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6 23:18:20
Name 삭제됨
Subject 잊혀진 게이머들 - 전설의 저그킬러 김슬기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gainStorm
07/02/26 23:23
수정 아이콘
이런 글이 나오는 이유는... 역시 마재윤 선수의 영향일까요?
07/02/26 23:25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떄문은 아니고... 저 아래 1.07글과 김대건 김정민 선수의 글을 보고 과거의 게이머들이 생각이 나서 적었습니다.
빌어먹을곱슬
07/02/26 23:34
수정 아이콘
sk가 슬기 의 약자인가요 ...?
그랬군요 ..-_-;;
관심이 없어서 생각을 못했네요 '-';
07/02/26 23:36
수정 아이콘
슬기 약자는 아니고 그의 아이디였던 SoulKey의 약자입니다.
Karin2002
07/02/26 23:39
수정 아이콘
계속 연재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이 있네요. 글 잘봤습니다.
EmotionSickness
07/02/26 23:43
수정 아이콘
NPGL 시절 로템 12시 2시에서조차 sk테란을 고집하며 승리를 따내던 모습이 눈에 선하네요. 요즘은 더블 후 베슬 온리 테란이 sk 테란이라 불리고 있지만 오리지날 sk는 패 아카후 빠른 테크를 타는 본진 플레이였습니다. 김슬기 선수의 전성기 시절을 목격한 사람으로써, 쓸데없이 따지는 것일 수도 있지만 엄연히 오리지날 sk가 있는데 방송에서조차 더블 후 베슬 온리 테란을 sk 라고 부르는것이 약간 씁쓸하긴 합니다.
The Drizzle
07/02/26 23:44
수정 아이콘
당시 김슬기 선수가 마린 메딕으로 러커 잡는 모습은 지금 보면 그냥 양으로 막 들이 대는 것 같아 보일 것입니다만, 그때 당시에는 우와~ 하던 모습이었습니다. 러커 두기 때문에 탱크를 뽑아야 하던 시절이었으니까요.

지금이야 SK테란이 정착되고 발전해서 이모습이지만, 당시 SK테란을 보면 참 재밌습니다. 마린 메딕 베슬로 중앙에서 저그와 밀고 당기기를 해주면서 다수 스타포트에서 나오는 배틀로 피니쉬. 사실 SK테란 자체가 자원을 많이 남기는 전략(당시로써는)이었기 때문에 배틀피니쉬가 가능했을 겁니다만 너무나도 어려운 운영이었기 때문에 김슬기 선수가 아니면 정말 하기 힘든 전략이었습니다.
07/02/26 23:55
수정 아이콘
정통파 SK테란은 베슬후 앞마당 -> 끝없는 소모전의 양상이었죠.
지금 생각하면 히럴을 SK테란으로 잡아내기란 정말 어려운일인데(그 시절은 테란전은 곧 히럴이었습니다. 물론 그당시 저그유저들의 수준이 지금보다 너무 떨어지긴 합니다만)아무렇지도 않게 SK테란으로 저그들을 제압하던 그의 모습에서 그가 얼마나 뛰어난 저그전 기량을 갖추고 있었는지 쉽게 짐작할수 있습니다. 방송에서 많은 저그전을 보여줬다면 임요환 선수를 능가하는 저그킬러로 모든 사람들에게 기억됐을텐데... 참 아쉬운 부분입니다.
07/02/27 02:05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상대로는 김동구식 마린+탱크에 의한 벙커링 조이기를 많이 사용했었죠. 근데 컨트롤이 워나게 뛰어났기에 허무하게 무너진적은 없었던것 같습니다.
포르티
07/02/27 02:54
수정 아이콘
직접 본 적은 없는 게이머지만 얘기만으로도 그의 전설을 알 것 같습니다.
일단 혼자 먼저 에게를 외쳐봅니다
남자의로망은
07/02/27 07:56
수정 아이콘
나모모와 게오동의 이름을 이곳에서 듣게 되다니.. 정말 그립군요.
