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rk
15/03/15 00:03
진에어는 미드문제가 크죠
다레니안
15/03/15 00:03
원딜들은 다 그렇습니다.
레이븐은 결국 자살전차로 끝났고
미스틱은 미소년원딜로 끝났으며
리리스는 패드리프트로 끝났습니다
믿고 꾸준히 기용해보느냐, 갈아치우느냐의 싸움인데 제 기억에 데프트 말고는 뒤늦게 포텐 터진 원딜은 없었습니다.
초반에 안터지면 그게 끝인것 같아요.
다빈치
15/03/15 00:04
픽밴만 봐선 TSM은 요이전 준비를 많이 안해온듯 하네요.. 스테이크 선수가 윅드선수급 이렐장인인데 어떨지..
뉴욕커다
15/03/15 00:04
비슷한 실력에서는 메타와 메타와의 충돌이 성립되지만
애초에 11위와 국내 10승0패인 팀과의 대결에서는 실력차이가 크기 때문에 메타와 메타와의 격돌로 볼 수가 없는거지요.
챌린저와 플래티넘의 경기에서 플래티넘이 뭘해도 이길 수 없는 것처럼 메타전에 실력차이가 가장 중요합니다.
Admiral
15/03/15 00:04
전 시비르로 적팀 바론 먹는 거 혼자 저지하고 슈퍼캐리 했었던 그 경기 밖에 생각이 안 나네요.
물만난고기
15/03/15 00:04
ge는 잘 대처하겠죠. 딱히 여기서 ge 이야기가 왜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에바 그린
15/03/15 00:04
끼 라는 표현 참 좋네요. 크크크 앞에 한 글자 붙이면 딱 제 스타일.. 똘...
Vesta
15/03/15 00:04
TSM을 보면 오히려 운영면에서는 가장 한국 수준에 근접할 수 있는게 북미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북미가 한국롤을 가장 적극적으로 벤치마크 하기도 하고... 하지만 시야장악부터 오브젝트 컨트롤 면에서는 여전히 많이 미숙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짜임새가 그렇게 견고하지 못해요.
legend
15/03/15 00:05
전형적인 한국식 똑똑하고 효율적인 픽밴의 TSM.
닥치고 패기! 드루와드루와 쌈박질의 Yoe.

여기서 TSM이 지면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것이 언제나 좋은건 아닌 사례로 남겠군요.
세인
15/03/15 00:05
진짜 TSM이 서양 롤의 최후의 보루입니다...
하하맨
15/03/15 00:05
데프트는 등장 초반부터 이즈리얼로 나름 핫하지 않았나요?..
Vesta
15/03/15 00:06
김동준 해설 뼈있는 한마디. "CJ가 떨어져도 이상하진 않은데..."
서리태
15/03/15 00:06
크리의 신이 강림했죠 크크
키토
15/03/15 00:06
로코도코가 트윗으로 SK전 준비 많이 했다고...
Vesta
15/03/15 00:06
TSM! TSM!
엔하위키
15/03/15 00:07
에구구 c9보다 더 까일 것 같다는 요지였는데 제가 표현을 잘못했네요흐흐;
무지방.우유
15/03/15 00:07
전 아무래도 스페이스-매라가 진짜 안 맞는 것 같은데
선수들은 무슨 생각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낀쉬의 케어를 받던 스페이스는 절대 이런 선수가 아니었던 것 같은데-_-
kimbilly
15/03/15 00:08
불판 변경 합니다.
키토
15/03/15 00:08
이거 거의 탑 다이브 100프론디... 는 일단 목숨 부지는 했네요..
pprk
15/03/15 00:09
대만팀 탑 잘하네요
어제의눈물
15/03/15 00:09
강팀의 조건은 실수를 줄이는 것에 있습니다.
CJ나 WE가 강팀이 되려면 모두 실수를 줄이는 것이 우선이 되야겠지요.
다만 실수를 전혀 하지 않는다면 WE는 미래가 없는 운영입니다.

선수가 많이 바뀐 WE가 해낸 운영은 바꿔 말하면 그만큼 실현하기 쉬운 프로 레벨에선 간단한 운영입니다
본인들만 완변하게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 실수를 바라는 운영인데 이런 운영은 승률이 좋을 수가 없어요.
왜 GE와 SKT가 승률이나 선수들 개개인의 실력 이전에 운영으로 전문가들에게서 높은 평가를 받는지 생각해보면
높은 수준의 운영을 할 수 있어야 강팀이고 그것이 모든 팀이 목표로해야 할 길이라고 봅니다.

