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4/13 15:14:31
Name The xian
Subject 4월 13일 프로리그 - 공군 대 eSTRO / 삼성 대 STX Soul
▶삼성 대 STX  - 0:3 (경기 종료)
1세트 폭풍의 언덕 이성은T(패) - 김구현P(승)
2세트 블루스톰 허영무P(패) - 김윤환Z(승)
3세트 헌터스 박성훈P/이재황Z(패) - 박종수P/조일장Z(승)

▶eSTRO 대 공군 - 3:1 (경기 종료)
1세트 콜로세움 신희승T(패) - 박대만P(승)
2세트 폭풍의 언덕 이병민T(승) - 임요환T(패)
3세트 한니발 서기수P/신대근Z(승) - 김환중P/조형근Z(패)
4세트 카트리나SE 신상호P(승) - 이주영Z(패)
5세트 오델로 (에이스 결정전)


오늘의 프로리그 진행중입니다. 역시 당직이라 글만 씁니다.

삼성은 원투펀치로 1, 2세트에 기용했던 개인전 카드인 이성은 선수와 허영무 선수가
각각 STX Soul의 김구현 선수와 김윤환 선수에게 패하며 0:2로 몰리고 있습니다.
스코어상 삼성은 팀플전에서 상황을 반전시켜야 하는데 '팀플 마스터' 이창훈 선수의 은퇴로 인한 공백이 걱정되는군요.

결국 우려는 현실로 드러났고, 삼성은 좋은 자리를 먼저 잡고도 중앙 싸움에서 밀려버리며 STX에게 0:3 완패를 당했습니다.
어제에 이어 작년 전후기 우승팀이었던 르까프와 삼성이 이틀 사이에 모두 셧아웃을 당해 버렸군요.

공군은 박대만 선수가 리콜 쇼와 강력한 지상군 운용을 선보이면서 신희승 선수를 꺾으며 앞서 나갔지만,
두 번째 경기에서 임요환 선수가 초반 전략의 성공과 재기넘치는 맵 지형 활용으로 우위를 잡고도 12시 멀티 쪽을 찔리면서
상황이 반전되었고, 그 이후로 언덕 지역을 장악하며 우위를 가져온 이병민 선수가 오랜만의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임요환 선수가 이병민 선수에게 12시 지역을 찔린 것은 생각 외의 공격에 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리플레이를 보니
팩토리도 오랜 동안 못 돌리고, 서플라이도 막혀 버리는 사고가 일어나서 병력이 더 없었다고 MBC게임 중계진이 설명하는군요.

이스트로는 여세를 몰아 팀플에서도 승리를 거두며 2:1로 역전에 성공했고, 신상호 선수도 이주영 선수를 꺾고
결국 역전승으로 첫 승을 장식합니다.

이스트로는 더 이상 공군의 제물이 되지 않겠다는 의지를 불태웠고, 공군은 이륙하기에는 뭔가가 부족했습니다.
삼성은 전체적으로 작년의 모양새가 나오지 않고 있고, STX는 3:0으로 첫 승리를 장식해 기분좋은 출발이 되었군요.


- The xian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4/13 15:16
수정 아이콘
아.. 임선수 아쉽네요.. 경기 초반 멋있는 센스를 보여줬는데.. 그 찌르기 한번만 어떻게든 잘 막았으면 어땟을까 쉽네요..^^
20080463
08/04/13 15:17
수정 아이콘
박대만선수 얼른 개인리그에서 보고 싶습니다!
정말 잘해요!!
임요환선수... 센스는 좋았지만...
노련미를 앞세운 이병민선수에게는 패배하군요...
이병민선수! 축하드립니다!
08/04/13 15:19
수정 아이콘
박대만선수는 희한하게 군대에 가고나서야 제 기량을 발휘하는 것 같네요.
에반스
08/04/13 15:34
수정 아이콘
헌터팀플 참 재밌게하네요. 수십만판에 공방팀플을 참고한 프로게이머의 헌터팀플의 결론은 단순유닛싸움이였나보군요.
에반스
08/04/13 15:36
수정 아이콘
결국 O본부 경기는 3:0 으로 끝났네요. 이스트로는 리드하기 시작했구요. 공군은 애결까지봤으면 좋겠네요.
꿀호떡a
08/04/13 15:37
수정 아이콘
지난시즌 전기리그 우승팀, 후기리그 우승팀 둘다 시작들이 좋질 않네요.. 3:0 셧아웃;;
08/04/13 18:51
수정 아이콘
삼성 너무 힘 없이 밀린 것이 걱정스럽네요.

