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11/02 11:46:42
Name 운명의방랑자
Subject [스타2] 잡생각 투척합니다. 2015 WCS, 비한국인 선수들은 어디로 움직일까요?
11월 1일, 바로 어제였죠. 블리자드는 자기들이 만들었던 천하삼분지계가 실패로 끝났음을 인정했습니다. 초창기부터 한국이 완벽하게 패권을 잡고 있을 뿐 아니라 선수층마저도 다수를 차지하는 스타 2 시장에서, 블리자드는 어설프게 해외 판을 개방했다가 상상을 초월하는 성적표를 받아들고 할 말을 잃었을 겁니다.

고민 끝에 마련한 개편안은, 저퀴님의 말 그대로 '두번째 시스템 구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https://www.ppt21.com/?b=6&n=55548). 북미와 유럽의 통합 프리미어 리그가 생기고 참가 요건이 강화되었으며(편의상 이걸 '통합진영'이라고 하죠), 한국에선 스포티비 게임즈가 새로운 개인 리그의 출범을 시사하며 참가 요건이 없는 두 개의 글로벌 프리미어 리그가 생겼습니다(이건 '글로벌 진영'이라고 하죠). 천하삼분지계가 천하이분지계로 바뀌고, 정립(鼎立)에서 양립(兩立)으로 패러다임이 옮겨갔습니다.

2013년의 한국-북미-유럽은 (사람들이 인정하던 인정하지 않던) 서로 동등했지만, 2015년의 통합진영과 글로벌 진영은 서로 매우 이질적입니다. 통합진영은 챌린저 리그부터 각 지역을 최대한 보호하지만, 글로벌 진영은 아무런 보호 장치도 없습니다. 통합진영은 프리미어 리그가 하나이지만, 글로벌 진영에는 둘이 있습니다(글로벌 진영에 더 많은 보상이 주어질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통합진영에는 이제 한국인 선수들이 좀 줄어들겠지만, 이들이 합류하는 글로벌 진영에선 치열한 경쟁이 있을 것입니다.

개편안의 핵심은 "한국인 못 막으니까 해외를 최대한 보호해보자"입니다. 거꾸로 말하자면 비한국인 선수가 글로벌 진영에서 활동하는 것은 문제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2014년까지는 이걸 고민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한국이 제일 빡세다는 건 더 말 할 필요가 없고, 그런 지옥 같은 곳 비한국인이 도전해야 할 이유는 없으니까요. 실제로도 라이언 비스벡의 당찬 포부가 전부였죠.
그런데 북미·유럽 프리미어 리그가 통합되었으므로 64장의 출전권은 32장으로 반감했고, 챌린저 리그부터 지역별로 나뉘기 때문에 실질적인 문턱은 더 높아졌습니다(예를 들어 중국인이라면, 잡을 수 있는 티켓은 두 장밖에 없겠죠). 이젠 통합진영에서 헬게이트가 열릴 가능성도 계산을 해야 합니다. 반면 글로벌 진영은 경쟁이 치열한 거야 똑같지만, 프리미어 리그가 둘이라서 운만 좋으면 곱절의 소득을 거둘 수가 있습니다. 설령 한 곳에서 말아먹어도, 다른 한 곳에서 평타를 치면 못 버틸 것도 없죠.

지금까지 한국에서 활동하는 것은 득이 되지 않는 행동이었습니다. 그래서 내년 글로벌 진영은 (한국인 선수들의 귀환을 유도하기 위해) (양대리그 체제를 필두로) 많은 꿀을 발라놓았습니다. 그런데 비한국인 선수들이 여기에 도전해서 그 꿀을 빨아먹어도 상관이 없죠. 그리고 내년 통합진영은 통 알 수가 없습니다. 궁금증은 여기서 시작되었습니다. 비한국인 선수들이 글로벌 진영에 도전하는 도박을 시도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11/02 12:29
수정 아이콘
그런데 SPOTV 게임즈의 프리미어는 16강이란 게 문제라고 봅니다. 대회는 두 곳이지만, 실질적으로 문은 48강 정도인데다가, 그 대회는 중복 출전이 되죠. 사실상 따지고 보면 그 이하가 되어버립니다. 그래서 비한국인 선수들이 도전하긴 어렵다고 봐요.
엘더스크롤
14/11/02 12:53
수정 아이콘
갑자기 너무나 많은 대회가 생겨버렸네요...

