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8/09 00:38:57
Name 빛돌v
Link #1 https://www.youtube.com/watch?v=VM5Dby6bOxs
Subject [LOL] 프로 경기와 같은 시선으로 보는 정글 동선 공략


안녕하세요. 빛돌입니다

개인방송에서 종종 관전 피드백 / 강의를 해드리고 있습니다.

어제 진행했던 정글 관전이었는데.. 이거저거 설명을 해드리다 보니 

제가 직접 했던 게임 기준으로 다시 차근차근 설명하며 보여드리는게 좋을 것 같아서 그대로 진행했고

개인적으로 굉장히 완성도 높은 공략 영상이 나왔다고 생각해서 커뮤니티들에도 올려보고 있습니다.



공식 방송이나 개인 방송 등에서 프로들 경기를 분석할 때 '근거있는 플레이'에 대해서 엄청나게 강조를 많이 하는데요
이건 비단 프로 경기가 아니라 일반 솔랭 게임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이야기입니다.

바위게에서 적을 밀어 냈을 때 어떤 동선을 짜야 하는지
갱킹을 통해 킬을 먹은 뒤 언제 집을 가야 하는지
바론 스틸 시도는 어떨 때 해야 하는지

특정 상황에서 어떤 판단을 해야하는지, 그게 왜 합리적인지, 실제 그 때 상대 움직임과 어떻게 얽히는지 

정말 굉장히 자세하게 영상 안에 잘 풀어놨습니다. 보시면 맵리딩이나 정글 동선에 대한 관점 자체가 아예 달라지실거에요.

영상이 길긴 한데 기존의 프로경기 분석이 긴거랑은 느낌이 좀 다릅니다.

티어 올리고 싶은 정글러나, 맵리딩이나 운영이 약점이다 생각되시는 분들께 자신있게 추천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8/09 00:47
수정 아이콘
와, 제가 찾던 공략이 여기에 있네요.
아름다운돌
19/08/09 01:02
수정 아이콘
오.. 알차네요! 미드 관점도 부탁드려요
19/08/09 01:23
수정 아이콘
초반에 빛돌님이 보기에 좋지 않은 판단이 다 이득보는 그림이 나온 점이 유머 포인트인듯...
19/08/09 01:35
수정 아이콘
그래서 관점 자체를 실제 이득은 봤지만 그건 상대가 못해서고(..) 티어가 올라가면 더 잘하는 상대를 만난다는 가정하에는 이런 판단이 더 좋다! 요런 식으로 했어요~
Bemanner
19/08/09 01:38
수정 아이콘
요약 (제 사견은 괄호 안에 넣었습니다)

--1경기--

1. 적이 카정 안올 거 같으면 첫 와드를 인베 방어용으로(사견 : +@로 빠르게 박고 집가서 렌즈로 바꾸는 거 추천)
2. 정글 돌 때 1~3레벨에 어떤 스킬을 찍을지 고민해야함 (영상 예시 : 사일러스 E / W ) (리신 Q / W 처럼 인베 유무, 리쉬 유무에 따라 스킬 선택이 달라짐)
3. 바위게 싸움에서 이걸 왜가냐고 하는 장면이 있는데.. (사견으로는 정글 상태보다 중요한게 미드 상태.. 바위게는 미드가 먹여주는 거 같아요)
4. 첫 바위게 먹을 때쯤이면 상대 정글 동선이 예상되고, 그 방향에 따라 다음 동선도 예상 가능한데 굳이 상대 정글이 근처에 대기하고 있을 라인으로 갱을 가서 리스크를 감수하기보다 시야를 잡고 빠르게 귀환하는게 낫다고 생각
5. 자신의 성향과 챔프 상성에 따라 다르지만, 상대와 마주치지 않으면서 상대의 가장 취약한 라인을 공략할 수 있는 동선을 추천
6. 애매한 위치에서 어정쩡대서 우리 라이너가 나 때문에 우왕좌왕하게 만들면 안됨
7. 적 캠프 - 바위게 - 아군 캠프를 먹을 기회가 있다면 적 캠프부터 먹고 나서 다른 걸 챙기는게 맞음
8. 돈 너무 많이 들고 있지 마라
9. 상대가 대형 오브젝트 주변 시야를 잡아놨을 때 내 위치가 거기서 멀어지면 상대가 정보를 바탕으로 대형 오브젝트를 챙길 수 있으니 염두
10. 중후반에 서로 죽어나갈 때 우리가 부활을 먼저 하는 등 숫적 우세를 점할 수 있을 때 재빠르게 중립 지역 시야잡고 잘라먹기 시도
11. 대형 오브젝트 스틸은 1) 이거 주면 질 때 2) 이거 뺏다가 죽어도 문제 없을 때 시도

