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4/27 12:19:51
Name ls
File #1 1209121131_1.jpg (57.3 KB), Download : 18
Subject [주간 스타리그 잡설] 온게임넷 EVER 2008 스타리그 1차 본선 C-D조


* 편의상 경어는 생략합니다. =)
* 격식 없이 편하게 편하게 쓴 글이라 특정 선수의 팬들이 보기에는 눈살을 찌푸릴 만한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꾸벅.


C조.
1경기. 박영민(P) vs 고석현(Z) @ 화랑도 - 고석현 승리
2경기. 윤종민(Z) vs 김창희(T) @ 화랑도 - 윤종민 승리
3경기. 고석현(Z) vs 윤종민(Z) @ 안드로메다 - 윤종민 진출
4경기. 박영민(P) vs 김창희(T) @ 안드로메다 - 박영민 승리
5경기. 고석현(Z) vs 박영민(P) @ 트로이 - 박영민 진출


D조.
1경기. 김동건(T) vs 오영종(P) @ 화랑도 - 김동건 승리
2경기. 박성준(Z) vs 박성균(T) @ 화랑도 - 박성준 승리
3경기. 김동건(T) vs 박성준(Z) @ 안드로메다 - 박성준 진출
4경기. 오영종(P) vs 박성균(T) @ 안드로메다 - 박성균 승리
5경기. 김동건(T) vs 박성균(T) @ 트로이 - 박성균 진출

----

패자조에서 승리한 선수가 최종진출전도 따내고 2차 본선으로 직행한다는 듀얼 토너먼트의 법칙은 이번 주에도 계속되고 있다. 최종전에 임하는 기분 혹은 기세의 문제인가. 단순히 기묘한 우연의 일치에 불과한 것일지도 모르지만, 그런 우연도 이 정도 반복되면 어떤 원인이 있는게 아닌가 궁금해질 정도다. 과연 패승승 법칙은 E, F조 예선, 나아가 MSL 32강에서도 적용될 것인가. 두둥.

----

이번주의 히어로는 단연 박성준. 과거 투신 시절을 연상하게 만드는 경기를 잇달아 선보이며 2승으로 본선 2차 16강 고지에 안착했다. 물론 두 경기 모두 빌드 가위바위보 싸움의 승리를 비롯해 박성준에게 운이 많이 따르긴 했으나, 이런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이 날 박성준의 테란전 연승에는 상당한 가치를 부여하고 싶다.

첫 번째는 STX로 팀을 적한 직후에 올린 승리라는 점. 그것도 두 경기 모두 박성준이 취약한 면을 보였던 대테란전이라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점이다. 아직 설레발을 치기는 조금 이르지만 STX 입장에서는 박성준이 아직 충분히 쓸만한 개인전 카드라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을 테고, 박성준 개인에게도 대테란전은 물론 본인의 스타일과 경기력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두 번째는 박성준의 공격적인 스타일이 일정 부분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그의 운영력이 개인리그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형태로 적절하게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T1 시절 박태민과의 동거로 얻었을 운영에 대한 심득이 이제서야 조금씩 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일까?

화랑도에서 펼쳐진 박성균과의 경기를 보자. 상대방의 두팩 벌쳐 의도를 파악한 저글링 정찰은 그저 박성준의 행운으로 치부하고. 선가스 앞마당 빌드를 감추는 등 앞마당 노가스 맵의 특징을 파악한 빌드 준비도 좋았지만, 적지않은 수의 골리앗에게 뮤탈을 과감하게 들이댐으로써 테란에게 골리앗 생산을 강제하고 병력의 발을 본진에 묶으면서 본인은 과감하게 가스 멀티를 다수 가져가는, 평소 박성준의 스타일을 고려한다면 도저히 나올 수 없을 것만 같은 운영은 박성준의 이번 개인리그 성적에 한 번 기대를 걸어볼만하게 만들어 주는 부분이었다. 지금 박성준에게 필요한 것은 본인의 스타일을 버리고 다른 저그들의 운영을 체득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완급조절을 통해 공격적인 성향을 영리하게 이용하는 것이다. 대 박성균전에서 보여주었던 그의 모습이 그 시발점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아주 간절하다. 제발, 골든 마우스 좀 받아보자.

----

C조 경기에서는 윤종민과 박영민이 2차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정작 가장 눈에 띄었던 선수는 엠겜의 유망주 저그, 고석현이었다. 고석현의 공격 일변도 스타일은 박성준과 비교해서 더하면 더했지 결코 부족하지 않은 모습이었다. 이길 수 없을 것 같은 싸움마저 본인이 시작해 버리는 특유의 무모함까지 말이다. 세 경기 모두 관전자 입장에서는 눈이 즐거울 수 밖에 없는 경기였지만, 역시 이 선수도 박성준과 동일한 것을 필요로 할 듯 보인다.

캐논 수비 라인에 과감하게 저글링을 꼬라박았던 최종전은 그렇다 치겠지만, 머뭇머뭇거리다 유리한 상황을 역전당한 승자전은 왜 그랬을까 싶은 의문이 살짝 남는다. 불리해 보이는 상황에서도 공격을 거는 선수라면 그 유리한 상황에서 머뭇거릴 이유는 없었을 텐데. 아직 본인의 스타일을 정립 중이고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선수이니, 이번 시즌보다 다음 시즌에 더 큰 기대를 걸게 된다. 일단 프로리그에서 활약하기를.

