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4/21 16:43:04
Name 폭풍이어
Subject E-sports의 아이콘,임요환을 말하다..
오늘 임요환선수가 프로리그-개인리그의 도전을 하는날입니다.
임요환선수의 팬은아니지만(개인적으로 저는 홍진호 강민선수의 팬)
왜임요환선수가 테란의 황제 e스포츠의 아이콘으로 불리우는지
한번 말해볼까합니다..

-그의 스타성
모든 스포츠 아니 엔터테이먼트에는 '스타'들이 존재한다 이스타들의
기반은 팬이고 실제 대부분의 스타들은 팬이많다..
그럼 이스포츠계의 가장큰스타는 누구일까??
아마 열의 아홉은 임요환이라고 말할것이다..
60만이라는 왠만한 연예인 안부러울정도의 다음팬카페회원수와 관심도
실제 임요환이 가면 해결된다 이 나돌정도로
임요환이 공군에 간이후로 공군의 프로리그,개인전 예선리그 참가를 비롯해
공군의 위상은 높아졌고 관심도 증가했다.
그의 스타성은 과연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보여주는 플레이
  요즘의 대세는 정형화된 플레이다.
  타종족전에서 십중팔구 테란은 원팩더블이후 트리플넥노린 한방
  저그에선 원배럭더블이후 한방 플토역시 크게다르지않다 원겟더블이나 옵드라 더블이후
  대부분 트리플넥을 가져가거나 빠른 캐리어 늦은 리버등을 사용한다
  저그도 마재윤 이후 사실상 3해처리는 거의 정형화된 빌드가 되었다..
  그런데 이런 시대가 오기전 각종 올드들은 경기에서 자신의 스타일을 마음껏뽐내며
  많은 팬들을 사로잡았다..
  임요환 역시 크게다르지않았다..
  가장 대표적인 비교상대는 마재윤이다..
  다음카페는 이미 전성기를 잃었으니 제쳐두더라도 그가 소위'본좌'의 자리에 올랐음에도
  아직 인기는 홍진호,박성준에 못미친다.
  바로 그의 스타일이다 여태까지 운영형 저그들은 항시 동시대의 공격형저그들보다 실력
  은 좋았을지라도 인기와 관심은 별로라는 생각을 가지게만든다..
  스타를 처음보는사람이 홍진호가 앞마당테란을 뚫었을때와
  마재윤이 운영으로 테란을 잡아먹었을때 어느경기에 더 관심이 갈까?
  단연 홍진호라고 말하고싶다..
  임요환도이다..
  임요환이후 그의실력을 뛰어넘는 테란(이윤열,최연성 등) 은 많았으나
  그가 가지고 있었던 상징성 마저 뺴앗아가 버린 테란은 나오질않았다.
  본진을 방어하면서 적진의 뒤통수를 치는 드랍쉽 화려한 머린 컨트롤
  놀라울정도의 아기자운싸움에서의 승리, 기막힌 역전극
  이 모든 것들이 임요환의 스타성을 뒷받침해준다..

-그 밖에
  사실상 임요환이 뜬시기는 적어도 지금보다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 독보적이었고
  대항하는 게임도 별로 없었다 다시말해 팬층이 두터웠다..
  또한 그가 테란의 암울기에서 테란을 구출했다는 점
  홍진호와의 기막힌 코카콜라배 명승부 그리고 홍진호라는 라이벌,.
  그리고 훌륭한 외모까지..
  이런 모든 것들이 그가 e스포츠계의 아이콘으로 가는 것을 뒷받침 해주었다..
  아직도 사람들은 '포스트 임요환'을 원한다..
  그러나 농구계의 마이클 조던 은 한명이듯이 여태까지 많은 포스트 임요환
  (한동욱 이윤열 등)은 사라져갔다..
  임요환이 없는 스타리그는 흥행했다..(질레트)
  그가 없는 프로리그는 명경기의 연속이었을지 모른다(t1vs mbc 그파)
  하지만,,
  아직도 우리 e스포츠 팬들은 임요환에의해
  감동하며 그에의해 좌지우지 되어만 간다..
  이것이 임요환의 저력, 그리고 힘인듯 보여진다..

ps:피지알에 세번 쨰로 쓰는 글인듯합니다..
    두서없이 쓴글이라 많이 부족하지만 잘봐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에버쉬러브
07/04/21 18:07
수정 아이콘
뜬금없이 하나둘셋~~홍진호 화이팅!!!!(??)
팀플유저
07/04/21 18:58
수정 아이콘
실력이 좋든 안좋든, 어디에 있든 간에, 항상 설레임을 주는선수죠
폐인28호
07/04/21 19:08
수정 아이콘
아무리 거부하려해도 거부할수없다는건 E-스포츠에서의 임요환의 존재 그 자체이지요
07/04/21 22:23
수정 아이콘
모 달리 말하겠습니까? 그분이죠 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292 2007 에버 스타리그 2주차 리뷰 (스포 잔뜩) [8] Akira4877 07/10/13 4877 0
32290 2007 EVER 스타리그 오프닝에 대해 얘기해봐요~+_+ [83] EsPoRTSZZang8669 07/10/12 8669 0
32289 Starcraft Stats 사소한 변경사항과 + Alpha [7] 프렐루드6190 07/10/12 6190 0
32288 IEST2007에 우리나라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선수들 각 3명씩 출전합니다... [19] 한방인생!!!6933 07/10/12 6933 0
32287 오랫만에 긴장해서 경기를 보았군요.(마재윤vs송병구) [26] CakeMarry8700 07/10/12 8700 0
32286 Who is he??? [24] Go_TheMarine6852 07/10/12 6852 0
32285 국제대회에 언제까지 프로게이머가 출전해야할까요? [51] 오가사카6983 07/10/11 6983 0
32284 한상봉! (스포일러 가득가득가득!) [40] 7789 07/10/11 7789 0
32282 마재윤 선수, 라이벌이 되어주세요! [19] My name is J7096 07/10/11 7096 0
32281 Starcraft Stats Vista 가젯 서비스 개시~ [5] 프렐루드4239 07/10/11 4239 0
32280 @@ 바둑 1급기념(!) ... 스타와 바둑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 [21] 메딕아빠6897 07/10/11 6897 0
32279 WCG의 어두운 그림자? [7] 초록별의 전설5466 07/10/11 5466 0
32275 3주차 엔트리가 나왔더군요. [18] 쉬면보4828 07/10/11 4828 0
32274 WCG 2007 시애틀 현장 스케치 [14] M Powered5667 07/10/11 5667 0
32273 10월 프로리그 로스터가 발표되었습니다. [45] Sin8974 07/10/10 8974 0
32272 WCG 결승전 개인적 관람 후기-(사진 링크 수정반영) [17] shildy8144 07/10/09 8144 0
32269 이제동을 말하는 몇가지들 [53] 로바로바9918 07/10/09 9918 0
32268 WCG를 봤습니다. [21] zenith7444 07/10/09 7444 0
32267 아는 사람과 게임을 하는데 핵을 쓴다??....... [53] 샴페인슈퍼노9085 07/10/08 9085 0
32266 이스포츠 전용경기장 건립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7] 메딕아빠5182 07/10/08 5182 0
32265 MSL 16강 흥미진진.. [20] rakorn7610 07/10/08 7610 0
32264 WCG 2007 스타크래프트 우승 송병구! [21] 황제의마린8888 07/10/08 8888 0
32263 보리밟기. [13] XiooV.S26087 07/10/08 608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