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1/13 15:09:39
Name RookieKid
File #1 44.jpg (147.7 KB), Download : 25
File #2 33.jpg (131.4 KB), Download : 22
Subject [기타] 온게임넷은 팀의 정식명칭을 일관성 있게 표기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0.
첫번째 사진은 롤챔스스프링 12강 KT 롤스터 B (현 KT 롤스터 Bullets) 대 SK텔레콤 T1 #1 (현 SK텔레콤 T1 S,)
VOD내의 스코어보드와 tving 사이트 내에 KT Rolster B 와 SKT T1 #1 이라고 표기되어있습니다.

두번째 사진은 롤챔스윈터 4강 SK텔레콤 T1 K 대 KT 롤스터 Bullets 의 경기입니다.
VOD내의 스코어보드에는 SKT T1 K 와 KT Bullets 라고 표기되어있고,
tving 사이트 내 일부에는 SKT T1 #2 라고 표기되어있습니다.

1.
BetKyo가 속한 리그오브레전드 프로팀의 정식명칭은 Incredible Miracle #2 입니다.

그냥 팀명+2팀구분을위한식별자 입니다.
별 문제 없습니다. 실제 롤챔스에서도 제대로 표기해왔구요.


2.
Arrow가 속한 리그오브레전드 프로팀의 정식명칭은 Xenics Storm 입니다.

팀명이 따로 없고 스폰서명과 두 팀에 각각 따로 이름을 붙여 표기합니다.
약간 특이한 경우입니다.


3.
Faker가 속한 리그오브레전드 프로팀의 정식명칭은 SKTelecom T1 K 입니다.
MadLife가 속한 리그오브레전드 프로팀의 정식명칭은 CJ Entus Frost 입니다.
BetKyo가 속한 IM #2에 LG 스폰서가 있을 때에는 LG-IM #2 였습니다.

이 경우는 스폰서명+팀명+2팀구분을위한식별자 로 구성된 팀입니다.
기존 스타크래프트 시절부터 이어진 팀들이 많습니다.


4.
3종류 정도로 분류 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경기 해설할 때는 긴박한 상황이 계속 이어지기 때문에 어쩔수 없다고 하더라도
방송에 노출되는 자막이나 다 끝나고 하는 정리멘트 등에서는 정식명칭을, 그것도 일관성 있게 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올린 캡쳐본을 예로 들면,
SKTelecom T1 K vs KT Rolster Bullets (모두 표기)
SKT T1 K vs KT Rolster Bullets (SKTelecom을 줄임표기)
SKT K vs KT Bullets (통합팀명 제외하고 스폰서와 팀식별자만 표기)
T1 K vs Rolster Bullets (팀명과 팀식별자만 표기, 단 이 경우는 스폰서가 제외되므로 사실상 불가능)

이렇게 표기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왜 한쪽은 SKT T1 K고 한쪽은 KT Bullets 죠?

딱히 기분이 나쁘다거나 어느쪽을 편애한다거나 이런 느낌은 없지만
그래도 이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가요? 제가 좀 쓸데없는 걸로 이러는 건가요?

ps. 나진팀은 나진 e-mFire Black Sword, 나진 e-mFire White Shield 인데, 풀네임이 길긴 기네요.
ps2. 아이디에서 NJBS PraY 는 뭔지 알겠는데 NJWH NoFe 는 왜 WH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블루라온
14/01/13 15:14
수정 아이콘
당연히 올바르게 표기해줘야 하는거고, 틀린게 잘못된거죠. 일관된 명칭을 사용해서 혼동을 주지 않아야 하는건
온게임넷에서는 당연히 해줘야 하는 거라 봅니다.
쓸데없다고 보는지 아닌지는 개인차일거 같아요. 신경안쓰는 분들도 분명 있을테니까요.
베네딕트컴버배치
14/01/13 15:15
수정 아이콘
전 그냥 글자수때문에 적당히 보기좋은선에서 줄이고 한줄알았는데
티빙 다시보기로 팀소개 나래이션을 보니 케이티불릿츠라고 하네요.
14/01/13 15:16
수정 아이콘
아주부 팀들이 CJ로 처음 갔을때 정식명칭은 cj entus frost/blaze였지만 최근엔 모든 표기를 CJ Frost/Blaze로 하더군요.
전 이렇게 스폰서 명과 팀 이름으로 해주는게 좋아요. 게임단 이름이 중간에 들어가면 너무 길기도 하고 복잡하기도 하고요.
T1은 T1이라는 이름이 짧아서 쓰기 불편하진 않은데 SKT T1 K 먼가 이름이 복잡해 보이는 느낌은 있어요.

