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06 19:41:15
Name 신불해
Subject [LOL] 역사상 최초로 원딜러가 데미지 비중 1위가 아닐수도 있는 이번 롤드컵










이번 롤드컵을 보면서 유독 포지션 중 가장 게임 영향력이 적다는 탑 포지션이, 반대로 게임에서 이길때는 탑 선수의 주목도가 엄청나고 반대로 질때는 탑선수의 역캐리가 눈에 띄는 느낌이라고 생각 되었는데,




실제 차트를 보면, 통계 자료가 나오는 14년 이후 이번 롤드컵이 데미지 비중에서 원딜러의 비중이 가장 적었던 롤드컵이 되었고,



반대로 탑 라인은 미드라인 조차도 제치고 현재 시점에서 25.5% 비중으로 원딜러와 정확히 똑같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역대로 탑라인은 롤드컵에서 데미지 비중이 늘 19~21%를 왔다갔다 했는데, 이번 롤드컵에서는 예전의 평균치에 비해 3~4%는 더 늘어난 수준입니다.


그만큼 탑에서 터지면 생각보다 악역향이 크고 탑 선수가 크면 게임에서 존재감이 폭발하는 경우가 잦은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저 비중 중에 남들 한 500 정도 수치 나올떄 혼자 1000 뚫고 이러던 더샤이가 통계를 좀 부풀린 측면이 있는것 같고 G2나 FPX나 결승에서 탑에서 극딜러 뽑을것 같진 않아서 결승까지 지나면 원딜 쪽이 어찌어찌 데미지 비중 1위는 차지할것 같긴 하지만



이번 롤드컵은 탑쪽에서 전체적으로 인상적인 장면이나 드라마가 많이 나온것 같긴 합니다.



그리고 올해 서포터 포지션이 유독 데미지 비중이 높게 나온 편인데 32강에서 몇차례 나온 가렌유미 영향도 있지 않나... 싶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1/06 19:42
수정 아이콘
더샤이가 떨어졌으니 탑 퍼센티지는 좀 줄을듯요
19/11/06 19:47
수정 아이콘
다데상 받을정도로 부진하다는 소리 들은 너구리도 쇼메 제치고 팀내 딜 비중 1위죠. 원딜은 우지 떨어진것도 원인일듯 합니다.
Le_Monde
19/11/06 19:52
수정 아이콘
원딜이 강해지는 타이밍은 너무 늦고 크더라도 한타 생존력이 너무 떨어집니다.. 탑은 스플릿, 미드는 플레이메이킹을 겸임하는거 생각하면 원거리 딜러가 딜링 역시 탑, 미드만큼 나온다는건 정말 위상이 낮아졌다는 말이지요.
니시노 나나세
19/11/06 20:15
수정 아이콘
근데 탑은 승패에 영향력이 적다는 말도 옛말같은게

