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바람o
13/09/21 14:08
프레이 카인보다 못하다는 근거가 뭔가요?? 챔스 3위, 우승, 진출전 1위, 롤드컵 예선 5승 1패 팀인데..
낭천
13/09/21 14:09
강력하든 말든 skt 가 봇 라인전 단계에서 좀 안일하게 플레이한건 사실이죠.
곡물처리용군락
13/09/21 14:09
관중석이 조용한 상태를 말합니다 흐흐
一切唯心造
13/09/21 14:09
은나래씨 머리 풀었네요 하하
G.G
13/09/21 14:10
코르키 해서 기분좋다는 피글렛 오오
RedDragon
13/09/21 14:10
초반 비등했던 분위기는 SKT가 던진거라기보다는 TSM이 정말 잘 해준거죠. 와일드 터틀, 오드원은 정말 잘한다고 느껴집니다. 한타때 돌진해오는 리븐이나 잭스에게 고치가 빗나간 적이 없었죠. 수십번을 던졌는데도..... 와일드 터틀도 중반까지 딜 정말 잘해줬고요.
애니 서폿도 6렙 타이밍 더블킬 먹여주는 등 자신의 역할은 다 했다고 봅니다.
다이러스도 초반 말린거 궁 더블킬 먹으면서 복구하고 1인분 정도는 했다고 보고... 레지가 문제네요 크크
허느
13/09/21 14:11
확실한건 sk는 오존과 달리 상대에 따른 대처전략을 확실하게 준비햇다는거죠.
제드 코르키 다 풀어주면 페이커를 봤을때 제드는 줄수 없으니 코르키는 sk의 것. 제드를 가져가도 말리게 할수 있는 카드 준비.
가장 중요한건 상대는 sk를 상대로 제드를 안쓸 생각을 햇는데 퍼플인데 제드를 풀어주니 준비한 픽을 할수 없다는거.
밴픽전략을 잘짰다는생각이 듭니다.
클로로 루시루플
13/09/21 14:12
카인은 감성센도 한적없는것도 아니고 프레이도 늘 잘해주던가요? 피글렛 끝까지 살아남고 소나 크레센도 한번 실패하고 계속 2,3인 맞춰줘서 한타 승리했죠. 이번 TSM 경기에서 딱 한번씩 실수하긴했는데 나중에 그거 한타때 보상했다고 봅니다. 카인,프레이가 그리 안정감있어서 롤챔 2번 연속 탈락했습니까?
쿨럭
13/09/21 14:14
그래도 리븐으로 제드 카운터 치는건..절반의 성공 같습니다
오늘 상대미드가 비교적 약세였으니 다행이지..대등한 팀에는 안통할꺼 같네요
페이커의 캐리력이 확 감소하는 느낌이었습니다.
단빵~♡
13/09/21 14:14
팀성적을 가지고 라이너의 기량을 평가하는건 오류죠
NothingNess
13/09/21 14:14
방금 도서관보면 딱히 다른 지역이라고 크게 다를건 없는거 같습니다
koel2
13/09/21 14:14
후반 캐리가 두명이나 있는 조합과 중반부터 이득봐야 하는 조합이 글골 비슷하면 보통 국내 경기 중계할 때는 조합상 분위기가 넘어갔다고 해설 많이 하죠.
사과맛발톱
13/09/21 14:15
맞습니다. 글골차이도 없었고 지고있을때도 없었지만 팬들의 기대는 오늘 omg 경기처럼 압도하는거였죠. 특히 tsm이 못한다고 많이 놀렸으니까요. 개인적으로 실수하는 장면은 없었으면 합니다. 그동안 Skt는 완벽한 팀이라고 생각했거든요.
Meanzof
13/09/21 14:16
근데 미국와서 연습한걸 꺼내는바람에 아직 리븐 숙련도가 많이 페이커답지 않았습니다~_~;
3타 벽넘기도 엄청 실수하고있었고 살짝 싱코걸린듯한
무빙도 많이 나왔으니 리븐이 정말 많이 안좋은건지 페이커가 즐겜한건지는 이번 롤드컴에선 알기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_=;

암튼 강팀상대로는 제드는 블루가 아닌이산 필밴해야하는건 동의합니다.