3경기 모두 거의 일방적으로 밀리는 경기가 나왔으니......

이번 시즌 STX가 강해진 이유가 크지만, 과거 삼성의 전력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일방적으로 무너지더군요.

다음 경기부터는 송병구 선수를 1경기로 보내 가능한 일단 기선제압하고 경기 들어가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08/04/13 18:54
수정 아이콘
공군은 역시 박대만 선수.

그러나 임요환 선수 생산과 공격을 동시에 하는 것이 완벽하지 않은 단점이 또....

한번 분위기 잡은 상태에서 너무 콘트롤만 집중하다, 서플막히거나 먹은 자원 대비 생산이 소홀한 단점이 여전히 아쉽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228 오늘의 프로리그-삼성vs르까프/CJvsMBCgame [307] SKY925383 08/12/08 5383 0
36225 스타크래프트 Legend Top 10 - 12월7일 투표결과. [25] legend7164 08/12/07 7164 1
36224 근심 [16] ToGI5617 08/12/07 5617 0
36223 이제동의 복수혈전? 이성은의 더큰충격선사? [47] 처음느낌9269 08/12/07 9269 0
36222 곰 tv 클래식 도재욱 vs 김정우 [131] 지니-_-V6376 08/12/07 6376 0
36221 IEF 2008 결승전 대박 3경기 (.rep 포함) [76] WizarD_SlayeR8299 08/12/07 8299 0
36219 스타크래프트 Legend top10 을 뽑아주세요. [127] legend5560 08/12/07 5560 0
36217 오늘의 프로리그-웅진vsSKT/KTFvs온게임넷(2) [56] SKY924392 08/12/07 4392 0
36215 오늘의 프로리그-웅진vsSKT/KTFvs온게임넷 [361] SKY924745 08/12/07 4745 0
36214 낭인왕 폭군, 제 20회 - 전운, 포로투수로! - [19] aura4648 08/12/07 4648 0
36213 ief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 결승전 [67] SKY926462 08/12/07 6462 0
36212 12월 12일 바투 스타리그로 시작 + 예선 대진표 공개!! [26] Alan_Baxter8125 08/12/07 8125 0
36210 16인의 이야기3. - 홍진호 [2] 王非好信主4579 08/12/07 4579 0
36209 무엇을 위한 케스파 랭킹인가?? [14] 코세워다크5025 08/12/07 5025 1
36208 낭인왕 폭군, 제 19회 - 파장 - [23] aura4512 08/12/06 4512 1
36206 Starcraft Stats 서비스 중단의 글 [4] 프렐루드5088 08/12/06 5088 0
36205 MSL이 다시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돌아갔으면 좋겠습니다. [30] S_Kun5299 08/12/06 5299 0
36204 2008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 3 2조~ [189] SKY924894 08/12/06 4894 0
36203 오늘의 프로리그-공군vsSTX/위메이드vsEstro [151] SKY924721 08/12/06 4721 1
36202 양대리그 통산 커리어 랭킹 [16] Dementia-5419 08/12/06 5419 0
36199 낭인왕 폭군, 제 18회 - 불관왕 염선생, 제동 - [17] aura4235 08/12/05 4235 0
36198 IEF 워크래프트 현황도 그냥 겸사겸사 올려봅니다. [6] Akito5341 08/12/05 5341 0
36197 중국에서 열리고 있는 IEF 2008 현재 상황입니다. [17] 이프5679 08/12/05 567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