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7/17 04:51:08
Name Again
Subject 이영호의 가장 큰 자산..
이번 전기리그와 이번 경기들을 봤을때
그의 가장 큰 자산은 7승 3패도 아닌,
토스전 1패만을 기록한것도 아니었습니다.
바이오닉 천재라며 위용을 과시했던 그는
기대이상에는 못미치며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었던건 사실입니다.
많은 분들이 그럴겁니다.
"토스전 바이노닉 러쉬밖에 없었다"
생각해보면 박성훈선수와의 경기에서부터 시작해
김택용선스와의 토스전 마지막 경기 전까지
바이오닉 러쉬는 단 한번이었습니다.
윤용태전 더블넥 겨냥한 치즈러쉬.
하지만 그에게 있어서 가장 의미있었던 건 저그전도 아니고, 테란전 부진도 아니며 토스전 포스도 아니었습니다.
오늘까지의 경기,
그는 수많은 경기들을 치루면서 경헙한것이 있습니다. 신인으로써는 드물게 말이죠.
윤용태, 박지호, 김택용, 최연성, 진영수, 임요환등,
거물급 선수들을 상대했습니다.
신인으로써는 너무나도 화려했던 상대였습니다.
이것이 이영호선수에게 있어서 어제경기까지 포함, 가장 큰 자산이었다고 봅니다.
이것 하나만으로도 이영호는 충분히 신인으로써 최고의 경험을 한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7/17 05:06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의 무서운 점은 정말 어리다는것과 또 정말 과감하다는것.
그런 신인이 큰 경기에서도 덜 긴장한다는것이죠.
과연 앞으로 경험을 쌓으면서 더 강해지겠지만
패배의 두려움이나 부담감이 그를 어떻게 변화 시킬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도시의미학
07/07/17 05:19
수정 아이콘
김준영선수와 함께 했던 이번 4강 1경기. 9드론 저글링에 피해를 입고도 과감히 진출하는 모습에 정말 놀랐습니다.
왠지 모르게 관심이 가는 선수입니다^^;; 다음 시즌에도 꼭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면 합니다.
07/07/17 06:12
수정 아이콘
도시의미학님// 저도 그 경기보고 정말 어린선수가 그렇게 피해본 상황에서 과감하게 나갈줄 몰랐는데...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리고 Again님의 글처럼 최상의 선수들과 시합을 하면서 경험을 쌓았다는게 앞으로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이선수 계속 지켜보고 싶네요... 게다가 전 케텝빠라 흐뭇...
XiooV.S2
07/07/17 06:13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를 보면 이병민 선수+@ 가 있는거 같습니다. :) 같은팀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이병민 선수의 그 뭔가가..끈적끈적한 테란플레이를 닮은듯 합니다.
맛있는빵
07/07/17 09:54
수정 아이콘
전 이영호선수를 보면 과거의 이윤열 선수를 보는듯 합니다. 신동이나 천재는 과연 존재하는구나~
07/07/17 10:15
수정 아이콘
이모(?)들을 설레게 하는 영호 선수~!!정말 앞으로가 기대가 되는 선수에요..
CheerfuL
07/07/17 12:26
수정 아이콘
(운영진 수정, 벌점) 자음어 사용 금지입니다.
CrazyFanta
07/07/17 13:13
수정 아이콘
이선수 느낌이 딱 이병민선수 데뷔때 느낌입니다. 너무 단단하고 변칙을 쓰지 않으면 쉽게 무너지지않을것같은 느낌. 부디 롱런하길
winnerCJ
07/07/17 13:17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도 넣어주세요. ㅡㅜ

이영호 선수는 앞으로 더 갈고 닦아서 잘하면서 우승을 한번도 못하는 불행이 없기를 바랍니다.
07/07/17 13:27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 바이오닉의 천재라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 방송경기 하는걸 보면 저그전보다 플토전을 더 잘하는것 같아요 -_-;; 어제 윤용태 선수하고의 경기에서도 결국엔 지긴 했지만 그 어려운 상황에서 이길 가능성을 만들어내는걸 보면 말이죠..
