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4/01 20:54:50
Name 武蔵
Subject [LOL] KT에게 만약이라는 것이 떠오를 경기




만약은 없습니다만,

KT에게 혹시라는 가정을 하게 되는 경기라면 저는 첫 경기 한화전을 꼽겠습니다.


첫경기 1세트는 KT가 이번 시즌 통틀어서 가장 잘했던 경기입니다(!)
왜냐!
단순하게 보기만 해도 킬만 줬지 노타워를 포함해서 오브젝트를 하나도 안 줬거든요.
참고로 당시 불판에서는 한화 강등권 예상 이해가 간다는 의견이 꽤 나왔을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2, 3세트에서 그렇게 될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돌이켜본다면 저때 KT의 문제점이 조금이나마 보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봇듀오 약세(저때는 강고가 아닌 제니트가 나왔지만).
묘하게 스킬샷 적중률이 좋지 않아 보인다는 점.
스멥의 불안정성과 챔프폭(특히 3세트 픽).

시즌 끝난 지금, KT는 저 문제점을 끝끝내 해결하지 못했다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KT가 이겼다면 이라는 가정 말고도 또 하나의 가정을 하게 됩니다.


만약... KT가 저때 패배로 나온 문제점을 해결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01 21:02
수정 아이콘
경기 하나로만 보기엔 사실 아쉽지 않은 경기가 없어서 뭐 하나 찍기가 어렵고
어떤 하나의 경기가 아니라 그냥 KT라는 팀의 한시즌 전체를 통으로 보자면 (선수만 따지자면) 가장 큰 건 역시 스맵의 먹튀화가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스맵이 프로로 데뷔한 이래 시즌별로 그를 상징할만한 챔프들은 항상 하나씩은 있어왔습니다. 그게 아니더라도 뭔가 멋드러진 장면 하나쯤은 기억에 남았죠. 스맵의 평이 별로 안좋던 IM시절에도 임팩트의 레넥톤을 솔킬내고 압도했던 리븐이 있었고
구락스 시절엔 피오라 케넨 헤카림등이 있었죠 이땐 사실 뭘 잡든 마린만 상대 안하면 다 잘하든 시기이긴 했지만..(..)

