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4/09 15:27:34
Name 타카이
Link #1 https://gornlanharbor.blogspot.com/2019/04/article-letter-to-wcg-organizing.html
Subject [기타] [워3] kekelove가 WCG에 보내는 편지
관련글 : https://www.ppt21.com/pb/pb.php?id=free2&no=65417

중국의 워3 선수인 kekelove가 조주연 선수 실격에 관련하여 WCG 조직위에 편지를 보냈습니다.
링크는 중국어로 적혀있는 내용을 영어로 번역한 링크입니다.

지난번에 적었던 내용보다 약간의 세부적인 내용이 추가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WCG 워3 예선 경기가 여러 경기가 동시 진행되엇습니다.
독일 체류 중인 노재욱 선수가 핑을 문제로 WCG 예선 디스코드 채널에서 NetEase 플랫폼에서 경기 할 수 있는지 물었고
누군가 가능하다고 대답하였는데
이걸 노재욱 선수는 심판이 응답했다고 판단하였고 그 당시 soin 선수와 sok 선수도 같이 보았습니다.

그로 인해 NetEase 플랫폼에서 경기를 진행하었고 이 사건이 벌어지고 2시간도 안돼 실격되었습니다.
노재욱 선수는 본인의 실수로 조주연 선수에게 해를 끼쳤다고 느껴 극심한 스트레스와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여전히 이 사건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규칙을 어겨 벌칙을 받을 수 있지만 쿼터를 실격시키는 것은 너무 심각합니다.
플랫폼 변경이 규칙을 위반하지만 게임의 공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옮긴이 : 배넷과 NetEase는 워3 같은 버전입니다.)
선수들은 최선의 게임을 하기 위하여 이렇게 경기를 진행하였습니다.

WCG 조직위는 실격을 취소하고 다른 처벌을 내려 조주연 선수를 비롯한 다른 선수들에게 경고하길 바랍니다.

옮긴이 : 예선을 시청하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WCG 관련하여 여러 문제들이 있습니다. 맵 별로 종족간 유불리가 존재함에도
경기에 맵을 정해둔 상태로 진행한 상태(맵을 켜거나 끌 수 없음)이며, 다른 지역 예선에서도 여러 이슈가 터져나오는 상황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luefake
19/04/09 15:30
수정 아이콘
그냥 아마추어 대회라 여기는 게 낫겠는데요.
이따위로 하는데 무슨 권위가 있나요?
Achievement
19/04/09 15:38
수정 아이콘
이따위 운영이면 예전에 있었던 유럽쪽 스트리머 후원 기반 대회가 더 프로페셔널하죠.
그때도 지역간 핑 차이 심해서 봇돌려도 핑 250이상 튀고 그러면 합의하에 넷이즈에서 진행하고 리플만 제대로 올리면 아무런 문제도 없었는데 말이죠.
19/04/09 15:52
수정 아이콘
대체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GjCKetaHi
19/04/09 16:25
수정 아이콘
조금 웃긴게 한국 쿼터가 2장이면 로라 실격이 인정되더라도 한국 3위가 가야 하는게 맞지 않나요? 쿼터 삭제는 뭐지. 제가 모르는 부분이 있나요?
19/04/09 16:37
수정 아이콘
로라이엇이 진출한 뒤 실격 처리 하면 사실상 쿼터 삭제긴 하죠.
19/04/09 16:35
수정 아이콘
이전의 대회가 가지고있떤 명성과, 글로벌 e스포츠대회의 명맥을 주장하고 싶었으나

준비는 되어있지 않았다고 한다
及時雨
19/04/09 18:00
수정 아이콘
대회 조직위가 스마일게이트 아닌가요?
아무리 중국에 중점 두고 사업하는 회사라지만 어쨌거나 한국 회사인데 이렇게까지 소통이 안되나...
19/04/09 19:09
수정 아이콘
아..로라이엇.. 명확한 규정은 있는건가요
타카이
19/04/09 19:11
수정 아이콘
경기는 배넷에서 진행한다는 규정이 고지되어 있습니다
그 때문에 확인을 거친거지만 WCG 예선 디스코드 채널에서 낚였다고 봐야겠죠
파랑파랑
19/04/09 21:54
수정 아이콘
운영진한테 확인 받은 후 넷이즈에서 게임했다고 하던데 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994 [LOL] G2 구단주가 마무리 트위터를 했습니다. [44] Leeka11418 19/11/05 11418 0
66993 [LOL] 전프로 상윤선수가 분석을 올렸습니다. [72] Leeka16211 19/11/05 16211 5
66992 [LOL] 씨맥 전 감독이 또 한 번 폭로를 했네요. [61] 삭제됨14101 19/11/05 14101 7
66991 [LOL] Lck는 딱 노잼길 걷던 스타판 같습니다 [24] 삭제됨7874 19/11/05 7874 0
66990 [LOL] 변화란 스스로의 현재 상태를 인정한 후에 오는 것입니다. [16] 랜슬롯8382 19/11/05 8382 3
66989 [LOL] LCK는 여전히 최고수준의 리그라 생각합니다. [102] 삭제됨11127 19/11/05 11127 2
66988 하스스톤 그랜드파이널 여성 우승자 탄생 [15] 밤의멜로디9410 19/11/03 9410 3
66987 [워3] 질레트 스타리그 하던 동시기에 커뮤니티가 난리났던 경기.avi [16] Chasingthegoals9109 19/11/01 9109 0
66986 SKT 패배 인터뷰 때 마지막 질문이 정말 무례했네요. [34] ReaSon.F16132 19/11/05 16132 3
66985 [스타2] En Taro Classic [19] MiracleKid14775 19/11/05 14775 16
66984 [LOL] 5라인이 돌아가면서 팀내 비중을 가지고 캐리를 하는 G2 [4] 신불해10165 19/11/04 10165 2
66982 [LOL] 프렌차이즈를 하면 메타를 더 빨리 받아들일수 있을까요? [32] realcircle9947 19/11/04 9947 0
66981 [LOL] 실수를 극복하는 운영과 반발 빠르게 인식하는 메타. [71] Leeka11420 19/11/04 11420 8
66980 [LOL] 주도권에 대해서 [11] 물만난고기7279 19/11/04 7279 2
66979 [LOL] G2의 개념이 승리한게 아니라 skt가 못한겁니다 [173] 비공개당당14901 19/11/04 14901 12
66978 [LOL] 승부의 신 만점자가 나오는게 확정되었습니다. [25] Leeka10013 19/11/04 10013 2
66977 [LOL] 조금 다른 이야기 - 해설에 대해서 [89] 루데온배틀마스터11898 19/11/04 11898 7
66976 [LOL] 이제야 정신좀 차리고 글을 써봅니다. [51] soulbass9798 19/11/04 9798 8
66975 [LOL] G2의 plan B, 성공을 이루다. [25] AndroidKara8542 19/11/04 8542 4
66974 [LOL] 아쉽고 또 아쉽지만 그래도 즐거운 롤드컵 [20] 마빠이8410 19/11/04 8410 1
66973 [LOL] 1등팀과 같아진 LCK, 1등팀과 달라진 LPL, LEC [56] Leeka10387 19/11/04 10387 9
66972 [LOL] 이르긴하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결승에서 주목해야할 챔피언 [11] 스톤에이지7255 19/11/04 7255 0
66971 [LOL] 타워 바론은 승리로 가는 과정일 뿐이다 [14] 바람과 구름7117 19/11/04 711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