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3/07 15:15:15
Name 승리의기쁨이
Subject 새로운 겜채널이 나오게 된다면..
저는 스카이라이프를 보고있습니다.

가끔 보면 엠비씨겜한채널 아래에 있는 겜티비를 보면서 어떻게 먹고 살기는 하넹
왜없애질 않는것인지 정말 궁금했었습니다.

협회가 주장하는 대기업을 통한 새로운 겜채널이 나타나게 된다면
시청하는 시청자입장에서는 나쁠것도 좋을것도 없을꺼 같습니다.

겜채널이 지금은 보는 사람이 없어도 돌아가고 있는것 처럼

엠비씨겜은 워3를 주력으로 하는 방송국으로 바뀔지도 모르고

온겜은 그동안의 인프라로 개인리그같은걸 할지도 모르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것은 타팀의 개인리그 보이콧이라든지

인기많은 엠비씨게임단들이나 온겜게임단이 어떻게 나오게 될까요

서로 막가자는 의미로 본다면 정말 재미있는 드라마를 보는것 같고

새로운 프로리그는 엠겜온겜을 뺀 나머지 팀들로 프로리그를 강행 ? 하게 하고

어느분 말처럼   박성준대 한동욱 경기만 1년 내내 보는거 아니냐는 웃으개 소리가

현실이 될수도 있겠죠 자꾸만  삐떡 거리는 협회와 겜방송들이 아타깝네요

어서 어서 정리 잘되서 서로 좋은 방향으로 갔으면 하네요

협회사람들 너무 독단적이네요 좀 좋은방향으로 한발씩 양보하기를 바라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3/07 15:25
수정 아이콘
새 게임 채널은 나오기가 힘듭니다.
현재 양방송사 즉 온미디어와 MBC측에서도 게임방송사는 최악입니다.
시청률은 TOP20위권에 제대로 들지도 못하며, 얻는게 너무 없습니다.
그만큼 e스포츠는 판이 좁디 좁고 얇디 얇은 곳이라는 소리입니다.
CJ가 런칭한다구요?
현재 CJ의 자금력이 좋다고 생각합니까?
연초부터 중천의 실패와 무리한 케이블 사업확장으로 인한 적자로
CJ주가가 연일 피 보았습니다. 주주들의 압박도 거셉니다.
또 어마어마하게 돈 들여서 주최한 슈퍼파이트는 그다지 성공도 못했습니다.
현재 tvN, MNET 운영하기도 빠뜻한 CJ미디어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흑자로 갈지 알 수도 없는 게임방송 런칭은 불가능합니다.
승리의기쁨이
07/03/07 15:28
수정 아이콘
이상하네요 왜 그렇게 적자들은 안없어지고 유지가 되고있는것일까요
겜채널만 해도 그냥 그냥 유지하고있자나요 그게 신기할따름입니다.
순모100%
07/03/07 15:48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 하나만 믿고 게임채널을 탄생시키는 건 제가 보기엔 무리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스타리그방송이 굳이 게임전문채널에만 해야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예전에 투니버스나 스포츠채널에서 스타리그를 돌렸었고 기타 공중파 및 기타 인터넷방송에서도 리그가 가능했죠.
협회가 안정적으로 간다면 기존 케이블이나 기타 방송채널과 협상하여 특정 시간대를 확보하면 족할 듯 싶습니다.
적은 비용으로 해당 방송국과 협회가 윈윈하는 전략이죠.
물론 고비용으로 만약 채널생성까지 고집한다해도 꼭 그것이 게임채널이 될 거란 보장도 없구요.
07/03/07 15:56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를 돌릴려면 기존의 방송국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왜나하면 주5일에 프라임시간대를 원할 것이고 또 결승전 등의 중계시간도 따로 잡아야 합니다.
과연 지금 있는 케이블방송 중에 이렇게 잡을 방송은 없다고 봅니다.
