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간
14/03/16 05:33
엑스페케이티라는 말도 나오네요 크크크크
당근매니아
14/03/16 05:33
안되게 패치되었던 걸로 알아요.
키토
14/03/16 05:34
마스터즈에서 연패로 몰린게 너무 컷어요. 특히나 만년 중하위권으로 몰려있던 im에게 덜미를 잡힌게 매우 컷구요. 선수 포변도 있었고 불안요소가 너무 많았죠. 그래도 잘해서 결승갔으니 우승해서 돌아오길 빕니다.
보라도리
14/03/16 05:34
그래도 오늘 경기 보면서 케이티비 역시 클래스 가 다른팀이라고 느껴집니다..

저런 단기전에 전혀 데이터 없는 상대들 상대로 이렇게 이기는 거 자체가대단.. 심지어 프로스트는 그때 결승 진출 상태 였는데도 참패 당했는데..
향냄새
14/03/16 05:34
마스터즈에서 ig전까지 보고 못 올라갈줄 알았는데 반성합니다 크크크
다이아1인데미필
14/03/16 05:35
3.03 패치에서 억제기나 넥서스, 포탑에 피해가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2]

헛 죄송합니다.

그러면 ap가 높아서 잘깼던거 같네요
저 신경쓰여요
14/03/16 05:36
그리고 좋은 경기 보여주고 결과에 멋지게 승복한 갬빗에게도 박수를 보냅니다. 특히 에드워드는 피미르한테 페이팔 기부도 했잖아요. 원래 좋아하던 팀을 더 자랑스럽게 생각할 수 있게 됐습니다. 다프는 역시 세체정이었던 남자 답고 다리엔은 그냥 균형자였지만 나름 괜찮았고 알렉스이치의 르블랑과 카직스, 직스는 멋졌습니다. 그런데 겐자... 겐자님은 이제 슬슬 겐자스러움을 버려주어도 좋지 않을지...
Lunpis
14/03/16 05:36
전 기본적으로 국뽕배제해도 시즌4 들어서는 국내에서도 강팀으로 분류되는 팀하고 해외팀들하고는 두드러지게 클라스 격차가 난다고 생각해왔거든요. 시즌3부터 벌어진 격차가 계속 조금씩 더 벌어진다고 봐서......KTB가 지금 폼이 안좋은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국내에서도 여전히 수위를 다투는 팀인데 이상하게 국제대회만 되면 해외팀들 전력을 너무 높게보는 경향이 있는것 같아요. 물론 저도 좀 그랬지만 크크크크
Faker Senpai
14/03/16 05:36
이제 자야하는데 이거 잠이 달아나버리는 4인백도어였어요.
보라도리
14/03/16 05:36
2경기의 모먼트 3개 뽑으면 카사딘의 루시안 순삭 다프의 마지막 한타 3명맞추는 킥 그리고 KTB의 백도어 겠네요... 크크
一切唯心造
14/03/16 05:38
LCS 하고 있는데 데이터가 없다니요;; 차고 넘칠 정도로 많죠 이제는
Carpe Diem
14/03/16 05:39
전기돼지
14/03/16 05:40
최근 전적도 좋지 않았고 경기력이 너무 떨어져서 여러가지로 우려가 많았죠.
IEM에서는 상대팀들이 너무 약해서 이기고 있고 컨디션도 조금씩 나아지는 것 같긴 한데, 폼 좋을 땐 절대 나오지 않던 희한한 실수들을 통제하지 않으면 나진이나 IM 상대로 설욕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인섹선수의 챔프폭과 지나치게 공격적인 성향도 계속 발목을 잡을 것 같고요.
DB
14/03/16 05:40
만약에 우승하고와서Kt가 롤챔에서 16강 탈락하면 외국팀은.평가가.....
향냄새
14/03/16 05:44
tpa에 이어서 저번 카토비체 거기다 시즌3롤드컵 오존의 디즈니관광 이후에 무작정 한국이 최고다 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죠.

대륙간 대회가 없어서 증명할 방법도 없었고(심지어 솔랭고수들이 가도 바른다는 북미 lcs는 진출도 못했고)

북미, 유럽 lcs 성적과 한국 마스터즈리그 성적(롤챔스 개막이 얼마 안됐기에)을 비교해보면 그렇게 평가할수 밖에 없었습니다.

물론 이번에 KT B가 이기면서 리그 차이를 보여주는 것 같지만
이지스
14/03/16 05:45
KTB가 폼이 안 좋아서 많은 사람들이 비관적인 예상을 한 건 사실이지만, 해외뽕도 없진 않더라구요. 대놓고 KT가 갬빗한테 털렸으면 좋겠다느니, 슬슬 국뽕들이 불판을 지배한다느니 하는 볼썽사나운 댓글들도 있어서 보기가 그랬습니다. 여기가 무슨 갬빗 당사도 아니고, 그냥 좋아하는 팀 응원만 하면 되지 참.. 롤드컵 때부터 해외뽕vs국뽕의 잔혹사는 끊이질 않네요.
dude
14/03/16 05:46
M5 크트비 정말 둘다 매력적인팀이에요 ㅠㅠ
국제대회 더 많아졌음 좋겠네요
트윈스
14/03/16 05:48
iem월챔,롤스타전,롤드컵까지 한국이 우승했는데 한국이 최고가 아니라고 하는것도 좀 우습죠.
키토
14/03/16 05:49
1경기보다가 잤는데 1경기 마지막에 일어났고... 2경기 끝까지 다봤드만 잠이 날라가서 난리났네요... 일요일이라 다행이다..
Lunpis
14/03/16 05:49
크크크크크크크크
KinSSang
14/03/16 05:52
크크크 그분닉네임외워뒀습니다 내일 실컷 약올려야죠
향냄새
14/03/16 05:53
크크크 카토비체의 기억이 너무 깊었는지 그거 말고는 다른 iem은 한국팀이 우승했었군요.

롤드컵은 skk가 너무 강해서
쿨럭
14/03/16 05:55
해설자 라임이 죽여주네요..

캔유빌리빗..케이티불렛..몇번을 외치는지 크크
이지스
14/03/16 05:58
WCG 블레이즈 금메달(vsOMG)도 있었죠. 확실히 현 시점에서 롤챔스가 세계에서 가장 치열하고 수준높은 리그인 건 사실 같습니다.
트윈스
14/03/16 05:58
mlg도 있고 인천 아시아 경기대회도 있고 wcg도 한국팀이 우승했죠 ..
시즌3부터는 타대륙이랑 격차가 현저하게 많이납니다.
이지스
14/03/16 06:00
진짜 잠이 확 달아나서 이거 참..
향냄새
14/03/16 06:01
오 보니까 생각보다 많이 이겼네요? 카토비체랑 오존 진것만 기억하는걸 보니 해외뽕이었는듯 하네요.
Dixit
14/03/16 06:18
크크 근데 타워는 애니가 다 맞은게 함정...
엘에스디
14/03/16 07:46
아 자고 일어났더니 C9이 발렸네요 =_=......
프나틱 네 이놈들 흑흑 ㅠㅜ
[LOL] IEM 8 : World Championship, 3일차 #8
PGR21 불판창입니다.
불판에 입력하는 내용은 전부 게시물에 기록되며
기존 피지알 댓글과 동일하게 취급하므로 매너있는 불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트위치 채널이름", "!유튜브 비디오ID" "!아프리카 채널명" 입력시 방송과 불판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