----

사실 D조는 박성준을 응원하긴 했어도 오영종과 박성균이 2차 본선에 진출하리라고 예측했었거늘, 박성준이 의외의 선방을 하면서 판이 크게 뒤틀리고 말았다. 하지만 D조 최고의 매치는 여전히 박성균과 오영종, 두 선수가 맞붙은 패자전이었다.

박성균의 경기력은 정말 혀를 내두르게 했는데, 불리한 상황에서도 경기의 큰 흐름을 그리면서 다른 선수도 아닌 오영종을 상대로 자신의 판을 성립시키고 역전까지 이루는 뚝심. 박성균이 어째서 사막의 여우라고 불리는지, 왜 이영호, 염보성과 더불어 현재 테란 수장 라인을 구축하고 있는지를 아주 잘 보여준 경기였다. 반면 오영종은... 글쎄. 아직 가을이 오지 않았기 때문이겠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술사
08/04/27 12:48
수정 아이콘
마지막줄...멋지군요
초록나무그늘
08/04/27 13:12
수정 아이콘
오영종선수의 아비터체제는 그다지 세보이지 않더군요. 게이트 회전은 잘하지만(뭐 본인의 특기였으니까요) 아비터가 추가되는 시점부터는 급격히 무너지는 것 같습니다. 예전 이윤열선수와의 8강전 로키에서도 그런 모습이 보였고요.
remedios
08/04/27 13:48
수정 아이콘
트로이가 아니고 화랑도인거 같네요 중간에
08/04/27 18:45
수정 아이콘
마술사님// 오늘 프로리그 김구현전을 보면서 아직 가을이 멀었음을 새삼 느꼈습니다.

초록나무그늘님// 이 날 경기는 자신의 유리함을 너무 과신한 면이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안드로메다가 테프전에서 테란이 본진 수비하기 참 좋은 지형인데, 그걸 그대로 정공법으로 뚫고 들어가려다 빈틈을 드러내고 말았죠. 아비터까지 갔으면 아비터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경기를 이끌었으면 좋았을텐데요. 아무튼 경기를 그렇게 몰아간 박성균이 대단하긴 대단합니다. -_-

remedios님// 앗. 오타입니다. 수정할게요.
Lazin Frantz
08/04/27 21:49
수정 아이콘
오영종 선수와 이제동 선수가 같은 팀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둘다 꼬라박을(?) 때의 판단이 약간 아쉽네요... 좀 참는 법을 배웠으면 좋겠어요 ㅡ.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434 Greatest One... 슈마지오... CJ엔투스... [69] Xell0ss8894 08/12/27 8894 0
36433 2008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3 10조 [52] 피터피터4615 08/12/27 4615 0
36432 스타판의 잘못된 인식. 상향평준화. [27] 애국보수7739 08/12/27 7739 2
36431 CJ 신예 3인방 [17] 최후의토스5168 08/12/27 5168 0
36430 오늘의 프로리그-MBCgamevsKTF/CJvs웅진 [194] SKY924559 08/12/27 4559 0
36429 퀸의 활성화를 위한 문득 생각난 것들..(여러분 아이디어도 올려주세요^^) [27] 국제공무원6086 08/12/27 6086 0
36428 YGOSU 전적 검색으로 찾아본 전설적인 기록들. [28] 마르키아르8199 08/12/27 8199 1
36427 케스파 2009년 달력입니다 [14] 점쟁이6214 08/12/26 6214 0
36426 육룡은 너무 강하다. [100] aura11741 08/12/26 11741 3
36425 확인해보니 배럭과 펙토리 사이에는 고스트 밖에 못지나가는군요. [24] 최후의토스7713 08/12/26 7713 1
36424 바투 스타리그 36강 D조~ [330] SKY925002 08/12/26 5002 0
36422 올해 뜨고 지던 맵에 대한 간략한 밸런스 분석글입니다. [스크롤 주의] [34] Mercury]Lucifer7360 08/12/25 7360 0
36421 서바이버 토너먼트 9조~ [369] SKY926091 08/12/25 6091 0
36420 그때 그사람 [23] 로랑보두앵5483 08/12/25 5483 0
36419 낭인왕 폭군, 제 25회 - 의문 - [10] aura3742 08/12/25 3742 0
36418 E-Sport에서 심판의 역할. [26] 피터피터4546 08/12/25 4546 2
36417 5주차 엔트리~ [37] SKY925458 08/12/25 5458 0
36414 예전에 곰티비 결승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습니다 [26] 툴카스6526 08/12/25 6526 0
36413 크리스마스 이브 사건으로 본 E-sports 심판 권위의 한계 [26] nicewing4410 08/12/25 4410 0
36412 인정미 넘치는 스타판 [146] 니드11250 08/12/24 11250 0
36411 프로팀은 개인리그에서 선수보호가 되지 못하나여?? [37] HesBlUe5100 08/12/24 5100 0
36410 스포츠답지 못한 이스포츠의 심판 [182] 매콤한맛8116 08/12/24 8116 0
36409 바투 스타리그 C조 두번째 불판 [383] 보름달6056 08/12/24 605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