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7/13 21:25:40
Name 니시노 나나세
Subject [LOL] 역대 롤드컵 우승팀 MID 세부지표
13년 이전은 자료를 구할 수가 없어서 14년부터 19년까지의 기록입니다.


14년 삼성 화이트



15승 2패  88.2%
KDA 9.9
킬관여율 64%
15분 cs차이 +10.6
15분 골드차이 +625
15분 xp차이 +860
분당 데미지 580.7
팀내 데미지 비중 27.5%
솔로 킬 12회


15년 SKT T1

페이커

11승 1패  91.7%
KDA 7.3
킬관여율 64.3%
15분 cs차이 +15.4
15분 골드차이 +484
15분 xp차이 +381
분당 데미지 578.5
팀내 데미지 비중 27.9%
솔로 킬 7회


16년 SKT T1

페이커

14승 6패  70%
KDA 3.6
킬관여율 64.5%
15분 cs차이 +9.3
15분 골드차이 +442
15분 xp차이 +284
분당 데미지 627.4
팀내 데미지 비중 27.1%
솔로 킬 7회


17년 삼성 갤럭시

크라운

13승 3패  81.3%
KDA 5.0
킬관여율 76.7%
15분 cs차이 -2.9
15분 골드차이 -251
15분 xp차이 -147
분당 데미지 479.4
팀내 데미지 비중 25.3%
솔로 킬 2회


18년 Invictus Gaming

루키

14승 4패  77.8%
KDA 6.8
킬관여율 70.8%
15분 cs차이 +17.8
15분 골드차이 +516
15분 xp차이 +373
분당 데미지 558.7
팀내 데미지 비중 26.2%
솔로 킬 7회


19년 Funplus Phoenix

도인비

14승 4패  77.8%
KDA 6.6
킬관여율 72.6%
15분 cs차이 +0.9
15분 골드차이 +269
15분 xp차이 +249
분당 데미지 500.8
팀내 데미지 비중 26.7%
솔로 킬 5회



@라인전 지표로만 보면 14폰이 원탑.
그리고 저 폰이 1옵션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14삼화의 위엄을 느낄 수 있음.

@15페이커 역시 폰에 밀리지 않는 지표.
거기에 서브가 이지훈.
세계 1,2위 미드를 동시에 보유한 15sk 역시 사기팀.

@치열한 접전 끝에 우승한 16SKT에서 저런 지표를 기록한 페이커.

@17크라운은 개인지표로만 보면 중하위권 미드.
역대급 원딜캐리 향로메타의 수혜자.
오히려 준우승을 했던 16년 롤드컵의 지표가 더 좋았음.

@18루키는 상향평준화가 되가는 와중에 출현한 아웃라이어.
14폰 15페이커 못지않는 지표에 킬관여율 까지 70%를 넘기면서 서열정리.

@19도인비는 기상천외한 챔프폭에 준수한 라인전, 남다른 운영이 강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7/13 21:29
수정 아이콘
14 삼화의 1옵션은 마타의 맵 장악력...
20/07/13 21:35
수정 아이콘
크라운은 16롤드컵때 진짜 잘했는데...
사이퍼
20/07/13 21:38
수정 아이콘
페이커 빅토르로 솔킬낼때 포스 엄청났죠
20/07/13 21:39
수정 아이콘
폰대관 그립습니다~
심리적 문제만 아니면 지금 한화가서 뛰면 딱인데...
마그너스
20/07/13 21:41
수정 아이콘
크라운이 우승하고도 저평가 받는 이유가 뭔지 알 수 있는 지표네요
난 아직도...
20/07/13 21:46
수정 아이콘
준우승팀 미드까지 포함하면 상대적인 포스가 더 많이 느껴질거 같은데
능력자분 어디 없나요..
기사왕
20/07/13 21:51
수정 아이콘
혹시 17년도 롤드컵 준우승 때 페이커 지표가 보고 싶은데 혹시 볼 수 있는 곳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니시노 나나세
20/07/13 21:56
수정 아이콘
17페이커

11승 8패
KDA 3.7
킬관여율 78.2%
15분 cs차이 +7.2
15분 골드차이 +146
15분 xp차이 +345
분당 데미지 419.7
팀내 데미지 비중 24.8%
솔로 킬 2회
기사왕
20/07/13 21:5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ioi(아이오아이)
20/07/13 21: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17 크라운은 결승전에서 잘해서 성공했죠. 페이커 상대로 3연 말자하로 이기면서 그것도 페이커보다 더 활약하면서
20/07/13 22:07
수정 아이콘
크라운은 사실 16년을 우승했으면 평가가 달랐을지도

