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1 10:22:40
Name 엘런드
Subject 저그 전술의 역사 - 잊혀진, 혹은 진행중인.

안녕하세요. 이전 글에 이어 또 저그 이야기를 올림으로써 저그빠로만 보일까 전전긍긍

하는;; 엘런드입니다. 요새 스타의 외적인 이야기가 많이 올라와서 저는 반대로 내적인

이야기를 써볼까 합니다. 스타가 방송 중계를 시작한 99년부터 지금까지 팬들에게

인상을 심어주고 당시 베넷의 대세;;가 되기도 하던 저그 전술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전술 옆에 옆에 () 는 그 기술을 처음 저-_-에게 보여준 프로게이머의 이름입니다.  

--------------------------------------------------------------------------------

1. 대 프로토스 전

   A. 사우론 저그 (최진우) : 드론-해처리-드론-저글링-드론- 해처리......

      당시 대 저그전 카드가 많지 않았던 프로토스에게는 절망적인 빌드였던 사우론

      저그, 당시 강력한 프로토스 프로게이머들이 무식하게(지금 보기에는) 질럿으로 꼴아

     박고;; 쥐쥐 치던 모습이 눈에 아직 아른 거립니다-_-;  나름 해법으로 저그 본진에

     노가다 질럿 드랍; 하다가 실패 후 안드로메다로 가셨던 프로게이머 분도 계십니다;;

     제가 타임머신을 타고 그 때로 돌아 간다면 그 분께 이렇게 외치고 싶군요.

     "너 지금 리버 무시하니?-_-?"

   B. 악마 저글링 (장진남) : 9 드론 발업 이후 프토 본진에서 무한  깔짝 깔짝.

     일꾼 한마리 잡고 도망, 일꾼 한마리 잡고 도망, 부대 이탈 질럿 한마리 잡고 도망,

     보고 있으면 욕이 입 밖으로 거의 나올까 말까하는 빌드입니다-_-.

     보통은 이런 겐세이 이후 후속타를 못 막아 지는데 우리 김동수 선수는

     그 깔짝 저글링에 일꾼이 거의 다 죽고-_-쥐쥐 친 적이 있죠ㅜㅜ.

     그 때 그의 썩소란... 후..

  C. 본진 5무탈 (?) : 멀티 안하고 본진 입구에 해처리 펴서 방어한 후 본진 가스로 5무탈.

     지금 보면 양민 빌드 같지만 출현 당시는 정말 쇼킹했습니다. 이 빌드를 처음 본게

     게임 큐에서 열린 종족 대항전인가 였는데 이 빌드 가지고 나오신 저그 분이 당대

     최고 프로토스 프로게이머들을 상대로 5연승인가 거뒀죠. 이 빌드가 성공한 이유 중

     하나는 당시 임성춘 선수의 한방 러시가 유행하던 터  "포톤은 다리없는 드라군일 뿐"

    -_-;이라는 마인드로 포톤 보다는 유닛으로 수비하고자 하는 마인드가 강해서 였던듯.



2. 대 저그 전 :  저그 대 저그전은 컨트롤의 발달로 무탈-저글링 전술이 무탈-저글링-스
  
   컬지 전술로 바뀌었을 뿐 충격적인 전술적 실험은 없었습니다. 단 하나를 빼고는=_=.

   A. 섬맵에서 6저글링 러시 (임요환-_-)

   임요환 선수는 전성기 때 승률도 좋았지만 팬들에게 보여주는 경기도 많이 하였습니다.

   이 전술이 나온 경기는 미네랄로 상대와 분리 되어 있는 맵이었는데 상대 저그를 상

   대로 저그인가 랜덤 저그인가를 골랐습니다.  그리고 시작하자마자 미네랄 비비기로

   드론 넘긴 후 상대 쪽에 해처리 건설. 그리고 6저글링 러시 ㅜㅜ. 스타 역사상 가장

   멀리 관광 보낸 경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잠시 잊혀진 상대 선수에게 묵념.