솔랭에서도 탑차이로 게임기우는게 한두번이 아닌데...
19/11/06 21:54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승"에 영향은 적고 "패"에는 영향이 큰... 버스 잘 타느냐 폭행하느냐로 나뉘는 라인이 아닐지;
퍼리새
19/11/06 22:14
수정 아이콘
말장난이에요... 그냥 탑도 요샌 캐리가 됩니다
Horde is nothing
19/11/06 20:16
수정 아이콘
누군가의 캐리나 묻어가는게 아니라 진짜 돌아가면서 해야 하는 시즌인듯
새벽별
19/11/06 20:25
수정 아이콘
솔랭은 바텀이 2대2에서 지면 아랫정글까지 3명이 무너져서..
헤나투
19/11/06 20:49
수정 아이콘
장기전이 줄어든게 가장 큰원인인거 같아요.
카르타고
19/11/06 21:23
수정 아이콘
제생각엔 원딜이 문제가아니라 바텀라인에 가렌, 야스오,신드라 같은 비원딜 챔프 나와서 그런거 같은데요.
그러면 원거리딜러 문제는 아니죠. 딜러 포지션인데 탱커가 나왔으니...
바텀라인에 나온 정통 원딜만 치면 더 올라가지않을까 싶습니다. 하다못해 가렌만 빼더라도... 문제는 가붕이야 역시
신불해
19/11/06 22:03
수정 아이콘
비원딜이 자주 나온다는것 자체가 정통 원딜이 별 힘을 못 쓴다는 이야기니까, 결론적으로 비슷한 이야기 아닐까 싶습니다.
StayAway
19/11/06 21:59
수정 아이콘
가렌 출전 횟수를 생각하면 당연한 결과죠. 가렌 유미는 사실상 유미가 원딜 가렌이 서폿인데 포지션을 정정하면 다시 돌아갈겁니다.
19/11/07 05:48
수정 아이콘
비원딜의 문제라고만 보긴 어려운 게 작년에도 1티어였던 자야, 카이사의 dpm이 50 가량 떨어졌습니다. 롤드컵에서 1티어 원딜의 dpm이 500이하인 것도 이번이 처음이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264 [LOL] 다시 찾아본 스틸에잇의 초기 해명 [11] Rorschach12021 19/11/23 12021 12
67262 [LOL] 11/23일 0시 기준, LCK 공식 로스터 총정리 [14] Leeka11109 19/11/23 11109 1
67261 [LOL] 침묵하고 있는 롤관계자들에게 드리는 글 [170] 바람과 구름19738 19/11/22 19738 54
67260 [LOL] 러너웨이가 롤팀을 창단한다고 합니다 [45] 노랑끼파랑끼16300 19/11/22 16300 7
67256 [LOL] 선수들이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이유. [5] 월광의밤11022 19/11/22 11022 3
67255 [LOL] KT, 서포터로 투신 영입 [49] Leeka13519 19/11/22 13519 1
67254 [LOL] 선수들에게 온정을 배풀어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105] 제라스궁5발16238 19/11/22 16238 40
67253 [LOL] 어제 그리핀갤에 글을 쓴 선수부모님이 후속글을 올리셨네요. [17] 아름다운돌13701 19/11/22 13701 4
67252 [LOL] 선수들이 지금이라도 좀 냉정하게 한번 곰곰하게 생각해봤으면 좋겠습니다. [226] 랜슬롯19879 19/11/22 19879 18
67251 [LOL] 현 사태에 대해 언론에 제보했습니다. [24] 다크템플러12689 19/11/22 12689 59
67250 [LOL] 이스포츠계열 언론(LOL관련)에 관한 단상 [30] Gloomy11638 19/11/22 11638 3
67249 [LOL] 피넛 선수가 크레이머가 있는 LGD로 이적했습니다 [52] 신불해16594 19/11/22 16594 0
67248 [LOL] 어제 땅우양(전 그리핀 소속) 방송 일부 [50] 타카이15297 19/11/22 15297 5
67242 [LOL] LCK 팀들은 현재 선수 연봉을 감당할 수 있을까요. [50] Souless13337 19/11/22 13337 0
67241 [LOL] 그리핀 갤에 이번 사태에 대한 재밌는 분석 글이 올라왔습니다. [96] 월광의밤21851 19/11/22 21851 45
67240 [LOL] 그리핀 갤에 올라온 글 [102] 삭제됨18629 19/11/22 18629 17
67239 [LOL] 그리핀에 대한 시드권 박탈을 요구합니다. [57] 스니스니14343 19/11/22 14343 81
67238 [LOL] G2 캡스 오늘자 방송 내용 [13] 삭제됨10458 19/11/22 10458 0
67237 [LOL] 씨맥감독 청원이 하루만에 11만명을 돌파했습니다. [14] Leeka10978 19/11/22 10978 19
67236 [LOL] 스틸에잇은 또 거짓말이 밝혀졌네요. [69] 아름다운돌16325 19/11/22 16325 24
67235 [LOL] 카나비’ 母, “19살 아들 중국 5년 이적, 폭로 방송 보고 알았다” [153] Lazymind17796 19/11/22 17796 44
67234 [LOL] 점점 궁지에 몰리는 두 명의 특급 선수들 [31] 신불해17051 19/11/22 17051 0
67233 [LOL] 조규남 대표는 그리핀 지분을 정리했을까요? [20] Leeka10861 19/11/21 10861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