근데 모든 팀을 다 똑같이 해야할 필요가 있을지는 모르겠어요 그냥 팀에서 요청하는 이름으로 불러주는게 맞지 않나 싶은데요. 방송에 부적합한 이름이나 너무 긴 이름 아니면 팀에서 요청하는대로 표기해 주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Varangian Guard
14/01/13 15:16
수정 아이콘
엄연히 공식대회인데 일관성 있게 표기하는 게 옳다고 봅니다.
Lainworks
14/01/13 15:25
수정 아이콘
방송에 넣느라 공간 모자란것도 아니고 저렇게 정보 제공하는 부분에서 팀이 제공하는 공식 명칭을 혼동해서 사용하면 아마추어 티 내는거죠.
양념반자르반
14/01/13 15:25
수정 아이콘
일관성만 있다면 상관없다고 봅니다.
는 조금 다른얘기로 NLB도 챔스처럼 아이디를 통일 했으면 좋겠습니다..ㅜㅜ
단지날드
14/01/13 15:30
수정 아이콘
그건 대회서버가 아니라 힘들듯 하네요
ThisisZero
14/01/13 15:40
수정 아이콘
막눈도 아이디 선점당해 마크눈으로...ㅠ.ㅠ
vlncentz
14/01/13 15:41
수정 아이콘
white shield 라서 wh , black sword라서 bs죠. cj는 팀명 ice/fire가 아니라 진심으로 행복합니다. 나진은 로코 영입 안하고 뭐합니까 크크크
vlncentz
14/01/13 15:43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이런 지적은 짧고 금방 피드백 가능한 부분이지만 굉장히 의미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e-sports의 본질이 스포츠던 엔터테이먼트건 전문적으로 보이게끔 포장하는건 중요한 점이라고 봐요. 개인적으론 위 같은 부분은 그냥 풀네임 표시하고 방송상의 자막에서는 디자인상 적절하게 내보내야한다고 봅니다.
글렌피딕
14/01/13 16:03
수정 아이콘
로코 나진에서 삭발했답니다
vlncentz
14/01/13 16:17
수정 아이콘
오늘부로 어디가서 롤 마니아라고 할 자격을 잃어버렸슴다 -_-;;;
RookieKid
14/01/13 16:41
수정 아이콘
shield가 왜 h죠... 이해를 못하겠음요...ㅠㅠ
ws bs 하면 s가 똑같아서 h로 한건가요?
vlncentz
14/01/13 16:55
수정 아이콘
...? 오늘부로 어디가서 영어 할줄 안다고 할 자격을 잃어버렸슴다. 댓글하나에 여러번 완파당하네요;;;
ThisisZero
14/01/13 15:51
수정 아이콘
명칭의 통일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봅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요.
불건전PGR아이디
14/01/13 15:55
수정 아이콘
당연한 얘기긴 한데, 우리가 신경쓸 부분은 아닌거같아요
14/01/13 16:58
수정 아이콘
우리가 신경안써도 알아서 해주면 좋은데, 일관성이 없으면 요청을 해서 고치도록 유도하는게 팬들이 할 일이긴 하죠.
불건전PGR아이디
14/01/13 18:29
수정 아이콘
왜 팬들이 할일이죠?
자다깨고깨다자고
14/01/13 18:31
수정 아이콘
피드백 없으면 문제를 문제라고 인식을 못할텐데말입니다 -.-..;
불건전PGR아이디
14/01/13 19:05
수정 아이콘
애초에 저게 팬들의 피드백을 요하는 중요한 문제냐에 대한 공통적인 인식이 있은 후에 얘기죠
14/01/13 20:08
수정 아이콘
어쨌든 소비자가 팬이니까 소비자가 신경쓰이는 부분은 요구해도 되는거 아닌가요? 중요하냐 마냐를 떠나서 잘못된 트집을 잡는 것도 아니고 충분히 요구할수 있을만한 일 같은데요? 마스터충달님 말대로 해야할 의무는 아니지만 해도 되는일 아닌가요?
마스터충달
14/01/13 19:20
수정 아이콘
해야할 일은 아니지만
해도 되는 일이죠.
데자와
14/01/13 16:04
수정 아이콘
타이틀쪽에는 줄임표시를
자막이나 텍스트가 충분한 곳에는 풀네임을 적어주면 될 텐데...
일관성만 유지해 주면 좋겠네요.
츄지핱
14/01/13 16:11
수정 아이콘
삼성 갤럭시 오존의 경우에도 SG Ozone 이라고 쓰는 경우도 많죠. 어쨌든 통일을 하긴 해야한다고 봅니다. 각 기업들도 게임단 이름보다는 기업 홍보가 더 중요한 만큼 가운데 게임단 이름은 빼는 쪽으로 신경 썼으면 좋겠고요.
정용현
14/01/13 16:40
수정 아이콘
해설분들도 다들 제각각이죠. 그나마 김동준 해설위원이 제일 정확하게 말씀해주시는 편이고.
14/01/13 16:58
수정 아이콘
이것도 게임 내에 5인 랭크로 팀명 정하듯이, 대회 서버에서는 프로 팀으로 간단히 표기할 수 있도록 바꾸면 되는 일이죠. 쓸데없이 팀 이름이 길어지니, 선수들 아이디만 계속 바뀌고, 정말 안 좋습니다.
14/01/13 17:54
수정 아이콘
저건 온게임넷이 아니라 티빙측이 잘못한거 같은데요
뚜루뚜빠라빠라
14/01/13 19:35
수정 아이콘
그냥 Rolster 랑 T1 이라는 팀명 글자수 차이때문에 저렇게 표기하는거같은데요

