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12/30 09:26:38
Name 王非好信主
Subject 시즌별 개인리그 종족밸런스
단순화한 수치로 개인리그에서의 종족별 비중을 감안해 봤습니다.
2002년 이후 16강 이상 진출을 기준으로하며, 16강1점, 8강2점, 4강4점, 준우승 8점, 우승 16점의 포인트를 부여합니다.

네이트 - KPGA2차리그
테란 49 51%
저그 38 40%
토스 09 9%

스카이02 - KPGA3차리그
테란 45 48%
저그 18 19%
토스 31 33%

파나소닉 - KPGA4차리그
테란 52 55%
저그 36 38%
토스 06 6%

올림푸스 - 스타우트
테란 40 42%
저그 31 32%
토스 25 26%

마이큐브 - TG삼보
테란 38 40%
저그 24 25%
토스 34 35%

한게임 - 쎈게임
테란 44 46%
저그 19 20%
토스 32 34%

질레트 - 스프리스
테란 43 45%
저그 24 25%
토스 29 30%

에버04 - 당골왕 - IOPS
테란 79 55%
저그 54 38%
토스 11 8%

에버05 - 우주
테란 28 29%
저그 50 52%
토스 18 19%

So1 - 싸이언 - 신한0
테란 52 36%
저그 49 34%
토스 43 30%

신한1 - 프링글스1
테란 32 33%
저그 44 46%
토스 18 19%

신한2 - 프링글스2
테란 35 36%
저그 39 41%
토스 22 23%

신한3 - 곰티비1
테란 35 36%
저그 36 38%
토스 25 26%

다음 - 곰티비2
테란 34 35%
저그 28 29%
토스 34 35%

에버07 - 곰티비3
테란 43 45%
저그 27 28%
토스 26 27%

박카스 - 곰티비4
테란 35 36%
저그 30 31%
토스 31 32%

에버08 - 아레나
테란 35 36%
저그 32 33%
토스 29 30%

인쿠르트 - 클럽데이
테란 25 26%
저그 11 11%
토스 60 63%



종족별 순위 및 퍼센트 - 우승자
02.1 테란51 저그40 토스09 <-변길섭(T) 이윤열(T)
02.2 테란45 토스33 저그19 <-박정석(P) 이윤열(T)
02.3 테란55 저그38 토스06 <-이윤열(T) 이윤열(T)
03.1 테란42 저그32 토스26 <-서지훈(T) 강민(P)
03.2 테란40 토스35 저그25 <-박용욱(P) 최연성(T)
03.3 테란46 토스34 저그20 <-강민(P) 최연성(T)
04.1 테란45 토스30 저그25 <-박성준(Z) 최연성(T)
04.2 테란55 저그38 토스08 <-최연성(T) 박태민(Z) 이윤열(T)
-
05.1 저그52 테란29 토스19 <-박성준(Z) 마재윤(Z)
05.2 테란36 저그34 토스30 <-오영종(P) 조용호(Z) 최연성(T)
-
06.1 저그46 테란33 토스19 <-한동욱(T) 마재윤(Z)
06.2 저그41 테란36 토스23 <-이윤열(T) 마재윤(Z)
06.3 저그38 테란36 토스26 <-마재윤(Z) 김택용(P)
07.1 테란35 토스35 저그29 <-김준영(Z) 김택용(P)
07.2 테란45 저그28 토스27 <-이제동(Z) 박성균(T)
07.3 테란36 토스32 저그31 <-이영호(T) 이제동(Z)
08.1 테란36 저그33 토스30 <-박성준(Z) 박지수(T)
08.2 토스63 테란26 저그11 <-송병구(P) 김택용(P)




테란 50대3회 40대6회 30대7회 20대2회
저그 50대1회 40대3회 30대7회 20대5회 10대2회
토스 60대1회 30대8회 20대4회 10대2회 10이하3회

