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경기력은 전체적으로 기대 이하고, 특히 박현우 선수는 심각한 수준이었고, 황규석 선수도 프로토스전에 비하면 저그전은 영 아니었습니다. 이영한 선수도 이기긴 했는데 화면이 바뀔 때마다 실수가 나오는 경기는 나오지 말아야죠. 지뢰 하나에 병력 다 잃는건 자기 성격이 아니라 그냥 컨트롤을 못 하는거에요.
나름 이영한 선수의 pp가 그래도 신의 한수(?)였던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수습했고 황규석 선수의 템포도 느려진 느낌이라고 해야하나...
여튼 스타일리시한 운영과 판짜기에 박현우, 황규석 선수가 초반에 피해를 너무 많이 입었어요,
이영한 선수 조금만 더 다듬어도 군심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여줄것 같네요
밤까마귀는 심하게 무리고, 그 상황에서 몇 기 모아봤자 제공권 잡힌 상황이라서 큰 힘을 쓰긴 어려울 겁니다. 가뜩이나 느려서 아마 감염충한테서 살아남을 수조차 없겠죠. 유령까지 갈 필요 없이 2군수공장을 이미 돌리는 상황이었는데 하나에서 꾸준히 공성 전차를 눌러줬어도 조금은 달랐을 것 같습니다. 2 군수공장 돌리면서 지뢰만 뽑았는데, 딱히 지뢰 운용이 좋진 않았어요. 이영한 선수가 워낙 제거를 못해서 이득을 많이 봤을 뿐이죠.
지뢰가 딱히 울트라리스크 상대로 좋진 않습니다. 울트라리스크를 지뢰로 잡으려면 최소 4기가 필요해요. 뮤탈리스크요? 어차피 지뢰도 뮤탈리스크에 잡히는건 마찬가지에요. 저 상황에서 진균 번식을 아무런 방해도 없이 계속 쏘고, 감염충은 잡히지도 않는 상황에서 공성전차가 필요 없다고 볼 수 있나요?
물론 뽑았으면 무조건 이겼으리라 말하는건 아니고, 이미 다른 대회에서 공성 전차 운용하는 것도 조금씩 보이죠. 제 생각에는 황규석 선수 플레이는 그냥 지뢰 만능론에 빠진 것처럼 보였네요.
뮤탈리스크는 사실상 뽑은 자원에 비해선 효과를 본게 크진 않죠. 솔직히 말해서 황규석 선수 대비가 좀 더 좋았으면 그야말로 자원 낭비가 되었을 가능성도 높았겠죠. 쓸데없이 자극제만 써놓고 방치해둔 해병 몇기로 뮤탈리스크를 막겠다고 확장에 두었다가 다 잡혔죠. 차라리 사거리 연구된 마사일 포탑 3~4 정도 건설해놓는게 나았겠죠. 거기다가 의료선 견제도 얼핏 한거 같지만, 중요한 6시는 제대로 파악도 안 해놔서 저그 자원줄은 끊기지도 않았습니다.
테란 병력 운용이 답답한건, 지뢰는 잔뜩 뽑으면서 마치 공성전차가 뭉쳐서 공성모드하듯이 대충 잠복시켜놓는 운용이 별로였죠. 이영한 선수가 심각하게 지뢰 제거를 못해서 그런거지, 조금만 꼼꼼하게 했으면 몇 분안으로 지뢰 다 제거하고 끝났을 경기였다고 봅니다.
군락에서 공성전차를 뽑을 수가 없는 이유가 하나 더있습니다. 바로 살모사의 흑구름(흑구름 내부의 원거리공격유닛 사정거리 1로 감소)인데 바로 이게 다른유닛상대로는 큰 소득이 없는(기술에 관한 연구가 덜됬다고 볼수도 있지만)데 유독 공성전차 상대로는 공성모드 특유의 패널티로 인해 효율이 극대화됩니다.
기껏 자원들여서 투입했더니 잉여가되는것이죠.
그리고 2경기에서 지뢰의 활약상을 감안하더라도 그상황에서는 해불선마인이 최선이였습니다만 굳이 감염충을 상대하야한다면 유령이 그나마 나아보입니다..
살모사 흑구름이요? 애시당초 감염충 진균 번식에 병력 다 잡혀서 감염충 대놓고 진균 번식 쓰지 말라고 공성 전차 뽑는거에요, 공성 전차 소수 때문에 감염충 숫자 줄고 살모사 나오면 그것만으로도 이득이에요. 살모사가 저렴한 유닛도 아니고, 흡수해서 에너지 채우고 할 시간 생각하면 차라리 흑구름 쓰라고 하는게 낫겠네요.
전차가 소수면 뮤탈이나 저글링에 빈틈이 생겼다가 잡혔을겁니다
특히 지뢰를 빼는건 2경기에서 지뢰의 활약상을 봤으면 생각조차 할 수 없는소리입니다. 전차는 결정적으로 대공 커버가 안되고요. 지뢰 는 뮤탈상대로 125+방사 40의 피해덕에 효율이 좋은데 전차는 아예 0입니다. 기대치가 지뢰에 비해 훨씬 떨어지고요
다른경기라면 테란이 자원을 바탕으로 생각할 여지가 많았겠습니다만 이번경기는 테란이 가난해서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보이네요.
[스타2] 2013 WCS Korea Season 1 : MANGOSIX GSL 32강 E조 #2
PGR21 불판창입니다. 불판에 입력하는 내용은 전부 게시물에 기록되며 기존 피지알 댓글과 동일하게 취급하므로 매너있는 불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트위치 채널이름", "!유튜브 비디오ID" "!아프리카 채널명" 입력시 방송과 불판을 함께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