GSL3회 스포TV스타리그3회 케스파컵3회 핫식스컵1회 글로벌파이널1회

듣기로는 블리자드가 한국지역에 시즌파이날급대회 2번 연다는거같던데.. 그럼 도대체 몇개의 대회가 열리는건지..
운명의방랑자
14/11/02 13:04
수정 아이콘
일단 GSL 3회. 여기에 스포TV 게임즈 개인 리그 병행, 케스파 컵이 3회로 확장, 4라운드제 프로리그…최소 10회는 확정이죠.
근데 해외는 프리미어 리그가 통합된지라…시즌 파이널만 돌아오면 완벽할텐데요.
14/11/02 14:40
수정 아이콘
그동안의 대회가 솔직히 한국 내의 선수들을 많이 안 챙겨준것에 더 가까운 느낌이 듭니다. 오히려 이번 개편 체제가 비한국인을 더 존중하는 체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다만 거기서 취업 비자를 따버리고 머무르게 되어버리면...
가루맨
14/11/02 15:09
수정 아이콘
비한국인은 일단 통합 프리미어 리그 우승이라도 좀...
운명의방랑자
14/11/02 15:27
수정 아이콘
어떻게든 통합진영에 남을 한국인 선수들이 꽤 있을 거라 봐서요…2015년 돼도 그렇게 달라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NoAnswer
14/11/02 18:37
수정 아이콘
한국에 대회가 많이 신설되기는 하나, 드림핵 iem 홈스토리컵 레드불 배틀그라운드와 같은 해외 코어대회도 많은 만큼 해외 선수들이 한국으로 들어올 일은 잘 없어 보입니다.
azurespace
14/11/03 20:46
수정 아이콘
절반으로 줄었어도... 외국인들 입장에서 그 지옥같은 한국놈들이 절반 이하로 줄면 오히려 해볼만한 거지요.

체제가 바뀌었으니 잘하면 스누테나 스칼렛, 버니 같은 선수들을 내년 그파에서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군요.
운명의방랑자
14/11/04 01:05
수정 아이콘
스누테와 스칼렛, 버니 얘기가 나온 김에 첨언하자면, 누가 봐도 확실한 강자들은 글로벌 진영에 안 오는 게 낫죠. 실력은 그저 그렇지만 지역에서 압도적인 선수들(메이저라던가)도 안 올 겁니다. 문제는 아주 강하지는 않은 경우인데, 이쪽은 감이 안 잡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138 [기타] [괴밀아] 이게임 참 재밌는데 이거참... [18] 어빈6476 15/06/25 6476 0
57137 [하스스톤] 두번째 선술집 - 무클라의 생일이 시작되었습니다! [52] ripd9257 15/06/25 9257 0
57135 [하스스톤] 2015-06 3주차 메타 랭크, 탐욕의 삼위일체(덱리스트 추가) [60] Judas Pain15695 15/06/24 15695 5
57134 [LOL] LJL 시즌2 전반기 리뷰(+한국 선수들 이야기) [13] 라덱8431 15/06/24 8431 12
57133 [LOL] 비매너 플레이어에 대한 즉각적 피드백 시스템이 이번주 한국서버에 도입됩니다. [25] 삭제됨9429 15/06/24 9429 0
57132 [스타1] '몽상가' 강민의 조각들 [31] becker13527 15/06/24 13527 67
57131 [히어로즈] 다음 패치 노트가 떴습니다. [42] 세이젤7397 15/06/24 7397 0
57130 [LOL] 롤에서 인식에 비해 현실이 다른 챔프들을 한 번 정리해봤습니다. [94] 조홍11332 15/06/24 11332 8
57129 [기타] [워크3] 추억의 유즈맵, 배틀쉽 공략 上 [9] 라라 안티포바32639 15/06/24 32639 2
57127 [기타] 크루세이더 킹즈2 연재 35화: 악령이 보인다... [39] 도로시-Mk215557 15/06/24 15557 36
57126 [기타] 다소 씁쓸한 콘솔 게임 이야기 [36] RoseInn8913 15/06/24 8913 2
57125 [기타] 아캄나이트는 콘솔로... [36] swordfish-72만세10126 15/06/23 10126 0
57124 [스타2] 프로리그 3라운드 종합입니다. [17] 7656 15/06/23 7656 8
57123 [LOL] 베인은 어떻게 강캐가 되었나? [75] 다크템플러11453 15/06/23 11453 11
57122 [기타] 하츠 오브 아이언4 알파 버전 플레이 영상 [8] swordfish-72만세9801 15/06/23 9801 1
57121 [스타2] 안녕하세요 또 인사 드립니다. [22] 삭제됨10710 15/06/23 10710 13
57120 [스타1] 이 중 전성기에 가장 보고 싶은 매치업은? [55] 영웅과몽상가10385 15/06/23 10385 0
57119 [기타] 하하하 또 속았구나 한국 호갱들아 [49] VKRKO 13895 15/06/23 13895 2
57118 [기타] [크킹2] 열흘간의 사투 [27] Anyname8694 15/06/22 8694 3
57117 [스타2] King of the WINGS, IM_Mvp 정종현 [27] Yi_JiHwan8128 15/06/22 8128 15
57116 [하스스톤] [자랑글] 3번째 투기장 12승 달성 [28] 유유히7740 15/06/22 7740 0
57115 [기타] 독수리의 눈으로 입문자를 노리는 HOMM3 소개 (2) 타운설명과 기타 팁 [51] 조홍10727 15/06/22 10727 3
57113 [하스스톤] 어제 하스스톤 입문했습니다~ [20] chamchI7862 15/06/22 786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