WizardMo진종
07/02/27 09:55
수정 아이콘
저한테 노동드랍을 처음 보여줄 게이머입니다.

꽁안녕
07/02/27 10:33
수정 아이콘
나모모... 그리고 변태 Kkong -_-
서재영
07/02/27 11:51
수정 아이콘
againstorm// 마재윤선수랑은 별 상관없다고 생각되는데여;; 그렇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저뿐인가;;
07/02/27 17:03
수정 아이콘
이 선수의 전략은 참신했지만
강도경을 위시한 히드라+러커 물량이
이 전략을 당시에 사장시켜버렸죠.
히럴은 임요환의 드랍쉽 이윤열의 투팩에 의해
저럴로 바뀌고 디파일러가 등장하면서 다시 히럴이 등장하는 수순이랄까요.
요즘 저 테전은 물량보다 유닛조합이 우선인것 같습니다.
얼굴나무
07/02/28 00:29
수정 아이콘
김슬기 선수가 최연소 프로게이머로 경기출전한 선수 였는데. 작년에 갈린걸로 알고 있습니다. 염보성선수였나요.
깜찍쿄우
07/02/28 02:53
수정 아이콘
질문 하나 하겠습니다. 혹시 김슬기 선수가 꺼+져 란 아이디를 사용한 분 맞습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686 전용준 캐스터께서 요즘 자주 들려주시는 어투 [14] e-뻔한세상6755 07/02/28 6755 0
29684 스타크래프트 삭제된 테란미션 2개. [4] DeMiaN14934 07/02/28 14934 0
29683 마재윤 선수와 관련한 두가지 잡담. [53] 냠냠^^*6407 07/02/28 6407 0
29682 마재윤선수가 신한3차 스타리그 우승으로 달성한 것들 [16] 5412 07/02/28 5412 0
29681 맵밸런스를 어디로 맞추어야 할까? [43] 아유4101 07/02/28 4101 0
29680 마재윤식 저그운영법을 이기려면? [49] Bless4998 07/02/28 4998 0
29679 이윤열의 송양지인(宋襄之仁)??? [36] 발업리버5196 07/02/28 5196 0
29678 마재윤 옹호, 마재윤 추앙을 비판하는 분들이 계십니다만... [9] AgainStorm4777 07/02/28 4777 0
29677 안티 시청자의 마재윤 선수 경기 감상법. [20] S&S FELIX6447 07/02/28 6447 0
29676 마재윤 선수때문에 재미없어지고 있습니다 !? [13] donit24723 07/02/28 4723 0
29675 C&C 3의 데모가 공개되었습니다. [17] papercut5893 07/02/28 5893 0
29674 이 새벽 진영수를 위로한다! [32] Estrela4179 07/02/28 4179 0
29672 결승 보러 갑니다. 그를 응원하러. [16] SKY924002 07/02/28 4002 0
29670 이해해 주세요. [28] 연휘군4279 07/02/28 4279 0
29669 답답한 엠비씨 게임...... [44] 신병국6886 07/02/27 6886 0
29668 마재윤선수 경기의 재미있는 점과 그렇지 않은점. [44] 냠냠^^*5452 07/02/27 5452 0
29667 히어로 팀배틀 프로토스 VS 테란 3경기. 아카디아 2 감상기. [16] SKY926098 07/02/27 6098 0
29666 지금 입소해있는 김환중, 이재훈, 김선기 선수의 모습이 공개되었네요. [13] 풍운재기4636 07/02/27 4636 0
29665 이런이런...오늘 '히어로 팀배틀' 보셨나요????(스포일러) [15] 오우거5735 07/02/27 5735 0
29664 늦었지만 오프후기입니다 [2] Stay There4351 07/02/27 4351 0
29663 그래도 한동욱 이라면.. [22] 파하하핫4394 07/02/27 4394 0
29662 잃어버린 낭만을 회고하며... 가림토 김동수 [15] 옹정^^4642 07/02/27 4642 0
29660 기자님 마재윤 로열로더 된지 얼마 안됬어요~^^ [27] dkTkfkqldy6617 07/02/27 661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