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군
12/05/25 13:03
AMOLED TV가 양산된게 있나요?? 작년에 LG에선가 Sample로 냈다는 것은 들었는데요,
흔히들 이야기하는 LED TV는 Backlight가 LED를 쓴 TV일껍니다.
Toppick
12/05/25 13:04
엘전은 핸드폰에서 고부가가치를 만들어내는 부품이나 핸드폰 자체에 이렇다할 강점이 없는게 큰 문제 같습니다.
애플은 반도체 회사에서 나온 1달러짜리 낸드메모리를 사다가 애플이란 이름하나 붙이고 30달러에 팔아서 수익을 내는 모습이고,
삼성은 엑시노스 만들어내는거 보면 핸드폰쪽으로 인텔인사이드를 만들어 나가는 것처럼 보이더군요.
핸드폰에 들어가는 비싼 부품들을 사갈 수밖에 없는 시스템으로 만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그러한 투자를 만들어낸 반도체라는 캐시카우가 새삼 대단해 보입니다.
엘전은 이도저도 아니라서 왜 사냐건 웃지요 ㅠㅠ
gungs
12/05/25 13:06
PMOLED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요즘 나오는 Mobile / TV 모두 AMOLED입니다.
TFT 사용유무라고 보시면 되는데, LCD도 AMLCD라고 안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처음에야 착은 모바일기기나 오디오등에 PM을 많이 썼는데(개구율이나 단가등),
정상적인 Display를 하기위해서는 휘도 / 주파수등의 문제로 인해 AMOLED를 거의 모두 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TV는 더더군다나 그렇고요. 그래서 이름도 길고해서 OLED TV라고만 하는 것 같습니다.
Zel
12/05/25 13:07
요즘 가전박람회 보면 50인치 OLED 양산품으로 나오더라고요.. 백라이트 LED말고
삼성전자가 55인치 1100만원대로 하반기에 낸다던..
gungs
12/05/25 13:08
재작년에 15inch로 양산했었고요, 소니가 그 전에 11인치 양산했습니다. 물론 수량은 소수였지만.
그리고 최근에 방송장비에 들어가는 용으로 소니가 20 인치 정도의 size를 양산했습니다.
Toppick
12/05/25 13:08
http://samsungamoled.net/82
이거 말고 다른데에서 정말 자세히 설명 되있는거 봤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맥쿼리님이 저번에 보조게시판에 올려주신 IT자료에도 설명 잘되있어요.
Zel
12/05/25 13:12
사실 마바라님의 포인트는 조금 다르긴 하죠..손담비가 그렇게 아몰레드~ 노래를 불러놓고 왜 TV에선 OLED냐고 마케팅 포인트를 다르게 잡느냐는건데..

AMOLED를 아몰레드로 부르는 것 부터 많은 반발 내지 거부감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죠. AM OLED가 어떻게 아몰레드냐고..
제 생각엔 그냥 아몰레드라는 용어 자체가 아몰레드 폰에 너무 써먹어서 TV에서도 또 써먹으면 식상한 느낌도 들고, (폰의 역사에도 피쳐폰으론 빅히트를 치긴 했지만 아몰레드-옴니아2 시절에 아이폰에 개발리던 아픔도 있고..) 어짜피 LGD에서는 OLED라고 부를테니 그냥 OLED라고 같이 부르는게 낫지 않나 하는 전략적 판단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근거 없는 개인적 추정입니다.
Toppick
12/05/25 13:13
셀트리온 회장이 편지 쓴 이후로 대차잔고가 40% 가량 줄었던데 그리스 문제 없었으면 더 올라갈수도 있었을텐데 아쉽겠네요.
상환속도는 비교적 빠른편이었는데 앞으로 어찌될지 궁금합니다.
Toppick
12/05/25 13:17
그것도 일리있는것 같습니다. 핸드폰쪽에서는 아직도 아몰레드라고 쓰거든요. 이쪽으로 엘지디에선 IPS 패널이니까 OLED라고 할 필요가 없죠.
gungs
12/05/25 13:18
적절한 추정인것 같아요. 듣고보니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때는 AMOLED가 최초로 양산될 때고 그전에는 전부 PM으로 Sub display로 양산을했었기 때문에 초창기 마케팅 포인트를 AMOLED로 잡았을 것 같아요.
이재균
12/05/25 13:18
민철이가 그마를 찍긴 했는데.. 토스가 워낙 사기라..-_ㅠ; 민철이 요새 멘붕 왔어요!
Toppick
12/05/25 13:41
그 말씀도 일리 있네요.
마바라
12/05/25 13:46
글쿤요.. 아몰레드란 이름은 휴대폰에 많이 써먹어서 식상하긴 하죠.