크라운 피크는 16 후반부 ~ 17스프링이였다고 봐서..
키모이맨
20/07/13 22:09
수정 아이콘
저도요. LCK에서나 국제대회에서나 저 시기가 폼 제일 좋았어요.
17서머도 초중반에 좋았는데 시즌말~플옵때 좀 확 무너지고 롤드컵에서도 초중반 고전하다가 말자하 쓰면서
확 반전해서 결승전에는 3연 말자하로 잘하고
18부터는 아예 완전히 무너졌죠
기사왕
20/07/13 22:13
수정 아이콘
롤드컵 스킨 탈리야 나왔을 때 괜히 말자하 먹버했다는 소리가 나온게 아닌...다만 그 당시 크라운이 우승하고도 멘탈적으로 엄청 힘들어했고, 본인 생각에 자기가 진짜 주도적으로 잡고 플레이메이킹부터 캐리까지 한 챔피언이 탈리야라 생각해서 탈리야를 골랐다는 이야기 듣고 좀 안타깝더군요.
ioi(아이오아이)
20/07/13 22:18
수정 아이콘
최초로 롤드컵 우승 미드가 세체미로 인식 안되던 시절이었죠.
우승한 바로 다음 날,
세체미는 공석이죠, VS 세체미는 페이커죠
로 논란 생기던 게 기억나네요
기사왕
20/07/13 22: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날 1세트 크라운이 라인전 완승하고 페이커 카시 틀어막은 판도 괜히 페이커가 라인전 반반 갔는데 위아래에서 터졌다는 소리 나와버리고...

거기다 2, 3세트는 또 하필 페이커가 라이즈, 카르마 잡고 분전하다가 막판에 눈물 흘린 임팩트까지 커서...

그 역겨운 대-향로 시대에서 맛 가버린 뱅울 멱살 잡아가며 결승에 올라와버린 덕에 안 그래도 상대적으로 더 컸던 주목도가 더 폭발했던 것도 있고...아무튼 크라운 입장에서 생각하면 너무 안타깝습니다. 우승하고도 우승했다는 생각을 못하고 오히려 괴로워했다고 하니...
키모이맨
20/07/14 02: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결승은 객관적으로 그냥 크라운이 페이커보다 더 잘한 시리즈였죠. 특히 1세트는 모든 프로들이 인정하는 완전
초하드카운터 상성에서 역으로 라인전을 이기고 주도권을 잡은 경기였고...

그거랑 별개로 저는 T1이 17시즌에 우승 못한 이유 꼽으라면 폼 떨어진 뱅울프 이런게 아니고 결승때 말자하 주고
카운터치자는 의견 낸 사람이라고 봅니다. 범인1순위입니다 완벽한 판단미스+티어정리대실패

전 T1이 너무나도 당연히 말자하 필밴할거라고 생각했는데 세판다 열어주고 카운터친다음 세번다 실패하고 세번다
지더라고요...
기사왕
20/07/13 22:11
수정 아이콘
저랑 의견이 비슷하시네요. 저도 개인적으로 크라운 최고 전성기가 저때였다고 봐서...16 롤드컵 결승 1세트에서 페이커 솔킬 따내고 17 스프링 때 정규 MVP 먹던 시절이 크라운 개인 폼 최고점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다크템플러
20/07/13 22: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구도로보면 SKT가 16대신 17년에 우승하는게 이쁘게 나왔긴 할겁니다 크크
16년엔 락스/삼성 누가 우승했든.. 락스야 말할필요없고 삼성도 당시 큐베의 엄청난포스+엠비션/코장의스토리에다가
크라운 개인도 17년과 달리 -덮-으로 대표되는 빅토르 명장면들을 찍어내서 임팩트가 강했죠.

17년엔 SKT가 우승했다면 진짜 메타를 뒤엎어버리는 인간승리 화룡정점이었을거고 크크크
기사왕
20/07/13 22:31
수정 아이콘
8강 미스피츠 전 "SKT를 이길 수는 있었지만 페이커를 이길 수는 없었다"

4강 RNG전 5연갈

역대급으로 원딜 캐리를 강제하던 메타에서 맛 갈대로 가버린 바텀 데리고 온갖 스토리 찍어가며 결승까지 올라갔었는데...
다레니안
20/07/13 23:08
수정 아이콘
롤 카드겜 나오면 그 중 특히 롤드컵 카드에서 선수 스탯매기는걸로 싸움 엄청나겠네요. 크크크
개인적으로 스탯 상관없이 애정(?)으로 모은다면 18더샤이-14댄디-18루키(15페이커)-16뱅-14마타 이렇게 모을 것 같습니다.
이츠씽
20/07/14 16:36
수정 아이콘
롤드컵 기준 제 취향 팀은(14년 이후)

