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0/05/10 22:27:20
Name ELESIS
File #1 20171012165853704gsbs.jpg (52.0 KB), Download : 61
출처 https://youtu.be/B6b5GP9fWvA
Subject [LOL] 킹존(DRX)의 국제대회 명경기 (수정됨)





2017 롤드컵 그룹 B조 2라운드: 기가바이트 마린즈 vs 롱주 게이밍


같은 시기 SKT vs EDG의 1만 골드차 역전(Faker Shockwave!)에 가려져 잘 회자되지 않는 편이지만 롱주가 끝내주는 한타력으로 그보다 더한 1.1만 골드차를 뒤집은 게임입니다. 내용도 무진장 재밌다는


MSI 2018 이후로 리그 망신시키는 내수전용팀, X몬타니카호 등으로 불리며 욕을 바가지로 먹은 킹존(구 롱주)도 국제대회에서 이렇게 꽃다운 시절이 있었읍니다...


참고로 롤드컵 그룹스테이지 6전 전승을 기록한 팀은 역사상 단 셋입니다. 2014 삼성 화이트, 2015 SKT T1, 2017 롱주 게이밍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묻고 더블로 가!
20/05/10 22:30
수정 아이콘
이 때만 해도 롤드컵 우승은 따놓은 분위기였고
조2위 삼성이 롱주와 만나게 되면서 삼성은 큰일 났다 싶었는데...
20/05/10 22:41
수정 아이콘
5분쯤 벌어지는 한타는 정말 아름답죠

이시기가 프레이 롤드컵 우승에 가장 가까웠던 시기였는데...
20/05/10 22:44
수정 아이콘
밑에 프레이스탯은 임모탈스 전 스탯으로 나오는데요?
20/05/10 22:45
수정 아이콘
아 그러네요 수정했습니다.
20/05/10 22:45
수정 아이콘
그 스킨 생각나네요...ㅠㅠㅠㅠ
20/05/10 22:45
수정 아이콘
프레이가 나중에 개인방송에서 오히려 이 경기가 독이 되었다고 회고하던 기억도 나네요
본선에서는 너무 자만했던 것 같다고..
20/05/10 22:52
수정 아이콘
우승 따놓는건 에바인게 B조자체가 개꿀조였죠.
가스불을깜빡했다
20/05/10 22:53
수정 아이콘
앰비션이 사기를 쳤죠...
공대장슈카
20/05/10 22:54
수정 아이콘
프레이 팬으로서 너무 아쉬운 해였습니다 ㅠㅡㅠ
키모이맨
20/05/10 23:07
수정 아이콘
8강 1차전 초반까지만해도 롱주가 질 수 없을거같았죠 비디디 신드라가 크라운 말자하를 영혼끝까지 털고있을때만해도
커즈 자르반이 신드라 궁쿨 생각 안하고 미드에 궁썼다가 말자하 못잡은 다음 비디디가 못내 아까워서 타워에 박아넣고
뭐 해보려다가 앰비션 세주아니 궁맞고 죽기전까지는요

개인적인 평가로 17롱주는 정말 잘했는데 문제는 자신감이 너무 넘쳤습니다.

너무 잘해서 너무 넘쳤죠. 저는 삼성과의 8강 1경기 밴픽이 진짜 자신감이 철철 넘쳐흘렀다고 생각합니다. 당시 향로로 시작
해서 향로로 끝난 대회였는데 고릴라는 쓰레쉬를 가져왔고 칸은 17롤드컵 전체에서 단1번 픽된 잭스를 자기가 했거든요.
잭스는 케넨과 매치업되고 상대방에 말자하가 있으니 라인전도, 한타도 아무 성과가 없었고 당시 향로메타에서 그랩류 CC류
챔피언은 미친듯이 잘해야 본전뽑을까말까한 챔피언이였고요.

그렇게 1경기 조지고 3연세주아니 나오면서 3대빵당해버렸죠.
루체시
20/05/10 23:16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결국 이것도 메타해석의 실패네요. 메타해석이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해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키모이맨
20/05/10 23:25
수정 아이콘
근데 킹존은 2세트부터는 말자하 짜르고 아주 정석적인 밴픽을 했습니다. 전 킹존은 메타해석을 못했다기보다는 그냥 넘치는 자신감이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1세트 밴픽이 완전히 자신감 초만땅 밴픽이였거든요 근데 다전제에서 1세트 지면 어떻게 되는지는 롤 오래보신
분들은 다들 아실거고....

하긴 조별리그에서 전력차가 난다해도 나서스탑같은거 하면서 예능픽으로도 다 쳐바르고 서머 결승에서도 T1 3:1로 이기고 온 팀이였으니
얼마나 자신감이 넘쳤을지는 상상이 되긴하는데.....칸이 한때 국제대회에서 못한다는 이미지가 있었는데 막상 본인 첫 국제대회였던
17롤드컵 조별예선까지는 별 예능픽 쓰면서 그냥 편하게 즐기는 모습이였죠 8강 롱주전에서 다소 무기력하게 진다음 다음해 MSI에서
완전 망해서 그런 이미지가 생겨버린거라