3. 대 테란 전

  A. 버로우 저글링 (강도경) : 9드론 발업-버로우-러커

     일꾼으로 입구 방어 개념이 없던 옛날. 원해처리 저글링 달리면 마린은 배럭 뒤에

     숨어서 저글링을 막아야만 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당시에는 원해처리

     저글링으로 시간 끌다 러커 두마리 나와 끝내는 빌드가 유행이었는데 이를 발전

     시킨 것이  이것이었습니다.  일꾼 죽이고 버로우, 서플라이 죽이고 버로우, 마린

     죽이고 버로우.  일꾼으로 입구 막는 개념이 안 나왔더라면 혹은 패치가 1.07에

     머물러 있었다면 강도경 선수의 별명은 "폭풍 버로우 저그"-_-이 되었을지도;;;

  B. 쌈싸먹기 (강도경) : 러커 히드라 양방 치기

     이 기술은 현재도 앞으로도 계속 사용할 전투 방식일 것입니다. 강도경 선수가

    처음 방송에서 보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지금와서 궁금해지는 건 그럼 이 기술

    개발 전에는 어떻게 싸운 건지요-_-;;;;;;

    히드라가 녹색 침을 퉤퉤 뱉고 포위 당한 마린들이 피흘리면 영락없는 상추 안에

    고추장.

  C. 3센티 드랍 (외국인; ) : 드랍 기술만 빨리 개발 후 러커 본진 투하.

    요새와서는 모르고 있어도 막는-_-;;;;;; 전술입니다만... 한 때는 최강의 필살기였습

    니다. 1.07 시절.. 입구로 러커가 올것인가 드랍으로 러커가 올것인가에 두근두근

   하던 때가 있었죠.  지금의 러커는 SCV도 안 무서워 하지만 예전에는 프로게이머에게

   도 저승 사자였습니다.

   이기석 선수가 낸 책에 보면 러커는 저그의 강력한 기술 중 하나로도 묘사되고 있습니

   다. 일명  

   " 2 러커 러시" -_-;;;;;;;;;;;;;;;;;;;;;;;;;;;;;;;;;;;;;

------------------------------------------------------------------------------

   스타가 시작된 지 거의 10년이 다 되가는데요. 앞으로도 팬들을 즐겁게 해주는

   멋진 전술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요새는 전술보다 그 경기 수준에 감동

   받는 게 많긴 한데 그래도 전략 시뮬레이션의 꽃은 기발한 전략 아니겠습니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로벨은내ideal
07/02/21 10:53
수정 아이콘
오호...그 시절 테란하던 저도 '포토는 못 움직이는 드라군 아냐?' 이렇게 제 친구에게 물었던 적이...
07/02/21 10:57
수정 아이콘
뭐 포톤이 아니더라도 드라군은 자주 못 움직이죠. -_-;;
rebirth4
07/02/21 11:05
수정 아이콘
이기석 선수가 섬맵에서 테란 상대로 보여주었던 초패스트 다크드랍이 생각나네요. 레이스 잘 쓰던 테란인 김동구(?) 선수를 관광보냈던 빌드였는데...

그리고 이기석 선수를 관광보냈던 국기봉 선수의 변형(?) 사우론 전술도 생각나네요. 이기석 선수가 앞마당 먹으면서 백화점식으로 유닛 뽑는 동안 전 맵 다 먹으면서 히드라저글링 들이붓기.

아, 그리고 어떤 외국 플토선수가 테란이 나온 기욤 패트리 선수를 상대로 보여준, 입구 막는 테란의 입구에 파일론 소환 후 질럿 들여 보내기도 생각나네요.

다시 생각하면 미소를 머금게 되는 시절이네요.
마술사
07/02/21 11:09
수정 아이콘
그때도 저런 빌드를 쓴 이유가 있죠.
리버를 쓰게되면 상대의 뮤탈을 당해낼수가 없었습니다.
지금이야 커세어가 있지만 당시 오리지날때는 커세어가 없었거든요.
또한 러커도 없었기 때문에... 질럿러쉬 이후 템플러 혹은 아칸 조합이 저그상대로 최상의 조합이었죠.

