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06/25 17:23:11
Name bigsang13
Subject [스타2] 6월 4주차 스타크래프트II 프로게이머 랭킹

이름아이디종족Vs AVs ZVs TVs P순위등락
고병재GuMihoTerran1349 137113561319+1
어윤수soOZerg1330 137712441370-1
이신형INnoVationTerran1320 138912771293-
조성주MaruTerran1305 130713091298+1
알렉스 선더하프트NeebProtoss1270 129312241294+31
주나 소타라SerralZerg1269 132312011282-2
김준호herOProtoss1267 123213071263-1
박령우DarkZerg1263 120912861293+5
이병렬RogueZerg1261 129712141272+2
백동준DearProtoss1238 122312711221+4
김도우ClassicProtoss1237 121512401257-3
한이석aLiveTerran1234 128712101206-3
한지원ByuLZerg1224 120013011172-3
전태양TYTerran1211 121612541164-2
변현우ByuNTerran1207 122012161184-8
김대엽StatsProtoss1201 126711651172-1
김준혁ImpactZerg1187 120811471207+8
김유진sOsProtoss1174 114511961181-1
조성호TrapProtoss1172 121811491150-1
강민수SolarZerg1168 114511461213-1
샤샤 호스틴ScarlettZerg1156 116411071196-5
김명식MyuNgSiKProtoss1151 114211321179-2
방태수TRUEZerg1139 115010651202-1
주성욱ZestProtoss1137 113411231155+33
문성원MMATerran1134 112411591119-2
미코라즈 오고노브스키ElazerZerg1133 117410841142+7
이동녕LeenockZerg1132 115111181126-3
마루 킴MaSaTerran1123 114811021120-2
이원표CuriousZerg1122 115310851128-2
디에고 길헬름 슈위머KelazhurTerran1116 113211121104+8
최성훈PoltTerran1113 109511381106-1
김기현RealityTerran1111 117910721083-1
이재선BunnyTerran1108 118010471098+22
후안 카를로스 테나 로페즈MajOrTerran1107 112111331067-13
황규석KeeNTerran1105 113010761108-1
정윤종RainProtoss1101 109511531054-1
김도경BillowyProtoss1090 107010601141-
띠오 프레이디에레PtitDrogoProtoss1088 108810781099+21
정지훈jjakjiTerran1088 106011031101+5
서성민SuperProtoss1087 105211421067+7
윤영서TaejaTerran1070 107610511084-2
이영호FlaShTerran1066 101810591121-1
원이삭PartingProtoss1065 107010701056-
정명훈FanTaSyTerran1062 110110521033+1
변영봉HushProtoss1061 107710231082+22
장민철MCProtoss1059 107310561049-
황강호LosiraZerg1058 107110411062-15
베사 마티 호비넨WelmuProtoss1051 107610341044+1
신동원HydraZerg1050 10701090991+1
죠우 항iAsonuZerg1050 99210651093+1

 집계 방식.
1. 기본적인 포인트의 집계 방식은 ELO Rating 방식을 이용합니다.
2. 포인트의 변화는 한 경기별로 일어나게 됩니다.
3. 20주차 동안 경기가 없는 선수의 경우, 10pt가 감소하게 됩니다.

집계 범위.
1. 포인트 집계의 경우, 통합 WCS체제의 출범일인 2013년 4월 3일을 기준으로 시작되었습니다.
2. 집계되는 리그의 경우, TeamLiquid 기준 프리미어 등급의 팀단위 리그, WCS 지역 리그, WCS 티어 리그(2티어 이상), HomStoryCup과 같이 WCS 티어 리그는 아니지만, 그와 맞먹는 상금을 주는 리그가 해당됩니다.
3. 온라인 리그의 경우 랭킹 집계에 포함되지 않지만 해외 WCS Challenge의 경우, 이에 포함됩니다.
4. 프로리그 폐지 이후, 줄어든 경기 수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계 범위에 TeamLiquid 기준 Major 등급 이상의 오프라인 리그와 SSL 최종 예선, GSL 예선 등 1차 예선을 제외한 리그 예선을 집계 범위에 포함시켰습니다.