18더샤이 16뱅기 18퍽즈 16프레이 17이그나

이렇게 크크
이츠씽
20/07/14 16:39
수정 아이콘
14년 이전에서 정하면
탑 소아즈 정글을 다이아몬드 프록스 미드는 토이즈 원딜 웨이샤오에 서폿은 매드라이프로 할것 같네요
20/07/13 23:49
수정 아이콘
일단 롤드컵 우승 미드가 쭉 다 한국인이라는 거에 국뽕 차오르네요.
어쩌다피지알
20/07/13 23:59
수정 아이콘
저도 예전에 궁금해서 찾아본 적 있는 지표인데, 이 우승 미드들의 비우승 시즌까지 찾아보면 더 재미있습니다.
자몽맛쌈무
20/07/14 00:47
수정 아이콘
허원석선생님.. 그립읍니다.
오사십오
20/07/14 02:26
수정 아이콘
15분 cs차 루키가 제일 높네요 요새등장한지표인 DPM/GOLD 지표도 궁금합니다
아트락타11
20/07/14 05:34
수정 아이콘
18 롤드컵 기준 루키는 역대급이죠;;
20/07/14 08:59
수정 아이콘
크라운이 지표로 까일 때 마다 웃긴 게 정작 주인공이었다던 룰러의 지표도 되게 평범하거든요
20/07/14 15: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문제인데
17 월챔 말자하 픽이 10번인데 크라운이 6픽 6승, 총 16경기 중 6번이라 15분 지표는 그만큼 낮을 수 밖에 없겠네요
말자하로 라인전 이기는건 진짜 힘들어서 그만큼 지표 손해...그런데 결승 1경기 카시 어케 이겻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464 [LOL] [오피셜] Untara 박의진, 은퇴 [20] 먹설턴트13400 20/12/17 13400 5
70463 [LOL] [오피셜] JDG, 시예/미스틱 영입 [16] 먹설턴트11147 20/12/17 11147 0
70461 [오버워치] [OWL] 스토브리그 이야기 - 1 - [5] Riina11389 20/12/17 11389 4
70460 [LOL] 농심 RED FORCE [30] 비오는풍경13996 20/12/17 13996 0
70459 [LOL] 2020 LOL KeSPA 컵 울산 조편성 공개 [21] nuri12130 20/12/17 12130 0
70458 [LOL] 스맵 은퇴 [54] 라면15651 20/12/17 15651 12
70457 [LOL] 스프링서머 통합시즌의 단점 [14] gardhi12244 20/12/17 12244 1
70456 [LOL] [오피셜] 담원 게이밍, 체이시 1군 콜업 및 2군 발표(추가) [36] 먹설턴트13410 20/12/17 13410 0
70455 [LOL] [오피셜]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e스포츠 정식종목화 [78] 아롱이다롱이15942 20/12/16 15942 1
70454 [LOL] 담원의 스폰서는 누구인가 [27] 비오는풍경18123 20/12/16 18123 0
70453 [LOL] LPL 이적 오피셜들이 하나씩 올라오네요 [17] insane13820 20/12/16 13820 0
70452 [LOL] 2020 롤 올스타전 LCK vs LPL 챔프가 정해졌습니다. [38] 공항아저씨13719 20/12/16 13719 0
70451 [LOL] 아시안게임 LOL 포함, E스포츠 정식종목 채택? [56] 공항아저씨13548 20/12/16 13548 0
70450 [LOL] Awesome e-Sports 프로지향 선수 모집 중 [11] Awesome Deneb10040 20/12/16 10040 0
70449 [LOL] 매우 이른 11.1 패치 프리뷰 [30] BitSae14220 20/12/16 14220 0
70447 [스타2] 지역락 해제가 발표됐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를 반대합니다 [29] 실제상황입니다18636 20/12/16 18636 2
70446 [LOL] G2 얀코스 영상 인터뷰가 나왔습니다. [1] Caps13062 20/12/15 13062 7
70445 [LOL] 팬들이 할 수 있는 게 뭘까요? 어떻게 하면 이걸 해결할 수 있을까요? [99] 실제상황입니다17220 20/12/15 17220 11
70444 [LOL] 이번 E스포츠 공정위원회의 징계에 대한 비판 [59] 청춘시대18491 20/12/15 18491 196
70443 [LOL] e스포츠 공정위원회가 회의록을 공개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164] 이정재19645 20/12/15 19645 30
70442 [LOL] 공식적으로 발표된 내년 LCS 리그 운영 계획 "통합시즌" [23] 신불해14738 20/12/15 14738 4
70441 [LOL] 샌드박스 게이밍 중대발표 [45] becker18551 20/12/15 18551 1
70440 [기타] 사이버펑크 2077 노스포 몇가지 팁 [19] 겨울삼각형13820 20/12/15 1382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