물론 브루드워의 등장으루 커세어가 나온 이후 프로토스도 커세어를 사용하는 스플래시토스나 다이내믹토스 커세어다크 등등의 다양한 빌드로 사우론저그를 상대하는 해법을 제시했었죠

9드론 저글링 후 러커패스트나 9드론악마저글링 빌드는, 당시 스포닝풀 가격이 150원이었기 때문에 지금보다 저글링러쉬 속도가 훨씬 빨랐기 때문에 가능한 빌드였습니다. 타임머신 타고 지금 게이머들이 돌아가도 과연 해법이 있을지는 의문이죠..
완성형폭풍저
07/02/21 11:39
수정 아이콘
현재의 저그, 테란선수들이 같이 과거로 간다면 막기 버겁겠지만...
과거의 저그선수들과 현재의 테란선수들이 경기를 한다면...
9드론후 럴커 빌드는 쉽사리 막을수 있을것 같기도....
아무래도 컨트롤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많이 벌어져있지 않은가 생각합니다.
07/02/21 13:04
수정 아이콘
목동저그,경락마사지도 엄청난 포스였던..
콘트롤적인 측면도 그렇지만.. 패치 영향도 컸던것같아요..
스포닝이 미네랄 150에서 200으로 변했다든지..
크로우
07/02/21 13:39
수정 아이콘
최근에 오랜만에 3CM 드랍으로 안전하게 일꾼뒤에 버로우 했는데
럴커 2기가 한부대도 안되는 마린메딕에 허무하게 잡히더군요.. 참 씁쓸했습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421 마재윤과 스타판의 패러다임 [348] 수퍼소닉8728 07/02/22 8728 0
29420 응원글.. 더 많이 기뻐할 수 있게 해줘요 [3] 페트로마르티4454 07/02/22 4454 0
29419 [인터뷰]인투더다크니스에서 아카디아까지... 맵 제작자 송기범와의 인터뷰. 1v [15] Gentle4881 07/02/22 4881 0
29418 차기 시즌 맵제작하시는 맵퍼분들에게 [19] 4497 07/02/22 4497 0
29412 별명논쟁, 논쟁할 가치가 있는가? [95] 아유4320 07/02/22 4320 0
29411 비난받지 않았던 선수가 있기는 있었는지.... [20] 신병국3890 07/02/22 3890 0
29409 마에스트로 - 그 이름을 지켜줘. [27] ㄴㄴㄴㄴㄴ4410 07/02/22 4410 0
29408 공공의 적, 이윤열 혹은 NaDa [90] The xian5946 07/02/22 5946 0
29403 별명.. 그저 별명일뿐인가?? [4] 바람이시작되3913 07/02/22 3913 0
29402 결승전 응원카드 만들어 봤습니다. [1] van4061 07/02/22 4061 0
29401 마재윤이 역대 최고 본좌다!! [30] 더미짱5847 07/02/22 5847 0
29400 구 3대 프로토스, 신 3대 프로토스, 그리고.. [17] 기영우6921 07/02/22 6921 0
29399 별명은 여러가지로 갈라지다가 하나가 앞서가기도 합니다. [5] 랩퍼친구똥퍼4164 07/02/22 4164 0
29396 선수들 별명 만드는것까지는 좋은데.. [55] 카오루6496 07/02/22 6496 0
29394 happyend - 나이더스 커널의 비밀 [54] 김연우7922 07/02/21 7922 0
29391 여러분들은 절대마신 어떻습니까?... (절대마신과 마에스트로의 이미지...) [29] greysea4797 07/02/21 4797 0
29390 호밀밭의 파수꾼 [4] happyend4810 07/02/21 4810 0
29389 저그의 거장, 지금 누구보다도 가장 힘든 전투를 하고 있는 당신께.. [9] 삭제됨4312 07/02/21 4312 0
29388 30대중반에 돌이켜보는 인생속의 게임 이야기 [6] 별마을사람들5011 07/02/21 5011 0
29387 논쟁@토론 그리고 잡다한 이야기 [9] 永遠그후4072 07/02/21 4072 0
29385 마재윤이 마신이면... MSL은 마교인가... [104] woopi6129 07/02/21 6129 0
29384 [잡담]부스걸을 보고싶다 [34] 못된놈4812 07/02/21 4812 0
29383 변형태선수 정말 잘하시네요 [29] 승리의기쁨이4688 07/02/21 468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