테란 1위13회 2위5회 3위0회
저그 1위4회 2위7회 3위7회
토스 1위1회 2위6회 3위11회

양리그 동종족 우승시의 퍼센트
02.1 테란 51
02.3 테란 55
05.1 저그 52
08.2 토스 63

꼴지종족의 우승자
03.1 강민
04.1 박성준
05.2 오영종
06.3 김택용
07.1 김준영
07.3 이제동

종족최고성적자(되도록 양대상위리거 우선)
02.1 이윤열 홍진호 이재훈
02.2 이윤열 홍진호 박정석
02.3 이윤열 조용호 박정석
03.1 서지훈 홍진호 강민
03.2 최연성 홍진호 박용욱
03.3 최연성 조용호 강민
04.1 최연성 박성준 박정석
04.2 최연성 박성준 박정석
04.3 이윤열 박태민 박정석
05.1 서지훈 박성준 박정석
05.2 최연성 마재윤 오영종
05.3 최연성 조용호 박지호
06.1 한동욱 마재윤 강민
06.2 이윤열 마재윤 오영종
06.3 이윤열 마재윤 김택용
07.1 변형태 김준영 김택용
07.2 박성균 이제동 김택용
07.3 이영호 이제동 송병구
08.1 이영호 박성준 박영민
08.2 정명훈 김준영 송병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얼음날개
08/12/30 09:38
수정 아이콘
뭔가 확 눈에 들어오는 데이타는 아니네요; 이른 아침이라 잘 안 읽혀서 그런가 ㅠㅠ
王非好信主
08/12/30 09:46
수정 아이콘
한줄요약 : 테란 킹왕짱
담배피는씨
08/12/30 11:54
수정 아이콘
인쿠르트 - 클럽데이
테란 25 26%
저그 11 11% // 아..
토스 60 63% // 비율이 60%를 넘기다니.. 황금기가 맞긴 맞군요..
좋은 자료 감사 합니다~
스카웃가야죠
08/12/30 12:29
수정 아이콘
한자리 대를 기록한것은 프로토스가 유일하고 그럴때도 많네요. 60%라해도 프로토스 비율이 가장많은 적은 이번리그뿐인데 황금기라는것은 너무 오버한것..인식이 원래는 테란이 1위해야 해서인가?
王非好信主
08/12/30 13:45
수정 아이콘
스카웃가야죠님// 그게 50%대와 60%대는 전혀 다른 의미거든요. 50%대도 그 종족이 정말 최고의 피크를 찍었을 때의 기록인데 60%대는... 50%대가 둘 중 하나라면, 60%대는 셋 중 둘에 가깝죠. 바꿔말하면 나머지 둘을 합한 비율이 1:1인 것조차도 정말 피크를 찍을 때인건데 2:1수준이 됐다는거에요.

지난시즌의 토스의 점유율은 스타리그가 양대리그로 정립된 후 7년이 흐르는 동안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겁니다. 토스가 처음으로 1위를 했기 때문에 토스가 원래 그래선 안되는데 해서 토스에 대해서 말이 많은거냐... 수준이 아니고 '역대 가장 밸런스가 무너진'시즌이 지난 시즌이란 거에요. 이윤열선수가 그랜드슬램을 차지했을 때보다 무려 8%가 상승, 다른 두종족을 합한 비율과의 차로 이야기하자면 16%가 나버린 거에요. "테란 55:45 저그+토스" 이게 테란크래프트라 불리던 역대 최악의 밸런스였는데, "토스 63:37 테란+저그" 이게 지금 수준이란 겁니다. 지난 시즌의 기울기는 이윤열+최연성+서지훈+이병민이 지배하던 때나, 저그의 변태준이 활약하고, 조용호와 홍진호가 남은 상태에서 마재윤이 떠오르던 05년1시즌보다 2배 가까이 차이나는 거에요.(33%를 기준으로 봤을때 05.1의 저그는 +19인데, 지난시즌 토스는 +30이에요)

더 중요한 점은 저정도로 기울어진 시즌을 보냈음에도 엠겜에서 밸런스를 맞추려는 의사가 없었다는 겁니다. 토스가 9%의 점유율을 기록했던 02.1시즌때는 테프에서 문제를 보였던 버티고가 삭제, 포비든 존이 수정됐고, 저프에서 문제를 보였던 비프로스트가 수정됐구요. 최악의 6%를 보였던 02.3시즌 후에는 건틀렛, 기요틴, 노스텔지아등 당시관점에서 테란불리로 판단되는 맵들로 교체됐습니다. 한시즌 뒤에는 패러독스를 때려냈구요.

지난 시즌이 외관상 온겜에선 4강, 엠겜에선 8강진출자를 내면서 저그가 11%점유율을 겨우 냈지만, 예전처럼 조편성에서의 종족배분이 없어서 저저전을 통해 올라간 것이었죠. 지난시즌 10번의 5전3선승에 저그는 딱 2겜만 진출해 1/10을 차지했으며, 두경기 모두 졌습니다. 3전2선승을 포함해도 저그는 김준영선수가 이영호선수를 상대로 승리한 것이 유일하죠.