--2경기--

12. 레드 3캠프 먹고 탑/봇 갱킹 갔을 때, 상대가 아군 정글에 카정을 올 확률이 높은데 이 때 나는 집에 갔다가 아군 정글로 가는게 나음
집에 안가고 그냥 아군 정글로 가면 템도 없고 먹을 거도 없는 상황이 나오기 싶상
13. 글로벌궁 챔프가 시야에 안보이면 적은 자연히 사리게 되는데, 이게 이득일 때도 있지만 내가 갱가려는 데 적이 사리게 만들어서 손해일 때도 있음
(사견 : 해당 영상 장면 정도면 그냥 미리 포식자 유체화 다 쓰면서 녹턴 콜하면 억지 다이브 가능하다고 봅니다.)
14. 용은 좋은 의미건 나쁜 의미건 할 일이 없을 때 먹음(사견 : 대부분의 대지용 / 첫 바다용 / 몇몇 경우의 화염용 등은 조금더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15. (카밀 갈고리 발사는 줄을 벽에 걸 때 CC 넣는게 아니라 벽에 붙은다음 두번째로 다시 날아갈 때 CC를 넣어야 캔슬..)
16. 50:00 경 처럼 적 라이너가 자리를 비웠을 때는 바로 그 라인에 전령 푸는 거 좋습니다 특히 초반의 AD정글러가 빈 라인에 전령풀면 그걸로 아주 큰 이득볼 수 있음.. (영상에서는 정글 먹고 나서 풀었는데 7번과 같은 이치로 전령부터 풀고 나서 - 적이 전령을 방어하느라 바쁠 때 적 정글-중립 캠프-아군 캠프 순으로 먹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17. 미드(녹턴)한테 블루 주는게 정글러의 동선에 영향을 줘선 안된다 그럴 바엔 정글이 먹어야함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개념글 공지 아니 추게로)]

--

제가 글로 적은거랑 실제 영상이 뉘앙스의 차이가 날 수 있고 게임 화면을 보면서 판단해 보는게 나으니 영상을 시청하고 좋아요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솔랭에서는 머리쓰는거보다 그냥 계속 상대랑 마주치는 동선 짜면서 피지컬 싸움 여는게 장기적인 실력향상에 더 유리하다고 보긴 하는데 본인의 피지컬은 이제 한계에 도달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마지막으로 한 티어 더 끌어올리고 싶으실 때는 이런 머리쓰는걸 최대한 염두에 두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BlazePsyki
19/08/09 01:52
수정 아이콘
잘 배우고 갑니다.
초반 동선 설계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일명 정버프 역버프 기준이라던가... 사일러스 정글 같은 경우는 첫바퀴 피관리가 진짜 잘 안되서 첫바퀴에 갱가기가 진짜 힘들던데 이런거 피관리 방법이라거나 루트라거나...
19/08/09 12:46
수정 아이콘
정/역버프는 솔직히 최상위 티어가 아닌 솔랭에서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사일러스 같이 첫바퀴 진짜 어려운 정글러 정도는 처음 무난하게 도는 루트 정도만 알아두시고 나머지는 그냥 다 유동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9/08/09 02:41
수정 아이콘
1경기 초중반 보다 말았는데
바위게 싸움에서 이긴 시점부터 설계니 동선이니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
修人事待天命
19/08/09 09:00
수정 아이콘
개쎈걸 골라서 상대정글을 만나면 핑을 미친듯이 찍고 이기면 게임승리 지면 패배 이게 정글 아니었습니까
qpskqwoksaqkpsq
19/08/09 09:04
수정 아이콘
시즌5때 정글로 다야 찍을때 말그대로 정글만 돌다가 시간남으면 갱가고 그러면서 아무생각없이 정글했는데 바위게 나온 이후는 정글이 너무 어려워졌습니다.. 탑미드로 도망갔어요
19/08/09 12:16
수정 아이콘
정말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원래 탑유저인데 요즘 정글에 관심이 생겨서 해보고 있었습니더. 지금까지 여기 있는 팁들을 모르고 정글 동선을 짰었는데 알고 하니까 게임이 아예 다르게 보이네요.
덕분에 방금전 정글로 랭겜 9/1/7 하고 왔습니다
19/08/09 12:48
수정 아이콘
오 제일 뿌듯한 댓글이네요!
19/08/09 13:28
수정 아이콘
한 줄 요약 : 정글 하지 말자 얘들아
Notorious
19/08/09 13:57
수정 아이콘
원래 게임이 웃긴게 모두가 최선의 선택을 한다고 가정하면 3자입장에 보는게 맞는데 내가 피지컬에 자신있고 상대가 나보다 더 못한다는 가정하에 플레이하면 내가 잘하는게 아니고 상대방이 못해서 이득봤다 이런식으로 가거든요? 프로게이머들 게임하는게 이런식으로 가면 다들 누가 잘해서 이긴게 아니라 누가 못해서 이겼다 ~하면서 낮춰보는게 좀 그래요.

