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6/10/31 21:35:28
Name 엘더스크롤
Subject [스타2] 프로리그가 망한 이유는 간단한거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비정상적인 시스템 운영이였어요..
전세계 어디에도 프로리그 처럼 대규모로 팀리그를 운영하는 곳은 없습니다.
특히 스타2 같은 1:1 래더게임에서는 더욱 더 의미가 없어지죠..
스타1이 비정상적으로 한국에서 광풍이 불어서 성공한거지 스타2 프로리그가 망한건 아주아주 정상적인거죠.
무려 6년이나 버틴게 신기합니다.

많은 분들이 스타2 프로리그 망했네 스타2 망~~ 이런 발언을 할때마다 참 이해가 안가더군요..
저는 지금 이상황이 스타2에게 맞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개인적으로도 매우 환영하는 일이구요.
팀리그를 줄이고 개인리그를 더 많이 열고.(블리자드에서 내년에 개인리그 비중을 지금 보다 더 늘린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리그가 열리는 게임이 스타2로 알고있구요.(소규모 대회 포함 상금은 도타2)
애초에 게임이 재미가 없었다면 이렇게 많은 리그가 오래 열리지 못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온라인 게임도 아닌 패키지 게임이 이렇게 오래 동안 인기를 끌수 있다는것이 저는 개인적으로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스타2가 얼마나 갈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 열리는 개인리그도 즐겁게 감상할 예정입니다.

솔직히 LOL 스타2 빼면 국내 게임리그 처참하잖아요..
깍아 내릴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터충달
16/10/31 21:41
수정 아이콘
스타 같은 1:1 게임이라면 골프나 테니스 같은 형태로 대회가 열리는 게 바람직하긴 하죠.
레스터
16/10/31 22:02
수정 아이콘
비정상적인 시스템이긴 하나, 가뜩이나 중소규모 대회도 줄어들고 없어지는 와중에 선수생명을 이어가는데 중요한 리그였죠. 상금만으로 선수생활 이어가기 힘든 현실이라 환영할만한 일은 아닙니다.
가루맨
16/10/31 22:35
수정 아이콘
중소규모 대회가 줄어든 건 아닙니다.
군심 중반부부터 중국 시청자가 늘어나서 중소규모 대회는 지금도 활발하죠.
아쉬운 건 메이저급 대회가 줄었다는 거죠.

앞으로 문제가 되는 건 프리미어급 대회의 수와 상금 그리고 지역 락 등이라고 봅니다.
결국 가장 중요한 건 블리자드의 의지겠죠.
개인 리그를 확대하고 상금을 늘리면 국내 선수 풀도 어느 정도는 유지될 거라고 봐서요.
16/10/31 22:29
수정 아이콘
문제는 프로리그 없어진다고 개인리그가 더 왕창 열리는것도 아니라는거죠.
프로리그 도입되기 이전 스타는 위기였습니다. 수많은 개인리그들이 어느새 하나둘씩 사라지고 없어져갔습니다.
2002~2003년만해도 스타 나온지 4~5년 되다보니 개인리그가 점점 사라지는 상황이었어요.

거기서 다시금 스타의 수명을 늘려준게 프로리그고 팀체제 운영이었습니다.

마치 프로리그가 생겼기때문에 스타가 개인리그 다수로 운영될 기회를 잃었다라고 생각하시는 듯한데 절때 프로리그 없어진다고 개인리그 우후죽순 생기는게 아닙니다. 오히려 엄청나게 많았던 개인리그가 점점 사라져가던 상황이었어요.