이번시즌 역시 온겜의 경우 좀 의도적으로 저그의 부활이란 시나리오를 위해 저그의 수장들을 뒷조로 몰아넣은 감이 있지만 어쨌든 현재까지 시드배정자 김준영선수 뿐이며, 엄청 '선전한다'소릴 듣는 엠겜에서의 '32강'으로의 진출율이 현재까지 확정자 28명중 7명으로 25%에 불과합니다. 결승이나 4강, 8강도 아닌 '32강'에 합류하는건 밸런스가 기울어도 상위권선수들은 진출을 기대해 볼만한 수치인데도 저정도라는 것이죠.

지난 9년간의 방송리그를 통해 종족 기반과 맵, 그리고 그것의 밸런스에 대한 경험이 쌓였을 텐데 6년전 수준으로 회귀해 버린 것이 좀 문제랄까요?
sun-horus
08/12/30 17:14
수정 아이콘
스카이02 - KPGA3차리그
테란 45 48%
저그 18 19%
토스 31 33%

박정석선수가... 몇점인거죠..
08/12/30 17:48
수정 아이콘
이윤열... 레전드..
王非好信主
08/12/30 17:53
수정 아이콘
sun-horus님// 31점중에서 24점입니다. 마찬가지로 그 다음시즌 6점중에서 2점이 박정석선수의 점수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577 곰 TV 클래식 64강 2R 2주차 [378] SKY925285 09/04/19 5285 0
37576 스타2 배틀리포트2 간단리뷰~ [9] 마빠이5713 09/04/19 5713 0
37575 3:0은싫어요. 프로리그 4경기까지 하면 어떨까요? [18] 오가사카5440 09/04/19 5440 0
37574 오늘의 프로리그-SKTvs화승/CJvs삼성 [358] SKY927405 09/04/19 7405 0
37573 좀 지났지만 스타2 배틀리포트2가 공개되었습니다. [36] 태양의임7343 09/04/18 7343 0
37572 오늘의 프로리그-공군vsSTX/MBCgamevsKTF [413] SKY926095 09/04/18 6095 0
37571 위너스 + 프로리그. [14] Yang4914 09/04/18 4914 0
37570 가볍게, 적당히, 즐겁게. [22] sylent6153 09/04/18 6153 3
37569 언파워드 버그 (Unpowered Bug) 스타크래프트 (StarCraft 1.16.1) [15] 우리동네안드11370 09/04/18 11370 0
37568 Fnatic.NoName interviewed 이윤열 [2] Naana5444 09/04/17 5444 0
37567 위너스리그의 결정적 단점 [370] 박지성11269 09/04/17 11269 0
37565 이영호vs조병세 리뷰 [30] 김연우9892 09/04/16 9892 5
37564 서바이버 토너먼트 3,4조 [376] SKY926189 09/04/16 6189 0
37563 서바이버 토너먼트 1, 2조 1주차 경기입니다(2) [382] The xian5971 09/04/16 5971 0
37562 서바이버 토너먼트 1, 2조 1주차 경기입니다. [442] The xian6190 09/04/16 6190 0
37561 신한은행 프로리그 4라운드 2주차 엔트리가 공개되었습니다. [30] The xian5468 09/04/16 5468 0
37560 위너스리그의 장단점과 확대개편가능성. 부가적으로 엔트리예고제. [44] ipa7326 09/04/15 7326 5
37559 누군가는 해야하는 말, 프로리그의 희망, 위너스리그! [99] kEn_8319 09/04/15 8319 15
37556 오늘의 프로리그-이스트로vsKTF/위메이드vsSTX [343] 귀공자4834 09/04/15 4834 0
37555 ESWC 마스터즈 각 종목별 참가자가 확정이 되었습니다^^ [15] 잘가라장동건5065 09/04/15 5065 0
37553 오늘의 프로리그-하이트vs삼성/웅진vs화승 [197] SKY925155 09/04/14 5155 0
37552 현 프로리그 4경기 부터 에이스결정전 어떨까요?? [11] 마빠이6343 09/04/14 6343 0
37551 김재훈, 문준희가 될 것인가 허영무가 될 것인가. [24] 설탕가루인형7910 09/04/14 791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