽음에 대해 무지하고 무심한, 평범한 고양이 한 마리가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그의 주변을 멤돌고 있었다.

--

모든 개연성과 정황을 다 생략해버리고 단지 그 죽음의 단면만을 보여주는 이 장면은 그야 말로 무심한 고양이의 모습과 어울린다. 이 장면에서 고양이의 불길함 따위를 읽어내는 건 상상력의 낭비이자, 지면의 낭비다. 이것 봐라, 이미 낭비해 버리지 않았는가. 이럴 땐 과감히 행간을 건너 뛸 필요가 있다.

어제였는지, 그제였는지, 혹은 아주 오래전, 인문관 2층 출구 쪽의 벤치에 앉아있는데, 그늘이 드리워진 언덕의 대나무숲 속에서 고양이 한 마리가 슬그머니 모습을 드러냈다. 다른 동료가 있는 것도 아니고 뭔가 목적이 있어 갈길을 정해놓은 것 같지도 않은 그 녀석은 느릿느릿 걸음을 옮겨 대나무숲을 빠져나오더니 돌담벽 위에 멈춰섰다. 그 상태로 주변을 쑤욱 둘러보는데, 특별히 사람을 신경쓰는 것 같지도 않았다.

나 또한 녀석의 등장 때부터 녀석을 주시하고 있었기에 우리는 정해진 우연처럼, 눈이 마주쳤다. 아니, 그건 아무래도 내 착각이었겠지만, 체감상 짧지 않은 시간을 그렇게 서로를 마주보고 있었다. 하지만 그게 뭐 어쨌다는 걸까? 우리가 정말 눈이 마주쳤든, 내가 그 눈동자를 계속해서 바라본들 내가 그 녀석에 대하여 알아낼 수 있는 것은 무엇 하나 없다. 그 눈동자가 쉽게 읽어낼 만한 고만고만한 진실을 드러내고 있다면 《살인의 추억》에서 송강호도 고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스트맨이 어떤 직접적인 연유로, 누구에게 죽은 것인지.
영화 속 박해일이 정말로 범인인지.
그 눈을 보고는 읽어낼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밥은 먹고 다니냐?"는 송강호의 물음은 동시에 참을 수 없는 자기물음이 된다.

눈은 관찰의 주체이면서, 때때로 관찰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눈이 눈을 바라본다는 것은 심미적인 관점을 넘어서 불가해한 요소를 내포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특별히 그 무얼 보고 있는지 알 수 없는 무심한 눈동자를 보는 것은 더욱 그렇다. 보통 '본다'라는 행위에는 언제나 '~을'이라는 대상이 따라다닌다. 하지만 대상이 소멸한 그 무심한 눈동자와 '본다'라는 것은 '스스로 본다'는 것에 다름 아니다. 그 지극히 자연스러운 '본다'는 규정되지 않는 세계와 우리의 삶까지도 내포하고 있는 건지 모른다. 그런 눈동자를 바라보는 것은 곧 내가 나 자신에 대해서 묻거나 우리의 삶 깊숙히를 들여다보는 것과도 비슷하다.

먼저 눈을 돌린 것은 나였다. 애초에 눈싸움을 하는 것도 아니었지만, 여러가지 의미로 그 무심한 눈동자에는 당해낼 수가 없는 것이다. 잠시후, 걷는 듯 달리는 듯 흐르는 듯 그 고양이는 돌담 위를 날렵하게 움직이며 내 시야에서 사라져갔다.

나는 무슨 거창한 이유 같은 것 없이 살아있는 것들을 길러볼 생각을 못하는 인간이지만, 고양이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내게는 불가침의 영역이다. 나는 그 무심한 눈동자를 가진 자유로운 고양이들을 좋아한다. 도저히 쫓아갈 수 없도록 계속 도망가 주었으면 한다. 그러다 아주 가끔 눈을 마주칠 수 있다면 그것으로 족하다. 다음 번엔 무엇 하나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그 눈에서 읽어낼 수 있을 것을 희망하면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핏빛파도
06/05/31 20:35
수정 아이콘
혹시 서강대 다니세요?
06/05/31 23:43
수정 아이콘
핏빛파도님 // '네'까지만 말씀드리면 되겠죠? ^^ 역시 대충 두루뭉술하게 묘사해도 아는 사람은 다 아는 모양이네요. 흠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5516 Pgr21 감사합니다. [9] 더블에스오지4585 06/09/09 4585 0
25514 임요환 선수의 행보. 대중의 반응. 갈림길에 선 팬? [20] 프프끄4842 06/09/08 4842 0
25512 포스트 임요환의 조건 [54] SEIJI7279 06/09/08 7279 0
25511 이제 선수들에게 남은 변수 - 온게임넷 스타리그 [12] Sohyeon4212 06/09/08 4212 0
25508 가을이 오고 있습니다. [341] kama8154 06/09/08 8154 0
25506 [소설] 殲 - 9.반복 퉤퉤우엑우엑4422 06/09/08 4422 0
25503 [L.O.T.의 쉬어가기] 사랑이 소중한 이유 [8] Love.of.Tears.5661 06/09/08 5661 0
25501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것. [10] Gentle3870 06/09/08 3870 0
25499 고달프지만 그만큼 재미있는 타국에서 스타보기.. [17] 토마토7개4531 06/09/08 4531 0
25498 [L.O.T.의 쉬어가기] 지금부터 영원까지... [4] Love.of.Tears.6017 06/09/08 6017 0
25497 (프로야구)치열한 우승과 4강 그리고 MVP싸움 [45] 서녀비4224 06/09/08 4224 0
25496 [sylent의 B급토크] '김택용'의 발견(수정#02) [47] sylent9710 06/09/08 9710 0
25495 미국에서..... [3] Means4270 06/09/08 4270 0
25494 [잡담]사랑이 이렇게나 힘들고 어려울지 몰랐습니다. [17] iloveus4437 06/09/08 4437 0
25493 [잡담] 왜 사귀고 , 왜 헤어지나요? [17] 코리아범4535 06/09/08 4535 0
25491 랜파티 피씨방을 구하고 있습니다 [78] 항즐이9924 06/09/04 9924 0
25490 이을용선수의 은퇴 [19] ilikerain5260 06/09/07 5260 0
25486 tossgirl, 여자와 싸우지 마세요... [7] 메카닉저그 혼5350 06/09/07 5350 0
25485 [L.O.T.의 쉬어가기] 눈물과 키스할 때.. [6] Love.of.Tears.6180 06/09/07 6180 0
25482 MSL....... 생존을 위한 처절한 사투! [330] SKY928084 06/09/07 8084 0
25481 프로리그, 사전 엔트리 제출과 대타제도 [10] 후후4906 06/09/07 4906 0
25480 [잡담] 2006. 09. 07 [8] kiss the tears4506 06/09/07 4506 0
25478 [뒷북 후기] 송병구vs박명수. 한 편의 영화같았던 프로토스의 로망. [5] 시퐁5522 06/09/07 552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