포인트 집계상 문제가 있어 기존 은퇴 선수의 포인트가 높게 집계된 것을 수정하기 위해 2016년부터 다시 집계하여 랭킹을 추산하였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설명충등판
17/06/25 17:36
수정 아이콘
납득이 가는 파워랭킹이 됐네요
나는누구일까.
17/06/25 20:21
수정 아이콘
와 저선수도 아직 프로생활 이어가고 있구나 하는 선수가 꽤되네요. 그와중에 고병재선수는 우승까지하고... 나머지 선수도 언제는 빛을 보길
카스가 아유무
17/06/26 11:29
수정 아이콘
스2 접은 사람도 꽤많네요. 아래쪽에 정명훈, 원이삭, 이영호, 정윤종들은 스2 은퇴했고, 문성원선수는 군인인데 복귀할런지 모르겠네요. 2013년부터라 옛기록이 꽤나 남아있나 보네요.
신용운
17/06/26 16:11
수정 아이콘
일단 정명훈, 문성원 선수는 전역후에도 계속 활동하겠다 언급했는데 봐야 알겠죠..
bigsang13
17/06/27 13:00
수정 아이콘
문성원, 최성훈, 정윤종 이 3명은 폼이 너무 좋을 때 은퇴를 하는 바람에 아직 포인트가 안 빠졌습니다.
시노부
17/06/26 11:01
수정 아이콘
랭킹표를 볼때마다 느끼는거지만 (구)SK 팀은 진짜 제가 좋아하는 선수들 선물세트 인데 ㅠㅠ
제가 돈만 많았으면 (구)SK 팀 한번 꾸려보고싶습니다.
가루맨
17/06/27 12:32
수정 아이콘
저도 정말 돈만 있었으면 정명훈을 비롯한 몇몇 선수들은 개인 스폰이라도 하고 싶은 심정입니다.

현재는 상황이 안 좋아서 작은 도네조차도 못 하고 있네요. 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283 [스타1] 브레인도 닫았으니 이제 남은 서버가 하나 뿐이군요. [2] ArcanumToss13024 17/10/24 13024 0
62282 [기타] (소전) 할로윈 스킨 공개 완료 및 이것저것 [40] 길갈13537 17/10/24 13537 0
62281 [배틀그라운드] 카카오 쇼케이스가 오늘 있었습니다. [92] 게섯거라13755 17/10/24 13755 0
62280 [LOL] [오피셜] KT 프로게임단 이지훈 감독 사임 [112] 수지19174 17/10/24 19174 0
62279 [스타2][협동전 임무]개인적으로 생각해본 피닉스 유닛들의 개편 방안. [8] 그룬가스트! 참!8348 17/10/24 8348 0
62278 [기타] 배틀그라운드 지스타 예선상황, 남은 3장의 카드는 누가 가져갈것인가? [13] 자전거도둑9566 17/10/23 9566 0
62277 [오버워치] 최근의 오버워치 트렌드 등의 잡담 [22] 손금불산입11162 17/10/23 11162 7
62276 [하스스톤] 한국 하스 하이라이트 2화 등장! [8] 만진이8909 17/10/23 8909 3
62275 [오버워치] APEX S4 나만의 베스트팀을 만들어보자 [15] 안채연8487 17/10/23 8487 2
62274 [LOL] 결국 성사된 한중전과 역대 최고의 롤드컵 [70] Leeka14139 17/10/23 14139 2
62273 [기타] e스포츠 팀 후원기업에 대한 팬들의 인식 조사(2차) 안내 [6] 한국e스포츠협회6180 17/10/23 6180 0
62272 [LOL] 롤알못이 본 2017 롤드컵에서 현재까지의 SKT [34] 치토스11685 17/10/23 11685 0
62271 [스타2] 2017 로드 투 블리즈컨 [2] 보통e스포츠빠8099 17/10/23 8099 4
62270 [LOL] 8강 4일차. WE-C9 초패스트 간단 리뷰. [68] 1등급 저지방 우유9900 17/10/22 9900 0
62269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2017 천하제일시공대회가 옵니다." (약스압) [10] 은하관제8527 17/10/22 8527 5
62268 [기타] 슈퍼 단간론파 2 -안녕히 절망학원- 숨도 못쉬는 몰입감, 추천합니다. [30] Lighthouse10068 17/10/22 10068 0
62267 [LOL] 10월 22일 일요일 오늘의 롤드컵 일정 [3] 발그레 아이네꼬7803 17/10/22 7803 0
62266 [LOL] 8강 3일차. RNG-FNC리뷰. [39] 1등급 저지방 우유11784 17/10/22 11784 0
62265 [LOL] 역대 롤드컵 5전제 [30] 니시노 나나세10610 17/10/21 10610 2
62264 [기타] [철권] 감사합니다. [13] 도전과제10042 17/10/21 10042 5
62263 [LOL] 갭 이즈 클로징! 지금까지의 롤드컵 후기 [79] Leeka12085 17/10/21 12085 1
62262 [LOL] 10월 21일 토요일 오늘의 롤드컵 일정 [31] 발그레 아이네꼬8942 17/10/20 8942 1
62261 [LOL] 올해 최고의 다전제였습니다. [109] 취직하면바꿀별명13468 17/10/20 13468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