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18 17:32:30
Name loadingangels
Subject sk 반응 ..그리고 우리도 바로 알자..
이스포츠팬들은 개인리그를 더 좋아합니다 팬층역시 개인리그>>>>프로리그 이고요...

하지만 선수들 에겐 팬들의 관심과 더불어 안정된수입도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연예인 과 프로스포츠스타는 인기와 돈을 먹고 삽니다...

그들은 기업을 홍보하는 효과로

보통 사람은 생각 하지도 못하는 큰 돈을 가져 갑니다...

의사가 되고 변호사가 되더라도 성공한 측에 든 사람들 이라 할지라도

저 두분야의 스타들의 벌이를 이해할수가 없을 정도이죠..

이건 비단 한국뿐만이 아닙니다...외국의 경우와 비교할땐 오히려 한국은 새발의 피 입니다..

일례로 프로야구 선수인 한기주 선수는 19살의 나이에 계약금 만 10억입니다..

프로 스포츠 스타나 연예인 말고 억대 연봉자 집단을 그렇게 많이 본적도 없는것 같습니다..

박찬호 선수의 나이또래에 몇백억의 돈을 버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있을까요? 아니 있을까요??

한 cf 스타의 하루 촬영 몸값이 15억 까지도 간다고 합니다...

기업의 홍보의 대가는 정말 높은 고소득을 보장합니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스포츠판 역시도 넓어졌다는것을 인지하고

이 확고한 팬층이 원하는 방향을 잘 읽는것이 중요합니다..

프로축구나 야구가 그 스포츠를 지지하는 층을 믿고 시작 했듯이...

이젠 알려지는 이스포츠 보다는 많은 이 스포츠 팬들에게 높은 홍보가 되는

이스포츠를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스포츠가 지레 짐작으로...지지기반이 약하다는 분들이 많으시지만...

이나라에선 현재..야구 축구 농구 그리고 스타크래프트가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 입니다..

선수에 대해 경기에 대해 이렇게 커뮤니티가 날라다니고

사실상 스타크 래프트 전용 싸이트인 파이터 포럼(문제는 많지만..발전해 가길 기원합니다..욕을 먹는것도 관심의 표현입니다. )도 있는

이스포츠는 가장 열띠고 젊은 스포츠중 하나라 생각 합니다..

케이블에서 1% 시청률이면 대박 이라고 합니다...

ocn의 배두나 김민준 주연의 45억 대작도 0.5% 를 약간 상회 하더군요...

케이블에서 시청률 최고 스포츠는

이승엽경기도 농구도 야구도 아닙니다...

so1 결승전 이었죠..시청률 3.8% 무려 케이블 점유율은 은 60% 이상입니다...

거기다가 초등학생들의 장래희망 1순의는 프로게이머라고 합니다

ps)결승 한시간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니쏠
06/11/18 17:38
수정 아이콘
최홍만선수 경기가 시청률 40%정도 나왔다고 들었는데 케이블 점유율이었나요?
loadingangels
06/11/18 17:39
수정 아이콘
네..그거 케이블 시청률 입니다...^^

특히나 최홍만 선수의 경기는 그렇게 발표 하다라고요...

mbc espn 이 중계한 최홍만 선수의 2005 k-1 그랑프리 파이널의 전체 시청률은 3.59% 입니다...

엄청난 대박 이었지요....

그와 더불어 so1의 3.8% 가 오늘 깨질 것이냐가 저도 참 참 궁금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154 한동욱.. 그는 왜 항상 멋진조연 역할만 하는가... [25] 박지완5203 07/02/14 5203 0
29153 3종족의 완벽한 밸런스를 위해서.. [23] NavraS4105 07/02/14 4105 0
29152 당신은 더 성장해야 합니다 (최연성 선수 응원 글) [13] Den_Zang4063 07/02/14 4063 0
29149 팬이니까요. [12] JokeR_4604 07/02/13 4604 0
29148 (홍보글) 제1회 win-game 온라인 스타크래프트 대회 [16] 다반향초4196 07/02/13 4196 0
29146 내일모래 대체 뭘봐야 하죠? OSL 4강전 VS W3 시즌1 챔피언결정전 [76] 처음느낌7961 07/02/12 7961 0
29145 e스포츠의 위기? 과거를 생각해보면요.. [19] 타우크로스4821 07/02/12 4821 0
29144 프로 스포츠의 위기! 그렇다면 e스포츠는? [12] Pride-fc N0-14113 07/02/12 4113 0
29143 Give up Progamer [42] 포로리6006 07/02/12 6006 0
29142 프로토스의 한.... [128] 신병국6510 07/02/12 6510 0
29140 조심스레 첫글을 써봅니다. [6] JokeR_4009 07/02/12 4009 0
29139 휴~~ 군대와서 임요환 선수 경기를 옵저버하게 되었군요. [25] 김광훈9032 07/02/12 9032 0
29138 이재훈, 그가 공군에서 완성되길... [10] 리콜의추억4260 07/02/12 4260 0
29137 아직 그들은 죽지 않았다. <5> fOru, 이재훈 [8] Espio4492 07/02/12 4492 0
29136 MSL 테란의 한... [75] 처음느낌6305 07/02/12 6305 0
29135 자리는 그릇을 만든다. [4] Estrela4037 07/02/11 4037 0
29132 현재 MSL 최소,최대로 보는 종족별&팀별 총정리! [3] Estrela4603 07/02/11 4603 0
29131 [설탕의 다른듯 닮은]졸린눈의 마법사, 김환중과 피를로 [39] 설탕가루인형4782 07/02/11 4782 0
29130 박용운 코치의 숨은 능력[반말체] [20] Estrela6084 07/02/11 6084 0
29129 양대리그 차기시즌 맵시스템에 대한 제언. [19] S&S FELIX6138 07/02/11 6138 0
29127 안석열 선수. [28] Finale5668 07/02/11 5668 0
29126 Maestro [10] 수퍼소닉4315 07/02/11 4315 0
29124 강민, '자만'보단 차라리 '실력' [10] 라울리스타5195 07/02/10 519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