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2/07 03:57:57
Name Royal
Subject 가을의 전설?? 겨울의 전설도 있다!!
지금까지 겨울에 열렸던 온게임넷 스타리그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나소닉 이전은 겨울시즌에 대회자체가 안열렸었고...

파나소닉 스타리그  2002년 11월 ~ 2003년 2월  
우승자 이윤열 3 : 0 조용호 준우승자

한게임 스타리그 2003년 12월 ~ 2004년 3월
우승자 강민 3 : 1 전태규 준우승자
3,4위전 나도현 3 : 2 변은종

아이옵스 스타리그 2004년 12월 ~ 2005년 2월
우승자 이윤열 3 : 0 박성준 준우승자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년 11월 ~ 2006년 2월
우승자 최연성 3 : 0 박성준 준우승자




모두 4번 겨울에 스타리그가 있었는데 그중 한번은 플플전이 있었고 나머지 3번은 모두 테란이 저그를 3:0으로 이기고 우승했습니다. 가을의 전설엔 6번중 4번 토스가 우승했네요.

4번중에 3번... 이정도면 앞으로 겨울의 전설이라고 계속 부를수 있지 않을까요?
이번 2006년 겨울 신한은행 시즌3에서 다시한번 테란이 우승한다면 가을의 전설에 이어 겨울의 전설이라고 대놓고 선전해도 될법합니다.

가을의 전설에 비해 겨울의 전설은 그다지 이슈가 안된게 오히려 신기하기만 하네요.
가을의 전설에 가장 큰 피해자가 임요환선수라면 겨울의 전설의 가장 큰 피해자는 저그네요... 모두 다 3:0 압살...-_-;;

p.s 04에버 3,4위전에서 박정석선수가 홍진호선수를 3:2로 이기고 3위를 차지한게 준 가을의 전설로 본다면 한게임배 3,4위전에서 나도현선수가 변은종선수를 3:2로 이기고 3위를 차지한것도 준 겨울의 전설이라고 볼수있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forgotteness
06/12/07 04:18
수정 아이콘
굳이 테란은 겨울이 아니어도 우승을 많이했다는게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 힘든 이유가 아닐까요...
플토는 정말 특정한 시기에 우승이 집중되다보니 가을의 전설 이런식의 의미가 부여된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따지고 보면 테란은 사시사철 안가리고 우승을 많이 차지했었죠...
ataraxia
06/12/07 04:54
수정 아이콘
임요환선수는 '가을의 전설'의 피해자라고 보기보다는 오히려 그로 인해서 가을의 전설이 더 빛날수 있다고 볼 수 있겠지요..^^
진정한 가을의 전설은 임요환선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하핫.
06/12/07 06:03
수정 아이콘
겨울의 전설은 머씨의 전설에 가까웠죠.[?]
목동저그
06/12/07 06:46
수정 아이콘
테란이 계절을 좀 안타는(?) 종족이라;;
bianconeri
06/12/07 08:18
수정 아이콘
머씨의전설..결승 머머전?
06/12/07 08:45
수정 아이콘
겨울의 전설은 머씨의 전설에 가까웠죠.[?] ...(2)
나두미키
06/12/07 10:08
수정 아이콘
겨울의 전설은 머씨의 전설에 가까웠죠.[?] ...(3)
WinsterPP
06/12/07 10:17
수정 아이콘
겨울의 전설은 머씨의 전설에 가까웠죠.[?] ...(4)
탈퇴시킨회원
06/12/07 10:19
수정 아이콘
forgotteness님이 잘설명해주셨듯이, 플토야 워낙 우승하기가 힘들어서 가을의 전설이 특히나 부각되는것이지, 테란이야 겨울 말고도 우승 잘만 하는데 굳이 만들 필요가...
You.Sin.Young.
06/12/07 12:55
수정 아이콘
가을의 전설 이후에 프로토스 잘 나가는 맵이 사라지면 저그가 프로토스 잡아내면서 테란 잡아줄 프로토스가 없어지니 상성상 테란이 이긴다.. 이 정도이지만.. 모르죠.. 사실 이런 이야기한다고 하더라도 선수들의 실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853 다시 돌아올 그들을 믿습니다. [4] 포로리4879 06/12/08 4879 0
27852 드디어 듀얼 마지막조 I조의 경기가 시작됩니다. [190] 팬이야4951 06/12/08 4951 0
27851 엠겜 협회에 드디어 대응하는 건가요? [78] OPMAN5584 06/12/08 5584 0
27850 저그 게 섯거라! 저그의 3대 비기에 대한 파해법 쳅터1! [3] 종합백과4712 06/12/08 4712 0
27849 다크스웜 저글링 너무 사기네여 ㅠㅠ;;; [59] Random8559 06/12/08 8559 0
27847 곰TV MSL 12/7일자 경기 리뷰, [3] 代殺의意味4495 06/12/08 4495 0
27843 최연성이 돌아와야 재미있다. [38] 박대장5517 06/12/08 5517 0
27841 저그 압살이 예상되는 이번 시즌맵들에 대한 불만 [35] 통닭4320 06/12/08 4320 0
27840 맵이야기(2) 2인맵.(쇼다운) [5] 信主NISSI4575 06/12/08 4575 0
27839 복잡하게도 미친 세상 ...[영화 "사이보그지만 괜찮아" 리뷰] [18] Lunatic Love5215 06/12/08 5215 0
27837 맵이아닌 진영수가 아닌 마재윤 스스로 헌납한 경기. [52] 카카루6967 06/12/08 6967 0
27836 저그 대 테란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 [17] 아유4499 06/12/08 4499 0
27835 배부른 저그와 배고픈 소크라테스 [10] happyend4284 06/12/08 4284 0
27834 [실화]제 친구 이야기 [5] 막강테란☆4039 06/12/08 4039 0
27833 롱기누스에서의 저테전...단상 [15] hi4379 06/12/08 4379 0
27832 맵이야기(1) 섬맵.(스페이스 오딧세이를 향해) [2] 信主NISSI4561 06/12/08 4561 0
27831 osl 신한은행2005~시즌2 msl 당골왕~프링글스2..... [24] 워3나해야지4299 06/12/08 4299 0
27830 e스트로의 험난한 개인리그 도전사 [20] 카뮤4155 06/12/08 4155 0
27829 매력없는 팀이 되어버린 T1 [54] 리마리오6524 06/12/08 6524 0
27827 신성등장! 테란진영 새 왕자의 탄생?! [11] 종합백과4472 06/12/08 4472 0
27824 친구와의 종족간 밸런스에 관한 짧은 이야기 [18] Northwind4533 06/12/08 4533 0
27823 오늘 최연성 선수를 보고 느낀점... [7] 뽀록~4806 06/12/07 4806 0
27821 [잡담]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한다. [20] 백승3981 06/12/07 39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