괜히 영화나 격투기 틀어서 점유율 잘 나오는 XTM에서 주5일에 프라임시간을 스타크래프트에 할애하긴 어려우며
또 SBS같은 경우엔 K리그와 한국프로야구, 일본프로야구 등의 중계권이 잡혀있는 상태입니다.
즉 중계를 할 프라임시간대는 이미 기존의 스포츠가 자리잡고 있다는 것이죠.
이번 KeSPA컵 역시 녹화방송입니다.
프라임시간대 중계도 안되고 거기다 녹화방송입니다.
협회가 대기업을 동원해 게임방송을 런칭한다구요?
아마 얼마 못가 돈 낭비다 하면서 양방송사에게 빌면서 돌아가야 할지도 모릅니다.
오가사카
07/03/07 16:41
수정 아이콘
이 모든건 CJ방송개국을위해서라고 봅니다.
skt선택과집중때부터 너무나 확신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730 온게임넷 스타리그 16강 멤버들. 자세히 살펴 보기. [31] Leeka6108 07/08/09 6108 0
31729 워3에서 대박경기가 하나 더나왔네요! [32] 후리8017 07/08/09 8017 0
31727 서울 국제 e스포츠 페스티벌, 인터넷 생방송 경기 일정 공개 [8] kimbilly5526 07/08/09 5526 0
31726 친구가 프로게이머가 되었군요. [32] 라울리스타9576 07/08/09 9576 0
31725 스타리그 진출자 최종 정리. [42] Leeka6952 07/08/08 6952 0
31724 2007 프로리그 올스타전. 세부내용 정리. [39] Leeka6797 07/08/08 6797 0
31723 @@ 스타2 ... 전작을 넘어서는 게임이 될 수 있을 것인가 ? [17] 메딕아빠5277 07/08/08 5277 0
31722 마재윤의 테란과 , 최연성의 저그? [21] 라구요7222 07/08/08 7222 0
31721 @@ 블리즈컨 2007 을 다녀와서 ... [11] 메딕아빠4928 07/08/08 4928 0
31719 IEF2007 강릉 국가대항전 [8] limyh0165751 07/08/08 5751 0
31717 아 망했어요~ 아 망했어요~ 아 망했어요!! (경기 스포 有) [26] 바둥18858 07/08/07 8858 0
31716 개인리그의 테란 수를 줄이기 힘든 이유 [82] 볼텍스8129 07/08/07 8129 0
31715 기분 좋은 표정으로 끝난 게임이 나왔군요. [24] 카이사르_Jeter5756 07/08/07 5756 0
31714 어떻게든 테란을 줄여주세요....ㅜ_ㅜ [47] Pride-fc N0-16034 07/08/07 6034 0
31711 블리즈콘 2007 - 테란 종족의 게임/미션 시연 영상 공개 [21] kimbilly6847 07/08/07 6847 0
31710 스타 2 테란 진영 테크트리 감상평. [11] newromancer6979 07/08/06 6979 0
31709 꾸준함의 대명사 이병민 선수의 부진에 대하여 [11] tune6613 07/08/06 6613 0
31708 IEF2007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경기 규칙안입니다... [6] 한방인생!!!4796 07/08/06 4796 0
31707 그냥 제가 생각해보는 다음 시즌 퇴출될 맵과 남겨질 맵. [36] 김광훈6197 07/08/06 6197 0
31705 스타2에 대한 이런저런 잡담 [31] Judas Pain9972 07/08/06 9972 0
31703 블리즈컨에서 공개된 테란 신유닛 시연 동영상링크와 감상평. [20] newromancer6493 07/08/06 6493 0
31702 2007 전기 프로리그만으로 보는 맵 벨런스 최종판. [3] Leeka4755 07/08/06 4755 0
31701 서울 E스포츠 페스티벌(속칭:천하제일스타대회) 256강 대진 발표!!! [33] SKY926092 07/08/06 609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