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7/12 17:21:31
Name 세이시로
Subject <프로리그를 말한다>-(1)들어가는 말

2003년 출범한 프로리그가 어느덧 햇수로 만 4년째. 2006시즌의 중반을 맞고 있습니다. 1999년부터 시작한 스타크래프트 방송과 프로게임계에 있어 프로리그의 등장은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생각합니다. 이전까지 KIGL, KPGL, KPL, 배틀탑, 한게임 서바이벌 프로리그 등 많은 리그들이 존재했었고, 일부는 온게임넷과 iTV에서 방영을 했었고, 또 다른 일부는 공중파를 타기까지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들 중에 지금까지 살아남은 리그는 없습니다. 모두 2001~2002년을 넘기지 못하고 사라져 버렸지요.

스타크래프트 게임계에 뛰어든 선수들, 그들이 속한 팀, 그리고 기업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선수들이 여러 대회에 참가했고, 또 사라지고 잊혀져갔습니다. 또 많은 팀들이 여러 기업의 지원을 받아 우후죽순처럼 팀이 생겨나던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이른바 '낭만 시대'의 일이었고, 방송 리그가 나날이 인기를 얻어가고 정립되는 한편 또 다른 쪽에서는 더이상 팀으로서, 게이머로서 존속이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 과정 동안 '스타크래프트는 언제까지 갈까?'라는 의문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습니다.

2006년입니다. 매년 나오던 스타는 언제 망하나? 라는 질문에 사람들은 1~2년 내로 망한다, 혹은 임요환 은퇴하면 망한다, 등등의 답변을 했지만, 리그는 계속되고 규모는 커져만 가고 있으며 임요환 선수도 여전히 게이머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을 가능케 한 원동력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앞으로도 전망이 어둡지 않아 보이게 하는 힘은 뭘까요?

개인리그는 크게 변한 것이 없습니다. iTV, 겜티비는 문을 닫았고 양대리그 체제가 확고해졌으나 별다른 차이는 없습니다. 2003년 이후 게임판이 달라지게 한 그 뭔가는 바로 프로리그입니다. 물론 프로리그도 처음부터 지금의 지위를 누릴 수 있을 거라고 모두가 생각지는 않았습니다. 팀리그와 경쟁하던 시절이 있었고, 개인리그에 저해가 된다고 여겨지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프로리그는 양 방송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들여 방송하는 리그이고, 국내에서 가장 상금이 큰 통년 규모의 대회입니다.

지금까지 프로리그가 걸어온 길을 정리해 보고, 현 시점의 프로리그의 위치와 문제점을 점검해 보며,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해 보는 것이 이 글을 쓰게 된 소박한 목적입니다. 며칠동안 몇 개의 글에 나눠 쓸 것 같고,  본문에서는 경어체를 굳이 사용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올드팬들은 과거를 떠올리는 데 많은 보탬이 되어주시고, 비교적 늦게 보기 시작한 분들은 쭈욱 따라와 주셨으면 좋겠으며, 무엇보다 회원분들의 생산적 논의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또 찾아뵙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7/12 17:26
수정 아이콘
기대됩니다 ^^ 프로리그를 2004년부터 접한 저로써는 2003년때 어떻게 진행이 되었고 그때의 스타판은 제대로 알지를 못합니다. 앞으로 나올 글을 통해서 어느정도 판을 이해할 수 있고 주관적인 견해를 쌓아갈 수 있는 좋은 초석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벨로시렙터
06/07/12 17:38
수정 아이콘
이제 06-07시즌 이후엔 CJ라는 큰 기업이 또 스타판에 뛰어들게 되니, 그때되선 어찌될지,, 또 참 궁금한 이야기입니다 ^^
06/07/12 18:31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가 처음 생긴다고 했을 때 얼마나 오래 갈려나 라는 생각을 가졌던 제가 최근들어 부끄러워지고 있습니다. 모든 구단이 스폰을 잡은 이상 이제부터가 진검승부죠~
백두급호랭이
06/07/12 20:22
수정 아이콘
들어가는말 만보고도 기대되는 글이네요. 빨리빨리 보고싶습니다.허허허
마이스타일
06/07/12 21:29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기대되는 연재글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294 오늘의 하이라이트! 1위 쟁탈전!!! CJ VS 르까프 OZ 엔트리!!! [139] SKY925662 06/10/14 5662 0
26293 유지태의 삼풍백화점 발언에 대해.. [53] love7146 06/10/14 7146 0
26289 2006 SKY 프로리그 후기리그 5주차 1경기 SK텔레콤 대 한빛!!!!!!!!!!! [542] 나라8513 06/10/14 8513 0
26288 강남 고속버스터미널을 이전할려고 하는군요. [15] 강가딘6178 06/10/14 6178 0
26287 프로토스의 심시티 [22] 그래서그대는9543 06/10/14 9543 0
26284 [축구] 이번 주말경기 [8] 초스피드리버4369 06/10/14 4369 0
26283 오영종VS김준영 감상.. [10] 제로벨은내ideal5046 06/10/14 5046 0
26281 KBL 2006~2007 시즌 점프볼 D-5 (역대 KBL 관련 기록 포함) [29] Altair~★4655 06/10/14 4655 0
26280 죄송합니다. 공부 열심히 하세요. [13] 두번죽다4527 06/10/14 4527 0
26279 우연히 만난 the marine... [26] 설렁탕5246 06/10/14 5246 0
26278 [파이팅] 염보성 선수 .. 스타리그 멋진 플레이 잘 보았습니다. [6] 견우4310 06/10/14 4310 0
26277 온게임넷 신한은행 스타리그 8강에 대한 기대감 [8] Chris Nam4233 06/10/14 4233 0
26276 Supreme의 엉뚱한 게임토론 - 손노리와 포가튼사가 - [27] Supreme5634 06/10/14 5634 0
26275 스타리그 8강이 모두 정해졌네요. [56] SEIJI7542 06/10/13 7542 0
26274 WCG2006 스타크래프트 조별 선수 [16] LKJ*4936 06/10/13 4936 0
26272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열아홉번째 이야기> [14] 창이♡4457 06/10/13 4457 0
26270 WCG 2006 이탈리아 그랜드 파이널 경기스케줄 나왔습니다~! [26] 구우~5448 06/10/13 5448 0
26269 죽은 천왕의 노래 [3] 포로리4830 06/10/13 4830 0
26268 오늘 드디어 벌어지는 신한은행 16강 최종전! [573] SKY927354 06/10/13 7354 0
26267 스타를 모르는 사람과 나눈 대화 몇토막. [18] 볼텍스4388 06/10/13 4388 0
26266 실시간 서울 교통정보 화면 [11] [NC]...TesTER7395 06/10/12 7395 0
26264 어저께 투니버스 케로로 보신 분 있나요? (수정) [16] 스타벨4537 06/10/13 4537 0
26263 @@ PgR 평점 ... COP 선정 횟수에 대한 간단 리포트 ...! [7] 메딕아빠4773 06/10/13 477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