起秀
13/09/21 14:16
그건 아닙니다. 유틸성의 경우 상황에 따라 q가 쿨초기화가 있어서 잭스의 경우보다 좋을 수 있고 결정적으로 트포 활용의 측면만 보면 r의 시너지 때문에 잭스보단 위죠. 다만 현재 추세상 탑을 압살하는 픽보단 탱커류가 많이 산호되는 상황에서 굳이 로우리스크인 이렐보다 잭스가 선호되는거죠. 아마 탑 압살하는 육식이 대세였다면 이렐이 더 산호됐을겁니다.
체념토스
13/09/21 14:17
저랑 같은 겜 보신것 맞으시는지....
화면에 안보여줬지만 페이커 제드 솔킬따고 지속적으로 cs차이를 엄청 벌렸었는데.... 그러면서 엘리스가 미드봐주려고 한거죠.
후반딜은 케릭터특성상 스턴 및 탈진류에게 약하긴 한데 스노우볼을 굴린것을 봤을때 굉장히 성공적이였다고 봅니다.
위로의 여신
13/09/21 14:17
기대치도 있겠지만 워낙 북미팀들이 무시당하고 있기도하죠.
쿨럭
13/09/21 14:20
SK 봇의 경우 오존의 봇을 거의 한번도 못 이기다가..(그탓에 팀전적이 확 기울었죠)
윈터 들어와서 갑자기 쎄진거라 안정감을 말하긴 이릅니다.

소드의 봇은 천적이라고 불린 상대팀봇이 존재한적이 없죠. 그런 안정감을 말하는겁니다
지더라도 다른라인의 문제가 컸으니까요. 안정감이란 그런거죠.

그리고 소드팀 자체로 보더라도 세시즌 1,5,5위 입니다. 이 성적이 가장 안정적이니
서킷 1위가 된겁니다만?
티르
13/09/21 14:20
솔킬 따고 cs 30~40개 정도 차이 났으면 압도했죠. 뭐 사실 리븐이 아니라 다른 픽을 했어도 그랬을 것 같긴 한데;
다만 SKT-TSM 정도의 전력차라면 몰라도 8강급 팀들에게 푸는 건 위험할 것 같습니다.
티르
13/09/21 14:22
전 감성이 많이 보이던데.. 바텀에서 더블킬 줄 때도 그랬고 미드 2차에서도 거의 그 급이었죠.
되는데요
13/09/21 14:22
0:16요..
Vinson
13/09/21 14:23
마지막 부분에 롤챔 2번 연속 탈락은 봇라인 때문에 떨어진게 아니란거 경기 어느정도 보셨다면 당연히 알만한 부분이고, 감정이 조금 격해지셔서 그랬다고 생각하고 넘어가겠습니다. 현 시점에서 S+급으로 프레이 카인 // 피글렛 푸만두 // 임프 마타 // 스코어 마파 가 봇라인 4강이라고 생각합니다. 게임을 하는데 라인전만 보고 픽을 하는 것도 아니며 각각의 팀색깔에 맞춰서 픽을 하기 때문에 초반과 중반 후반에 따라서 서로 강한 부분이 다릅니다. 그리고 나진소드의 경우, 지금 제대로 보여준 경기 데이터가 무척이나 적죠. 그래서 페이커 선수처럼 원탑소리를 함부로 하면 안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봇라인은 적어도 둘이고 조합에 따라서 분명히 라인전과 한타가 확연하게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8강이 시작되서 나진소드가 세계 강팀들과의 경기에서 봇라인이 어느정도까지 보여줄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흑백논리식으로 봇라인 누구최고라고 하면서 서로 다른팀 까내리는 것은 이스포츠를 스포츠화 시키는 현상에 좋은 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네요
.Fantasystar.
13/09/21 14:23
헉 제가 못봤었나봅니다 크크
티르
13/09/21 14:24
모든 국가가 다 그럴걸요. 대다수는 대표팀 응원 / 매니아들은 타 지역도 응원(월드컵 때 국내대표팀 외 다른 유명 팀들 응원하듯) 하는 식으로요.