근데 지금에와서는?....
옛날의 스맵과 비교하든 지금 현재의 다른 선수들과 비교하든 스맵의 챔프폭은 상당히 좁아진데다
라인전에서부터 무너지다보니깐 한타고 운영이고 뭘 보여줄 여지자체가 없어졌고
그 와중에 팀내 연봉이 제일 높은 축에 속하다보니 안 쓸 수도 없는 상황까지..
KT의 모든 플랜이 어긋난 수많은 단추들이 있었죠 스코어의 부상, 제대로 보강이 안된 바텀 그러나 그 어떤것보다 가장 큰 건 스맵의 부진이 아닌가 싶습니다.
작칠이
19/04/01 21:13
수정 아이콘
차라리 킹겐만 계속 쭈욱~ 썼으면 더 나았을거라는 킹리적갓심이 드네요.
cluefake
19/04/01 21:12
수정 아이콘
이걸 피드백할 정도면 여기까진 안 왔을 겁니다.
19/04/01 21:16
수정 아이콘
와 3세트 자야는 진짜 프로수준은 둘째치고 어떻게 마챌찍는지도 모를 수준이네요.. 참..
진짜 너무하는데요 저건
야부리 나코
19/04/01 21:17
수정 아이콘
저도 이 경기가 제일 기억납니다.....
자야 궁으로 시즌 너무 말아먹었어요
19/04/01 22:18
수정 아이콘
기세야 탔겠지만.. 결국 결과는 같았을것같네요
본문에 언급하신것처럼 첫경기 문제점이 마지막경기까지
피드백이 안되는팀이기때문에
날씨가더워요
19/04/01 22:51
수정 아이콘
1경기라도 이겼으면 아프리카가 승강전 갔었겠죠.
그리고 기인은 오열했따 ㅜㅜ
Flashpoint
19/04/01 23:57
수정 아이콘
저는 저 3세트 때 자야의 상태를 보고 KT가 플옵 못 갈거라고 반쯤 확신했습니다. 승강전까지 갈줄은 몰랐지만..
파이몬
19/04/02 00:19
수정 아이콘
KT가 이렇게 잘했었나..
19/04/02 09:54
수정 아이콘
1경기 보고 제니트도 괜찮다고 생각했었지요.
랜슬롯
19/04/02 10:13
수정 아이콘
1경기는 진짜 기대감을 갖게 만드는 경기력이네요. 18년도 롤드컵때 모습도 생각나고... 참나 크크. 어쩌다 여기까지 온건지. Korea Team 이라고 롤드컵때까지만해도 불렸는데
파쿠만사
19/04/02 13:30
수정 아이콘
진짜 이번시즌 KT는 케스파컵때가 제일 고점이었고 그후부터 계속 하락세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케스파컵 볼때 기존선수들 나간간 아깝지만 새로 들어온 비디디나 엄티가 굉장히 잘해줘서 이번시즌 괜찮지 않을가 했는데....
그게 다였죠.. 정말 그게다...하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938 [기타] 디아블로4 트레일러를 보고 난 후 스토리 예측 [27] 미카엘13121 19/11/02 13121 0
66937 [LOL] 라이엇이 시청시간대를 배려할 수 밖에 없는 이유 [19] Leeka12617 19/11/02 12617 5
66936 [기타] [와우] 복귀한 느낌과... 새로 변경될 렙업방식! [52] 시원시원11308 19/11/02 11308 1
66935 [스타2] 2019 WCS 8강 이병렬 vs 김도우 5경기 꼭보세요 [5] 삭신11484 19/11/02 11484 1
66934 [LOL] 해외팀들의 대재앙 SKT [63] 니시노 나나세16179 19/11/02 16179 10
66933 [기타] 2019 블리즈컨 - 블리자드, 기사회생 할 수 있을까? [59] 제라그18931 19/11/02 18931 2
66932 [LOL] 롤드컵 텀 사이에 컨텐츠가 정말 없었나? [33] Leeka12545 19/11/02 12545 8
66931 [LOL] 기묘한 노력가 퍽즈 [26] roqur12112 19/11/01 12112 1
66930 [LOL] 일본 롤은 룬 이름 번역을 뭐라고 했을까 궁금해 찾아 보았습니다 [13] 여기15531 19/11/01 15531 2
66929 [LOL] 리그 4,5위 팀들끼리 국제대회도 재밌을 것 같아요 [62] 구리트33311227 19/11/01 11227 3
66928 [LOL] 개인적으론 우르프 모드는 랜덤이 더 좋네요 [40] 초동역학12271 19/11/01 12271 3
66927 [스타2] 딥마인드의 알파스타가 인간과 비슷한 조건에서 그랜드마스터를 달성했습니다. [78] 공실이19679 19/11/01 19679 15
66926 [LOL] 롤드컵. 토너먼트일정부터 심심해요.. [110] 파란무테14190 19/11/01 14190 7
66924 [기타] 리니지M 개인거래 대형사고 - 1억 5천만원 아이템 스틸 [165] 루덴스23690 19/10/31 23690 0
66923 [LOL] 씨맥의 어제자 방송들 요약 [72] Leeka21695 19/10/31 21695 5
66922 [LOL] 슬슬 스토브시즌이 달궈질 예정입니다. [140] 1등급 저지방 우유19802 19/10/31 19802 0
66921 [LOL] 소드 선수에 대한 과한 비난은 좀 자제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4] 삭제됨13639 19/10/30 13639 0
66920 [LOL] 김정수 코치가 인벤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92] Leeka21901 19/10/30 21901 6
66919 [LOL] TCL(터키리그)의 임금체불 문제 [16] 삭제됨11173 19/10/30 11173 4
66918 [LOL] 소드 논쟁으로 보는 '롤 실력' 이야기. [294] 키류24606 19/10/30 24606 24
66917 [LOL] 롤드컵 시즌 별 DPM, 15분 골드&CS, 솔로킬 1위 [20] Leeka10389 19/10/30 10389 0
66916 [LOL] 146번째 신규 챔피언 '세나' 챔피언 정보 [40] 은여우11155 19/10/30 11155 1
66915 [LOL] True Damage 스킨 인게임 영상 [11] 은여우11820 19/10/30 1182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