제 생각에 17롤드컵에서 진짜 단단히 잘못 판단된 픽은 미드 말자하였다고 봅니다. 10픽 9승 1패 승률90%, 크라운의 말자하
성적 6승 0패 100%, 삼성 내부피셜 말도안되는 사기챔피언, 17롤드컵 이후 OP임이 발견되어 엄청난 너프를 먹었던 챔피언
근데 T1은 결승에서 3연 말자하를 내주고 3:0으로 졌죠. 전 T1 최악의 판단이였다고 봅니다.
20/05/10 23:51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킹존은 조별리그에서 고생좀 했으면 정말 우승했을거 같습니다
20/05/11 00:21
수정 아이콘
앰비션피셜로 4강전 이전에 skt랑 스크림 할때마다 터져나갔다고 하니까요...
상대팀 데이터로 쌓인 스크림 결과를 신뢰했겠죠 T1은...
예킨야
20/05/11 01:18
수정 아이콘
그 말자하 당연히 스킨 만들어졌겠죠?!
크흡
이정재
20/05/10 23:47
수정 아이콘
잭스하는건 괜찮은데 수은을 안간게 치명적...
루체시
20/05/10 23: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결승전의 SKT를 잡은 유이한 팀 중 하나인걸요.
참고로 15, 16, 17 프레이를 잡은 팀은 롤드컵을 우승했습니다.
여름 리빌딩 대박이 터져서 이렇게 될줄이야...
그런데 역으로 롱주가 없었으면 17 KT가 무난하게 롤드컵 진출했을텐데 라는 생각이 갑자기 들어 재밌네요 허허
20/05/11 00:21
수정 아이콘
13프레이도...
카바라스
20/05/11 10:40
수정 아이콘
12프레이도..
가브리엘
20/05/11 01:39
수정 아이콘
2018년 결국 한국의 최고커리어는 킹존이었죠... msi준우승 욕하고 놀릴때까진 아무도 몰랐다 크크
키모이맨
20/05/11 01:44
수정 아이콘
2020년 지금까지도 킹존의 2018년 준우승을 넘은 팀이 없...
가브리엘
20/05/11 01:46
수정 아이콘
엌... 맞네요. 18킹존부터 넘고와라 lck
자몽맛쌈무
20/05/11 09:13
수정 아이콘
msi준우승하고 매국노가되었었는데.. 이게 2년간 최고성적이라니
가브리엘
20/05/11 09:54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사람 일 진짜 모르네요.
20/05/11 02:02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잘 기억이 안 나는데 프레이왈 3세트 들어가고도 삼성한테 질 거라는 생각 안 했다던가 그랬을 정도로 자신감이 넘쳤다고 하니....
20/05/11 02:21
수정 아이콘
그 전령 댄스도 기억나네요. 프나틱 전이었던가..
좋은데이
20/05/11 11:14
수정 아이콘
프레이가 참 안타까워요..
한체원 계보중 2위그룹하고 가장 큰 격차를 냈다고 생각하는게 12프레이인데, 12~19까지 롱런하던 프레이가 롤드컵하나를 못들줄이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8571 [스타1] 이번 시즌 asl 최고의 명경기 [19] pecotek10748 24/04/16 10748
471230 [스타1] 미친 명경기 2007 DAUM 결승전 김준영vs변형태 마지막 5세트 [50] 시나브로17020 23/01/09 17020
459312 [LOL] 이스포츠 매니저 명경기 직접해보기 [12] Leeka7808 22/08/02 7808
422298 [스타1] 갑자기 이제동이 생각나서 올리는 명경기 [17] Anti-MAGE8989 21/05/14 8989
406687 [스타1] 박태민 vs 오영종 in 블루스톰 명경기 [5] SKY928602 20/12/10 8602
403395 [스타1] 이영호 스타인생 최고의 명경기 [9] insane10920 20/11/09 10920
385694 [LOL] 킹존(DRX)의 국제대회 명경기 [27] ELESIS11649 20/05/10 11649
383292 [LOL] 명경기 인증 마크 [9] 카루오스9516 20/04/18 9516
380560 [스타1] 엄재경 하면 기억나는 스타1 명경기 [28] manymaster12288 20/03/21 12288
379621 [LOL] 선수들이 뽑은 LCK 명경기들. [28] Dena harten11724 20/03/12 11724
349545 [LOL] 오늘 새벽 LEC 플레이오프에서 나온 역대급 명경기.swf [16] Ensis9233 19/04/06 9233
347282 [LOL] 오늘 명경기는 어제 이미 스포가.. [2] 조말론8762 19/03/08 8762
346894 [게임] [스2] 어윤수 세랄 8강 명경기네요 [3] 세인트루이스6372 19/03/04 6372
334779 [스타1] 아프리카 스타판 역대급 명경기 [5] 랜디존슨10879 18/09/17 10879
326743 [스타1] 오늘 테프전 역대급 명경기 보면서 가장 흐뭇할 사람.jpg [22] 살인자들의섬10390 18/05/01 10390
316272 [스타1] ASL경기보다 흥미진진했던 최근자 따규형 명경기 [2] 랜디존슨8447 17/11/15 8447
313502 [게임] [하스스톤] 한국 메이저 결승 7경기 역대급 명경기 [32] I 초아 U9282 17/10/02 9282
313346 [스포츠] 재벌 2세의 명경기를 위한 희생정신.JPGIF [21] 비타에듀9735 17/09/28 9735
307986 [게임] [철권] 다시한번 꺼내보는 전설의 명경기 [9] EPICA7120 17/06/26 7120
302459 [스타1] 박용욱 명경기 [12] 언어물리6863 17/03/09 6863
302284 [게임] [워크3] 장재호 vs 노재욱 명경기 [4] elyts5372 17/03/06 5372
299720 [게임] [철권6] 크레이지 동팔 vs 나락호프 텍크 시즌 1 명경기 [5] SKY925126 17/01/23 5126
298503 [게임] [스파5] 버디 vs 팡 크리스마스 명경기 . avi [2] 네~ 다음4557 17/01/03 45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