클로로 루시루플
13/09/21 14:29
이게 흑백논리인가요? SKT가 잘해주는데 여전히 소드가 1위아니냐 하길래 난 동의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적은것뿐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소드가 아직 보여준게 없기에 SK가 1위다라고 단언해서 제 생각을 받아들일수 없다는건 인정합니다. 하지만 제가 한말이 뭐 악의적으로 까내린것도 아니고 이포스츠 현상 어쩌구 들을말은 전혀 아니라고 보네요.
Vinson
13/09/21 14:33
저는 소드가 1위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 말한 것처럼 저 4팀의 봇라인이 국내에서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팀마다 봇라인이 하는 플레이가 조금은 다르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흑백논리라고 너무 성급하게 말씀드린게 기분 상하셨다면 먼저 사죄드립니다. 그리고 제가 글을 잘 못 썼지만
'카인,프레이가 그리 안정감있어서 롤챔 2번 연속 탈락했습니까?'
이 발언에 있어서는 분명히 소드팀을 비꼬셨고 이건 확실히 이스포츠에 좋은 영향은 미치지 않을거 같습니다.
SnowHoLic
13/09/21 14:38
q쿨 초기화도 충분히 좋은 유틸성을 가지는건 맞죠. 그래도 막타시 초기화라는게 상당한 제약이고, 무엇보다 스턴이 단일타겟/조건부라는 점이 커서요.
와드/아군/적군 가리지 않고 뛰어다닐수 있는 q나 범위타겟/확정 스턴인 e를 가진 잭스가 상대적으로 유틸성에선 더 앞선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렐이 트포에 굉장히 적합한 챔프인건 맞지요. 그런데 이론상 r칼같이 2초마다 끊어 쓰면 된다고는 해도, 1:1상황이 아닌이상 완전 탱커도 아닌데 파고들어야 하는 이렐이 그렇게까지 여유를 가지긴 힘들어요. q로 딸피 진입한다 할때도 실제로 첫쿨 버리고 들어가는건데, 스턴을 위해서는 e, 데미지를 위해선 w까지 바로 사용해야하구요.
실제 이렐 트포 활용에 궁극기가 절반정도 비중이라고 보는데, 앞서 말했듯이 한타때 궁4번을 완전히 트포에 사용하기도 쉽지않고, 짧다지만 쿨도는 동안 트포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면에서 3초쿨 w 그냥 쿨마다 돌리면되는 잭스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적었듯이 이렐이 더 나은점, 로우리스크로 만들어주는게 라인전 유지력이 뛰어나다는 점인데 이것 때문에 탑에 육식챔프가 대세라면 이렐이 가지는 강점이 커진다는건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
클로로 루시루플
13/09/21 14:41
글쎄요. 도레이븐으로 결국 한타떄 아무것도 못하고 무너진 프레이나 스프링때 프로스트전때도 헤르메스,매라가 더 잘했다고 봅니다만...결국 드레이븐으로 뭐 보여주지 못한게 탈락의 큰 이유였다고 보는지라 안정감이라는 말에는 그닥 동감이 안되네요. SK는 섬머,국대선발전때 보여줬다고 생각하지만 소드보다는 기간이 짧긴했네요.
클로로 루시루플
13/09/21 14:43
제가 문장을 잘못 썼네요. 어조가 불쾌했다면 사과드리겠습니다. 하지만 안정감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표현하는데 있어서 실수가 있었네요.
Vinson
13/09/21 15:04
보는 눈은 사람 마다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다들 다른 팀을 좋아하는 것이고 다양성이 존재하겠죠. 오히려 제 거칠은 논조에 이렇게 사과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LOL] Season3 World Championship 조별 풀리그 A조 5일차 #4
PGR21 불판창입니다.
불판에 입력하는 내용은 전부 게시물에 기록되며
기존 피지알 댓글과 동일하게 취급하므로 매너있는 불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트위치 채널이름", "!유튜브 비디오ID" "!아프리카 채널명" 입력시 방송과 불판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