방송사측 잘못이라기보단 팀이랑 소통이 있겠죠 저런문제면
낭만토스
14/01/13 20:22
수정 아이콘
해축도 많이 혼용해서 쓰더군요

맨 유
맨유
맨체스터
맨 U
맨 utd
가을바람
14/01/13 23:41
수정 아이콘
그래도 영국방송에서는 일관되게 적지 않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703 [기타] [GDC2014] 개발자들이 뽑은 올해의 게임상 [13] Leeka8760 14/03/21 8760 0
53702 [LOL] 천하의 라이엇은 왜 이렇게 혓바닥이 긴가? [132] Quelzaram13663 14/03/21 13663 9
53701 [LOL] 롤 마스터즈 2경기 3경기 리뷰 [94] Jinx12013 14/03/20 12013 1
53699 [기타] 워썬더 공중전에 입문해보자 [3] 당근매니아33481 14/03/20 33481 0
53698 [LOL] 모든 국가 정규리그 시작! - 파워랭킹 10주차 랭킹 [44] Leeka13604 14/03/20 13604 0
53697 [스타2]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시즌 간담회에 초대합니다. [2] 한국e스포츠협회9852 14/03/20 9852 6
53696 [도타2] 최근 늑대인간이 자주 나오는 이유 [9] Quelzaram9450 14/03/20 9450 0
53695 [LOL] 마스터이로만 다이아찍은 기념, 정글 마이 공략. [37] 가렌13887 14/03/20 13887 4
53694 [LOL] 세빛둥둥섬을 롤드컵 장소로 활용하는건 어떨까요? [24] 라플라스10508 14/03/20 10508 2
53693 [LOL] 롤챔스 16강. 첫 바퀴. 이변은 개막전뿐. [5] Leeka9980 14/03/20 9980 0
53692 [LOL] 시즌 통틀어서 가장 노잼메타... [152] Jinx13987 14/03/19 13987 3
53691 [기타] [WOW]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인터뷰 (e스포츠 관련) [14] 이호철10907 14/03/19 10907 0
53690 [하스스톤] 하스스톤의 옵저빙은 어떤 방식이 가장 괜찮을까요? [29] RookieKid11964 14/03/19 11964 0
53689 [LOL] 신발 인첸트 및, 소환사 주문 변경 레드포스트 [71] Leeka12634 14/03/18 12634 0
53688 [기타] 엑원. 9월 한국 정식 발매 [16] Leeka10101 14/03/18 10101 1
53687 [LOL] HOT6ix LOL Champions Spring 조별리그 4회차 프리뷰 [62] 노틸러스9530 14/03/18 9530 0
53686 [LOL] 라이엇 코리아에 비매너 소환사에 대해 문의해보았습니다. [75] 영혼12555 14/03/18 12555 5
53685 [LOL] aura의 꿀챔 소개 (3) [39] aura10802 14/03/18 10802 2
53684 [LOL] 명품 연기력을 펼쳐보자 [42] Kanimato11248 14/03/18 11248 2
53683 [LOL] 북미 4.4 패치노트 공개 [78] Leeka13714 14/03/18 13714 0
53682 [스타2] 2014년 3월 셋째주 WP 랭킹 (2013.3.16 기준) - 한 주만에 새로운 1위! [3] Davi4ever8688 14/03/18 8688 2
53681 [LOL] 솔직히 전 라이엇 코리아에 실망감이 큽니다 [120] 하늘의 궤적12801 14/03/18 12801 4
53680 [LOL] 안녕하십니까 저는 Midas FIO 감독 서민석입니다. [60] 삭제됨12625 14/03/18 12625 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