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8/15 17:27:10
Name 칼잡이질럿
Subject 프로리그 이런 방식은 어떨까요???

간단히 말하자면 2:2 팀배틀을 2번 해서

2승을 하면 팀의 승리 비기면 에결로,,,입니다


배틀마다 맵은 3개씩 주고

엔트리는 배틀 별로 2명씩 네명을 공개하고

선수들은 각자 2개의 맵을 준비하게 됩니다(첫번째 선수는 1,2경기 맵 두번째 선수는 2,3경기 맵)

예를 들어 cj vs 르깝이 만나면

cj 1세트 마재윤 서지훈 2세트 변형태 박영민

르깝 1세트 이제동 손주흥 2세트 박지수 손찬웅

이런식으로 엔트리 공개하고

두번의 팀배틀을 거쳐 2세트 따면 승리

1:1 동률이 되면 에결을 하는 겁니다

나름 팀리그방식도 살리고 원맨쇼는 막아보자,,,고 생각해 본건데,,,

어중간해 보일지도 모르겠네요ㅠㅠ두명만으로 게임이 끝날 수도,,,

그래도 간단하니 시청자들도 알기 쉬울 것 같고

동족전도 어느정도는 줄어들 것 같습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신이 건들고 간
08/08/15 17:39
수정 아이콘
방법은 좋은데..
그냥 팀배틀이 젤 재밋어염..
08/08/15 17:41
수정 아이콘
팀리그 자체가 원맨쇼를 보려고 하는 매력이 강한 룰이고 ..
팀리그의 또다른 매력은 용병술입니다. 어떤 선수를 감독이 기용하느냐죠.
그리고 5전제였단 무비스 팀리그는 이전의 리그에 비해서 올킬도 쉬워지고
리그의 무게감 자체도 가벼워져서 제일 실패했다고 평가받는 팀리그죠.

2:2 팀배틀은 감독의 용병술도 기대할수없고, 원맨 액션도 기대할수 없으며 이전의 5전제 팀리그보다 훨씬더 가볍게 느껴질겁니다 ..

재미 없을것 같군요 ..
바포메트
08/08/15 17:44
수정 아이콘
일단 팀배틀은 테테테테테테테네엔에네테렝렝렌테테래에렏기테테테테테전만 주구장창 안봐도 된다는 장점이 있죠

하다못해서 테란<토스<저그의 사이클정도는 볼수있을테니 -_-;;
이민재
08/08/15 17:52
수정 아이콘
맵순서에따라서 동족전도많이나올수잇는거아닌가요?
물빛은어
08/08/15 18:35
수정 아이콘
바포메트 님/ 마치 현 프로리그 체제에서는 테테테테테테테테테테테테테테테테전만 주구장창 본다는 뉘앙스네요.
그리고 일단, 리그 진행방식에 대해서는 단어를 통일했으면 합니다.
누구는 팀배틀, 누구는 팀매치, 누구는 팀리그..
이제까지의 프로리그도 팀배틀이었으며. 예전의, 그리고 지금 부활할 가능성도 있는 팀리그 방식 역시도 팀배틀이죠.
satoshis
08/08/15 21:27
수정 아이콘
현재 프로리그가 시행하려고 하는 방식이 팀매치, 승자연전제가 팀배틀, 엠겜의 팀단위대회가 팀리그
라구요
08/08/16 02:44
수정 아이콘
동족전 피하는 맛에 보려고 팀베틀 하는것 뿐이죠.......
이 룰도......동족전 피할수있는룰 적용시키면 상당히 매력적이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286 오늘 4강을 보고... [31] 팟저8050 09/03/12 8050 1
37285 로스트사가 MSL 2009 4강 A조 김명운 vs 박찬수 [211] jc6295 09/03/12 6295 0
37283 위너스리그 플옵 엔트리 발표! [87] IntiFadA9735 09/03/12 9735 1
37282 [알림] 워크래프트3 2009 토너먼트 (일정수정). [8] 메딕아빠4942 09/03/10 4942 0
37281 그땐 그랬지 [7] Ace of Base6456 09/03/12 6456 8
37278 E-Sport의 압축성... 그리고 그로인한 상대성... [20] 피터피터5714 09/03/12 5714 6
37276 그래프와 함께하는 커리어 랭킹 ver 2.0 [43] ClassicMild7422 09/03/12 7422 13
37275 2009 Winners League All-First Team [16] 코세워다크5581 09/03/11 5581 0
37274 3라운드 동족전, 그리고 이종족전 [6] 얼음날개4208 09/03/11 4208 0
37273 [L.O.T.의 쉬어가기] 임요환 v3.0 [11] Love.of.Tears.8925 09/03/11 8925 3
37272 3라운드 팀리그의 빛과 어둠. [38] 애국보수7374 09/03/11 7374 10
37271 3라운드 다승 기여도 그래프 정리 [9] 프렐루드4690 09/03/11 4690 0
37270 최근 공식전 300전으로 본 스타크래프트 밸런스 [40] 이성은이망극8768 09/03/11 8768 0
37269 서지훈 선수 엊그제 입대했네요ㅠ [23] 초절정미소년6193 09/03/11 6193 2
37268 올드는 왜 부활하지 못할까요? [31] [NC]...TesTER6957 09/03/11 6957 0
37266 테란 정녕 답이 없는걸까요? [167] 김재혁8474 09/03/11 8474 0
37264 안녕, 좁디 좁은 천하여 [31] 코세워다크8686 09/03/11 8686 34
37263 공군 ACE엔 미래가 없다. [67] Nakama10461 09/03/10 10461 2
37261 Ver 2.0 김택용 선수를 이기는 방법. 2가지. [133] 마르키아르12634 09/03/10 12634 10
37260 위너스리그 위메이드 성적표 [16] 점쟁이6210 09/03/10 6210 0
37259 김택용의 저그전에는 특별한게 없다. [28] 파라토스7827 09/03/10 7827 0
37256 오늘의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 CJ vs KTF / 온게임넷 vs 공군 [287] 달덩이7545 09/03/09 7545 0
37255 과거에 있었던 본좌론에 일면과 지금 [58] kien9906 09/03/09 990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