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4/20 20:56:58
Name Leeka
Subject [LOL] 국제대회에서 우승한 한국인 선수들
우승 트로피만 적음.
+ 서브 선수의 경우 '최소 출전 경기수 만족한 케이스' 에만 반영

Faker : 월즈 3 + 므시 2
Bengi : 월즈 3

Bang / Wolf : 월즈 2 + 므시 2
Duke : 월즈 2 + 므시 1

Blank : 월즈 1 + 므시 2
Pawn : 월즈 1 + 므시 1

Impact / Piglet / PoohManDu / Looper / Dandy / Imp / Mata /
Marin / Easyhoon / Cuvee / Ambition / Haru / Crown / Ruler /
CoreJJ / TheShy / Rookie / Gimgoon / Doinb / Nuguri
/ Caynon / ShowMaker / Ghost / Beryl  : 월즈 1

Deft / Huni / Peanut : 므시 1



롤드컵 우승해본적이 있는 한국인 : 32명
므시 우승해본적이 있는 한국인 : 9명
롤드컵 + 므시를 다 우승해본 적이 있는 사람 : 6명

롤드컵 먹어본 사람이 므시 먹어본사람의 3배보다 많은 기묘한 나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4/20 20:59
수정 아이콘
므시는 다섯 번 했고 롤드컵은 열 번 했으니 롤드컵 우승자가 더 많을수도 있고, 롤드컵 우승자 중에는 이지훈 하루 같은 케이스도 있으니...
21/04/20 21:00
수정 아이콘
것도 있는데

한국이 참가한 시즌으로 따지면

롤드컵 - 9번나가서 6번 우승 = 66.6%
므시 - 5번 나가서 2번 우승 = 40.0%

라는 점도... 있고

롤드컵은 2013년부터 8년째 한국인이 없는 팀은 우승한적이 없는데
므시는 2018년부터는 한국인 없는 팀만 우승해서.. 도
21/04/20 20:59
수정 아이콘
세체정 뱅기 세체2정 울프 세체3정 블랭크 반박시 스코어
다리기
21/04/21 13:47
수정 아이콘
스코어 크크크크 ㅠㅠ
21/04/20 21:00
수정 아이콘
롤드컵이 MSI보다 출전할 수 있는 한국팀이 많으니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닐까요?
21/04/20 21:03
수정 아이콘
롤드컵은 외국팀이 우승해도 거기에 한국인이 있었는데 (IG - FPX)
므시는 외국팀이 우승하니 한국인이 없었던 (RNG - G2) 차이도 있어서..
버거킹맘터
21/04/20 21:29
수정 아이콘
Msi가 15년부터 했고 작년 같은 경우는 건너뛰기 까지 했으니까요...
21/04/20 21:30
수정 아이콘
슼을 빼면 므시와 월즈 둘다 우승한 사람은 폰밖에 없군요
프라이드랜드21
21/04/20 21:30
수정 아이콘
롤드컵-므시/올스타 연속으로 먹는 경우가 절반이 안되던가 그래요 12~13tpa 14~15삼성 17~18삼성 18~19ig 19~20fpx
다 다음 므시/올스타를 나오지도 못하던가 나와도 4강 광탈하죠
저그우승!!
21/04/20 23:25
수정 아이콘
당분간 DK가 어디까지 해줄지가 관건이네요
다이어트
21/04/21 06:30
수정 아이콘
당연한 이야기인게 MSI 한국에서 나가본 팀이 SKT 4회 말고는 킹존 1회 밖에 없어요.......
성큼걸이
21/04/21 09:50
수정 아이콘
EPL에서 우승메달 주는 기준처럼 롤도 우승 기여 인정 기준이 있어야 된다 봅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기준은 조별리그 전체 경기수 1/3 이상 출전+녹아웃 토너먼트 단계에서 본인이 출전하고 이긴 경기 하나 이상 정도로
이라세오날
21/04/21 16:49
수정 아이콘
와 듀크
메펠마차박손
21/04/22 14:29
수정 아이콘
역대 커리어 4위 듀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788 [LOL] 어제 경기종료 후 젠지 기자회견 내용 정리 [108] EpicSide20137 21/11/01 20137 3
72787 [LOL] 작년 수닝 소프엠의 결승 진출 인터뷰 [15] Leeka16619 21/11/01 16619 1
72786 [LOL] 이번 스토브 리그는 4대미드를 중심으로 굴러갈것같네요. [142] 라라 안티포바22997 21/11/01 22997 0
72785 [LOL] 젠지는 어떻게 조화를 이룰수 있을까요 [112] FarorNear19888 21/11/01 19888 2
72784 [LOL] 젠지 선수들 수고많으셨습니다. [68] 과수원옆집16454 21/11/01 16454 19
72783 [LOL] LCK 1번시드 vs LPL 1번시드의 대결만 남은 4강 2일 차 후기 [53] Leeka14390 21/11/01 14390 1
72782 [LOL] 형님... 오늘 중계 있으십니다... (클템의 찍어 T1 VS 담원기아) + 강퀴님 분석영상 [16] 삭제됨15236 21/10/31 15236 1
72781 [LOL] Faker 이상혁의 시간은 거꾸로 흐른다 [94] Hestia25108 21/10/31 25108 51
72780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10월 29일 생방송 하이라이트 모음 + 순불 웹툰 !! [1] 캬옹쉬바나7190 21/10/31 7190 0
72779 [PC] [디2레]디아런 100회 리뷰 입니다. [56] 이르17544 21/10/31 17544 9
72778 [LOL] 명백한 강요와 협박이 없었다는 카나비 사건? [29] Peggg16938 21/10/31 16938 24
72777 [LOL] [칼럼] 캐니언과 쇼메이커가 마무리 지은 준결승전 [2] JoyLuck13855 21/10/31 13855 12
72776 [LOL] KHAN'S LAST DANCE [27] Leeka15255 21/10/31 15255 1
72775 [LOL] 오늘로써 마무리 된 T1 킬러의 역사 [176] 묻고 더블로 가!24071 21/10/31 24071 4
72774 [LOL] 경기 종료 후 담원기아 선수단 기자회견 [32] 소믈리에19190 21/10/31 19190 15
72773 [LOL] 경기 종료 후 T1 선수단 기자회견 [139] 소믈리에25500 21/10/31 25500 28
72772 [LOL] 한 번 써보는 롤드컵 방식 개선안 [69] 우왓14814 21/10/31 14814 0
72771 [LOL] 울어도 봤고 웃어도 봤다 그래도 웃는게 낫더라 [39] MiracleKid16656 21/10/31 16656 27
72770 [LOL] 담원기아, 라이엇 주관 대회 6연 결승 진출을 달성한 3번째 팀. [18] Leeka15216 21/10/31 15216 1
72769 [LOL] 담원의 7개 대회 연속 결승 진출 [30] 니시노 나나세14338 21/10/31 14338 2
72768 [LOL] "부활하지 않아도 좋다" [194] roqur25999 21/10/31 25999 34
72767 [LOL] 담원기아의 왕조 건설까지 마지막 한 걸음 - 역대급 4강 후기 [117] Leeka18020 21/10/31 18020 5
72766 [콘솔] 리틀 데빌 인사이드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6] 아케이드9904 21/10/30 990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