제가 의문을 가진 이유는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LG전자 ‘올레드(OLED)’ 상표 등록… “보고 있나? 삼성 아몰레드!”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91259

LG에서 'OLED TV'를 '올레드 티비'라고 부르겠대요.. =_=;;
네이버에 올레드 검색해 보세요.. 기사가 쭉 뜨는걸 보니 얘네들 진심이에요.
고체뱀
12/05/25 13:49
여담(?) 이지만 am oled 를 아몰레드라고 부르니까 공학도인 지인이 노발대발하면서 그렇게 부르면안된다면서

그럼 pm oled는 프몰레드냐? 하면서 혼내신 기억이... 껄껄....난 그냥 광고에서 그러니까 말해본건데 ㅜㅜ;;;
분수
12/05/25 13:51
오랜만에 증시게시판이 100플이 넘었네요. 오늘은 야구 이야기로 흥했군요.
주식 이야기로 언제쯤 흥할지 기대되네요.
사령이
12/05/25 13:53
아...토스사기..ㅠㅠ
마바라
12/05/25 13:53
OLED TV를 올레드 티비로 부르게 된다면.. 그 분이 또 노발대발 하실지도.. =_=;;
gungs
12/05/25 14:11
올레드는 실제 디스플레이업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죠. 외국에 나가서 논문 발표하는 사람들을 봐도 많은 외국인들이 '올레드'라고 발음하더라구요.
마바라
12/05/25 14:13
앗 그래요?
오엘이디를 올레드로 부르고 있다면.. 에이엠오엘이디를 아몰레드로 부른다고 해서 그렇게 화낼건 아니었군요.. -_-;;

기사 내용을 보면..
"특허청은 그간 기술적 표현으로 직관되는 상표는 등록을 거절해왔다. 대표적인 예가 ‘아몰레드’다. 특허청은 ‘아몰레드’하면 ‘AMOLED’라는 기술 방식이 떠오른다며 2010년 10월 삼성전자의 상표 등록 출원을 최종 거절한 바 있다." 라는데..

이미 업계에서 OLED가 올레드로 불리고 있다면.. 상표 등록이 안될 가능성이 높겠네요.
Zel
12/05/25 14:14
아 하하...이런 내용이 있으셨군요.
이거 되게 웃깁니다 크크. 마치 LCD를 르크드 티비라고 등록하는것 같군요~
기사 읽어보면 아몰레드도 결국 상표출원이 거절된걸로 봐서 올리드(?) 도 안될것 같습니다.

그러면 브라운관 시절 브라운관 TV도 상표화 했었을 수도 있다는건데.. 좀 많이 웃깁니다. 패기인지 고집인지 설움의 표현인지 LGD ㅠㅠ
마바라
12/05/25 14:16
그래 이래야 내 LG 답지.. 랄까요.. ㅠ_ㅠ
gungs
12/05/25 14:18
그 부분에 대해선 잘모르겠습니다. 상표권에 대해선 잘몰라서. 상표권을 떠나 '아몰레드'가 센세이션을 일으켰지만, 업계에서는 그렇게 지칭하지 않았으니 이질감이 많이 들었던것 같아요. 같은 이유에서라면 거절될 가능성이 높을것으로 추정되지만, 삼성에서 Naming marketing에서 많은 포인트를 가져갔었죠. '아몰레드' 상표권으로. 등록되든 안되든.
gungs
12/05/25 14:19
LCD랑은 조금 다르게 OLED 전체 발음이 좀 길어서인지 올레드라고 많이 합니다.
이재균
12/05/25 14:21
사령이 님// 토스 dog사기 ㅜㅜ;;
Zel
12/05/25 14:22
예 4자 넘어가는 약어들 그냥 붙여 읽는게 흔하고 발음도 쉬우니 충분히 그럴거라고 예상은 됩니다만.. LG의 행보란게 참... '이 올레드 상표 하나, 그것이 갖고 싶었습니다.' 라는 흔한 패러디가 연상되어서 좀 웃프네요.
해피스마일
12/05/25 14:25
다음주 화요일도 박스권일듯..
사령이
12/05/25 14:29
그래도 오랜만에 댓글로 흥했네요.
설탕가루인형
12/05/25 14:48
흐억...맨날 외근하다가 오랜만에 사무실에서 눈팅하던 중인데 왜 제 이름이...OTL
정말 미친듯이 깜짝 놀랐습니다..^^;;;
Zel
12/05/25 15:03
아 민주당 전문가 아니십니까^^
설탕가루인형
12/05/25 15:05
어쨌던 요즘 민주당 조직쪽은 혼돈의 카오스입니다.
예전엔 어느정도 표계산이 가능했는데 지금은 전혀 예측이 안되요..
누가 누구의 계파다..라고해봤자 다른 사람과도 친분이 상당히 많고 해서 피아식별도 불가능하구요...
구경하는 재미는 쏠쏠합니다..크크
[증시] 2012년 5월 25일 시황 불판
PGR21 불판창입니다.
불판에 입력하는 내용은 전부 게시물에 기록되며
기존 피지알 댓글과 동일하게 취급하므로 매너있는 불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트위치 채널이름", "!유튜브 비디오ID" "!아프리카 채널명" 입력시 방송과 불판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