프로리그가 사라진다고 개인리그가 더 많이 열리고 개최되는게 아닙니다. 스타를 생각하면 그 수많은 개인리그가 사라진건 프로리그 때문이 아니라 그냥 그 게임 자체의 수명이 다해갔기 때문입니다. 프로리그는 그렇게 수명이 다할 게임을 한창 더 연장시켜준거구요.
낭만드랍쉽
16/10/31 23:02
수정 아이콘
고만하죠.
이런글이 올라올수록 아픈건 스타2에요.
케스파마져 내년에 스2 케스파컵 늘린다는데 뭐가 걱정입니까.
아직도 스1 스2 팬들이 프로리그 굿바이를 빌미로 싸우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네요.
이제 고만 싸워요.
스1은 스1대로 아픈거고.
스2는 스2대로 아픈건데,
왜 서로 긁으며 생체기를 내나요.
Agnus Dei
16/10/31 23:12
수정 아이콘
생채기 내고 나몰라라 하는 인간들이 있으니까요.
그냥 툭툭 던져놓고 자기 발언에 책임은 절대 안 지죠.
그래놓고 근거 요구하면 정신승리나 해대고.
16/10/31 23:18
수정 아이콘
미래를 논해야할때죠.
블자에서 새로운 대회를 만든다는 소문도 있고
내년을 기약해야죠
잠자는 사서
16/10/31 23:25
수정 아이콘
모든 건 17시즌 계획 발표를 보고 나서 얘길하는게 정확하겠죠!
일단은 블리즈컨 우승부터 챙기고, 중국 1억원 대회 챙기고!
가루맨
16/11/01 00:18
수정 아이콘
중국 대회도 글로벌 파이널과 우승 상금을 똑같이 책정했죠.
둘 다 우승 상금 20만 달러입니다.
현재 둘 다 먹을 가능성이 있는 선수는 전태양, 닙, 쇼타임이고요.
잠자는 사서
16/11/01 02:24
수정 아이콘
엥? 그렇군요. 10만달라로 착각했네요
16/11/01 02:17
수정 아이콘
망한 집안에서 왜 싸웁니까?. 이런 얘기하는 것 자체가 눈물겨울뿐입니다. 즐겼던 게임이 막을 내리는 것에 대해서만 슬픕니다. 시즌에 상관없이, 항상 그래도 랭킹 안엔 들지 않아야겠냐는 마음으로 할 때마다 200위 안을 지켜왔던게 6년이었습니다. 어떻게 오를거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게임도 할만큼 했고 볼만큼 많이 봤습니다. 하지만서도, 어떻게 된 이상 적어도 스타게이머 했던 모든 분들은 행복한 삶을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이 우리에게 준 행복은 당신들이 평생 누릴만한 행복으로 충분할만큼 충분히 얻었을테니까요.
유자차마시쪙
16/11/01 09:35
수정 아이콘
어차피 망겜충은 롤 오버워치 스투 안가리고 망겜망겜 망리그망리그 거릴거라...
스투까면 스1빠 같지만 그냥 태세전환하면서 둘다까면서 꿀잼거리는 종자가 핵심에 껴있다고 봅니다.
Agnus Dei
16/11/01 13:54
수정 아이콘
뭐 정확히 말하면 대세게임에 빌붙는 종자들이죠. pgr에서 스1에 빌붙어서 스2망망거리던 인간이 요새는 롤에 빌붙어서 그러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708 [스타2] WCS 포인트 기반 현역 프로게이머 커리어 랭킹 [18] 삭제됨8398 17/07/30 8398 2
61707 [기타] [섀도우버스] 7월 31일 패치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15] Sinity6847 17/07/30 6847 0
61706 [오버워치] APEX 시즌3 결승 결과가 나왔습니다. [28] 미네랄배달11428 17/07/30 11428 6
61705 [스타2] 7월 5주차 스타크래프트II 파워 랭킹 - 이병렬 집계 첫 1위 [4] bigsang137158 17/07/29 7158 2
61704 [스타1] 스타1 리마스터 PC방 선공개가 다가왔습니다(리마스터 여러 행사 알림) [22] 빵pro점쟁이12847 17/07/29 12847 3
61703 [기타] [배틀그라운드] 처음으로 치킨을 뜯었습니다. [23] 모선9310 17/07/29 9310 7
61702 [스타1] 본의 아니게 하루 일찍 스타 리마스터를 접했습니다?! [12] 히을13640 17/07/29 13640 1
61701 [스타2] 워체스트가 1차 목표금액을 달성했습니다. [5] 보통블빠8581 17/07/29 8581 4
61700 [하스스톤] BB가 11장의 카드를 공개했습니다. [33] 비익조11438 17/07/29 11438 1
61699 [LOL] 스코어의 강타 실력은?.. 막판을 향해 달려가는 롤챔스 서머 [36] Leeka9177 17/07/29 9177 0
61698 [LOL] 롤챔스 서머, 현재까지의 다양한 통계들 [38] Leeka10206 17/07/28 10206 1
61697 [기타] 서버가 터진김에 적어보는 배틀그라운드 리뷰 [63] 해피나루11098 17/07/27 11098 1
61696 [LOL] 딱 한번 실수한 프레이와, 딱 한번 잘한 눈꽃의 혈투!.. [22] Leeka10405 17/07/27 10405 2
61695 [히어로즈] 시공에 울리는 전쟁의 북소리 '가로쉬 헬스크림' 기술,특성이 공개되었습니다. [20] 은하관제11132 17/07/27 11132 1
61694 [LOL] 바이 구간별 딜량 계산해봤습니다. [23] 이슬먹고살죠9311 17/07/27 9311 6
61693 [LOL] 뱅선수의 실언 그 전 그 후 [237] Lacrimosa20608 17/07/27 20608 22
61692 [오버워치] 오버워치 리그 블리자드가 역대급 베팅한것 같습니다. [84] 브론즈테란12912 17/07/27 12912 3
61691 [스타1] 맵에디터도 함께 수정해주는 모양이네요 [6] V.serum11857 17/07/27 11857 0
61690 [LOL] 뱅선수가 인터뷰로 직접 사과말을 전했습니다. [167] 청보랏빛 영혼 s13370 17/07/26 13370 12
61689 [LOL] MVP의 롤드컵 선발전 도전!! 막판을 향해 달려가는 롤챔스 서머 [18] Leeka6772 17/07/26 6772 1
61688 [기타] 배틀그라운드 팬덤이 랜덤박스 판매 공지로 들끓고 있습니다. [75] 레드후드10931 17/07/26 10931 0
61687 [기타] 모방 범죄 우려, '뉴 단간론파 V3' 국내 심의 등급거부 [36] 시린비9302 17/07/26 9302 2
61686 [스타1] 프로토스 단축키 변경 토의 [38] 마롱24283 17/07/26 242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