논타겟 다 맞추고 상대거 다 피하면 2:3도 이길수 있는데
곽철용
19/08/09 14:24
수정 아이콘
축구로치면 메시가 수퍼플레이했는데 상대수비진 노답 쯔쯧 이러는거같음 크크
팔짱끼고 까칠하게 본다고 자기수준이 높아지는건 아닌데 말이죠

자기수준을 나타내주는건 티어뿐
ioi(아이오아이)
19/08/09 15:2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런 경기 분석하는데 티어 감안 안 할거면 대체 왜? 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이 티어 사람들은 이것도 못해서 이래도 괜찮은 데 높은 티어 가면 이렇게 하면 안됨? 이러는데 말도 안되죠.

다른 스포츠로 이야기 하면 150km로 던지는 한국 야구 선수한테 이런 공 던지면 메이저에선 쳐 맞으니까 160km로 던지세요 라고 말하는 분석가 있으면 욕 처먹겠죠
주전자
19/08/09 16:37
수정 아이콘
처음 글 올라왔을때 좋을것같아서 시청하다가 '벌레티넘'에서 가슴이 아파서 미루고, 시간이 나서 다시 보는데 역시 뭔가 울컥하고 걸려서 못보겠네요....
네 만년 벌레티넘입니다....
19/08/09 16:55
수정 아이콘
앗.. 자기비하 코드입니다.. 저도 그 티어에요....
19/08/09 17:54
수정 아이콘
플레 가기위해 챙겨봐야겠네요!
19/08/09 20:58
수정 아이콘
잘보고 갑니다. 최근 들어 정글을 자주 가는데 동선이나 판단을 내리는데 있어서 유익한 글인것 같아요. 게임할때 꼭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847 [LOL] T1 vs DRX... 점멸 써서 바론 친 이유 [31] 빛돌v17216 20/02/20 17216 21
67846 [기타] [POE] 한 시즌을 즐긴다음 후기 [31] 리테11643 20/02/20 11643 0
67845 [LOL] 픽 창에서 응원 팀이 오른 뽑았으면 어지간하면 이기는 현재 LCK [59] 신불해17014 20/02/19 17014 0
67844 [LOL]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원딜들 성향 잡설 [80] Leeka15021 20/02/19 15021 0
67843 [LOL] T1 선수들이 뽑은 오늘의 MVP는? 그리고 간략한 후기. [26] 삭제됨11849 20/02/19 11849 1
67842 [LOL] 전승팀은 없다. - 11일차 짧은 리뷰 [176] Leeka15156 20/02/19 15156 0
67841 [기타] GTA 6에선 라디오에서 K팝이 흘러나올껏인가? [19] 나른10875 20/02/19 10875 0
67840 [하스스톤] 하스스톤 하다가 애인이랑 싸운.ssul [93] 저글링앞다리15170 20/02/19 15170 8
67839 [기타] [프리코네] 뉴캬루 사태의 결말 [23] Summer Pockets15479 20/02/19 15479 1
67838 [기타] [POE] 최근에 논란이 된 패스오브엑자일의 설문조사 ( 추가 해명 업 ! ) [51] 가브라멜렉14300 20/02/19 14300 0
67837 [LOL] 데프트의 데뷔 7주년 기념 중국 팬들의 선물 [21] Leeka12573 20/02/19 12573 3
67836 [LOL] DRX 스크림 유출이 잘못인 이유 [87] 기사조련가18481 20/02/19 18481 10
67835 [LOL] 며칠전 루키 더샤이 LCK 방송에 못 나온 이유에 대한 곡절 [3] 신불해14689 20/02/19 14689 1
67834 [LOL] DRX에 두 가지 구설수가 더 있네요. [182] 삭제됨23195 20/02/19 23195 4
67833 [LOL] LCS 4주차 요약 - 올해도 C9만 바라볼 북미? [20] 비오는풍경10014 20/02/18 10014 0
67832 [LOL] 이번 주 LCK 배당률이 나왔습니다. [20] 삭제됨10262 20/02/18 10262 0
67831 [기타] 글자수 제한이 100자로 완화되었습니다 [33] 라면9381 20/02/18 9381 13
67830 [LOL] 새롭게 발표된 ESPN 랭킹 (LPL은 제외) [40] 삭제됨11653 20/02/18 11653 2
67829 [LOL] 첫 2주간. 라인전 도르를 살펴보자 [9] Leeka10653 20/02/18 10653 1
67827 [기타] 레전드 오브 룬테라 첫 밸런스 패치가 공개되었습니다. [36] Leeka12905 20/02/18 12905 0
67826 [LOL] LCK 2주차 총평 [10] 세기말종자11331 20/02/18 11331 1
67825 [LOL] 페이커가 3년 재계약을 했습니다 [82] 라면17835 20/02/18 17835 0
67824 [LOL] 주관적으로 생각해보는 DRX와 T1 프리뷰. [62] 삭제됨14523 20/02/17 14523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