07/07/17 14:51
수정 아이콘
보통 대박 신예는 예선이나 본선 16강 정도에서 집중 스포트를 받고 꺾인 경우가 많은데 이영호 선수는 어느 정도 치고 올라간 이후, 즉 신예인데 경험을 나름 쌓았죠. 다다음 시즌 우승 갑시다![가을은 박정석 선수...][?]
07/07/17 15:10
수정 아이콘
영호 선수는 10년안에 우승한다에 한표.
그레이브
07/07/17 16:23
수정 아이콘
sana님// 1년안에 우승한다에 한표.
체게바라형님
07/07/17 16:47
수정 아이콘
이영호선수의 가장 큰 라이벌은 스타2죠...
완성형폭풍저
07/07/17 19:13
수정 아이콘
이영호선수의 가장큰 자산이라길래...
보장자산을 말하는줄 알았네요.
갑자기 보장자산이 왜 떠오른걸까...;;;;;
맥주보단 소주
07/07/17 23:30
수정 아이콘
이영호 선수의 가장 큰 라이벌은 길로틴...^^
07/07/18 09:23
수정 아이콘
그럼 강민 선수-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356 ◆MSL 시즌4 32강 일정 [30] 호시6047 07/12/28 6047 0
33355 로열로더 그리고 두번째 기회 [13] Akira5906 07/12/28 5906 2
33354 [L.O.T.의 쉬어가기] Fan之心 [1] Love.of.Tears.6119 07/12/28 6119 0
33352 "참 또랑또랑하게 생겼네" [4] 몽땅패하는랜5762 07/12/28 5762 0
33351 경기방식 제안 하나 - 블라인드 매치 [7] 낭만곰됴이™4493 07/12/28 4493 1
33348 저는 박성균 선수의 선택도 최고였다고 생각합니다. [17] 彌親男6051 07/12/28 6051 0
33347 E-Sports계에 종사하고 계신 기자님들께 글 올립니다... [31] LoveActually8096 07/12/28 8096 60
33345 댓글잠금 남윤성기자 정말 화납니다. 아대체 파포 왜이럽니까?? [157] Aqua14864 07/12/28 14864 5
33344 l:Narky's Hot Topic:l GomTV MSL 사상 가장 흥미진진한 멤버들 [24] 나키6857 07/12/28 6857 0
33343 GomTV 시즌 4 - 32강 진행 후 성사될 수 있는 매치업입니다. [4] hero6006513 07/12/27 6513 0
33342 곰tv MSL S4 조지명식 정말 재미있군요 [245] 라울리스타12625 07/12/27 12625 1
33341 선수 생활에 위기를 맞은 SK Telecom T1의 박용욱... [26] 모짜르트9323 07/12/27 9323 0
33339 엔트리가 나왔어요~ [20] SKY925725 07/12/27 5725 0
33338 팀배틀 보완책 - 선수 연속 출전 금지 [25] 김연우6389 07/12/27 6389 1
33337 과연 박성균 vs 이제동의 개막전이 성사될것인가??? [16] 처음느낌5637 07/12/27 5637 0
33336 추억의 2001 SKY배 스타리그 [33] XXX4927 07/12/27 4927 0
33335 [시뮬레이터] MY STARCRAFT [20] 날라라강민7541 07/12/26 7541 0
33331 2007년 제3차 온게임넷 듀얼토너먼트 대진표 [25] 304445648 07/12/26 5648 0
33330 이야! 박영민!! [43] SKY926047 07/12/26 6047 0
33329 현재 부진한 올드들... [30] 웟츄어네임7021 07/12/26 7021 1
33327 모든 팀들의 포스트시즌 진출 가능성 [11] 彌親男4308 07/12/26 4308 0
33325 MBC게임과 CJ의 1경기 보셨나요? [20] 구름비6335 07/12/26 6335 0
33324 마재윤선수....... 이해가 안되네요. [42] SKY928232 07/12/26 823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