중국리그나 WE를 무시한다기 보단 그들이 쓰는 운영이 높게 평가 받지 못하는지 말하고 싶었습니다.
Nini
15/03/15 00:10
이렐을 아래로 보내다니 잔인한 놈들 ㅠㅜ
다레니안
15/03/15 00:10
시즌3 배틀로얄 데뷔전은 핫했으나 그 이후 팀의 암흑기(?)등에 겹쳐서 빛을 못보면서 본인도 좀 하락세였죠.
그러다가 14년 스프링시즌 다데가 합류하고 본인의 포텐도 터지면서 세체원이 되었습니다
세인
15/03/15 00:10
윅드급 이렐 장인이랍니다...
무지방.우유
15/03/15 00:11
2013은 SKT가, 2014는 삼화가 압도적인 포스를 자랑해서 다른 한국팀들이 국뽕에 탑승해서 그렇지
그 밑에 팀들 중에 우승을 장담할 수 있던 팀은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Tad
15/03/15 00:11
이번시즌 리그에서 무난하게 잘해준건 맞습니다.
뭐 선수를 갈아치우라느니 그런 이야기는 아닙니다.
John Swain
15/03/15 00:13
2선승이용
딴딴
15/03/15 00:21
WE를 그냥 우르르 메타라고 단순하게 생각하면 안됍니다.

우르르 몰려다닌다고 레벨링이 낮다고 김동준 해설위원이 말씀하셨는데 투텔포를 이용해서 레벨링의 임계점을 계속 유지하였죠.

사실 탑이 1.5레벨, 원딜이 0.5레벨 밀렸을뿐, 정글,미드는 레벨차이가 없었습니다. 서포터는 오히려 1레벨 높았죠.

어차피 한타, 즉 주요 오브젝트 있을때만 레벨이 같으면 되요. 15.9레벨이든 15레벨이든 똑같이 2랩 궁극기 가진 15랩 챔피언일 뿐이거든요.

게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경험치 요구량이 많아져 레벨 격차가 상쇄돼죠.

용, 바론 없어지고 바로 우르르 몰려서 끊어 먹어서 이득 취하고 타워 밀면 되고, 용, 바론 나오기 3분전부터 레벨업 부족한 챔피언에게 경험치

몰아줘서 레벨 격차 없애주면 되요.

타워철거메타가 레벨링 메타에 약했던건 극 초반 레벨링 구간에 경험치 요구량이 적어서 2~3랩 차이가 나는데, 게다가 시즌4까진 레벨업 성장치가 전 구간 동일해서 레벨링 앞에 무너질 수 밖에 없었죠.

그러나 WE 우르르 메타(가칭)는 극 초반 레벨링을 멈추는게 아니라 중반 텔포를 이용하여 뭉치는 것이라 극 초반에 비해 레벨의 중요성이 떨어지기도 하고, 게다가 레벨업 성장치 & 경험치 패치가 되엇 예전과 같은 레벨링 앞에 장사 없는게 아니죠. 타워 철거 메타랑은 달라요.

그러나 오브젝트에서 대치국면이 장기화 되는것을 원친 않는데, 그러면 또 다시 레벨 격차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15.9레벨이 16레벨 되거든요.

그래서 모였어? 싸워! 처럼 보이는 겁니다. 사실 WE에겐 싸울 시간이 그때뿐이거든요.

또한 투텔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는 1텔을 타이밍으로 무력화 시키겠다는 의도입니다. 미드 21/0/9가 텔포를 듬으로써 텔레포트 쿨다운이 30초 줄어듭니다. 그래서 첫 교전에서 양팀 텔포가 활용이 되었더라도 다이애나의 쿨이 먼저 돌아와서 선공권을 가지게 되죠. 당연히 WE가 틀어쥔 패이므로 쓰는게 당연하죠. 30초 안에 안쓰면 없어지는 패인걸요.

또한 탑 또한 헤카림, 사이온 같이 기동성 좋은 캐릭을 뽑아 필요하면 탑에서 바텀까지 빨리 달려올 수 있는 챔피언을 해요. 이 역시 양팀 텔포가 없을때 선공권을 틀어쥐게 하는 요소죠.

마지막으로 WE에서 텔포 1개만 빠지면 당연히 그 다음 교전 선공권이 생기죠.

그래서 일단 자신들에게 유리한 패를 빨리 빨리 소모시켜서 이득을 더 보려고 하는것에 불과합니다. 우르르 몰려서 하나 끊겠다, 이런게 아니에요. 매복해서 하나 끊는게 아니라 사실 레벨링 뒤쳐지지도 않습니다.
물만난고기
15/03/15 00:38
메타적인 면에서 cj의 안정적인 조합이 좀더 우위에 있는게 맞습니다.
그러나 언제나 그것을 구현해나가는 것은 입이나 말이 아니라 선수들의 손입니다.
해당 메타가 아무리 좋더라도 선수들에게 맞지 않는다면 차라리 않하느니 못하겠죠.
결국 다양한 전술과 포맷이 나오는 이유는 사람이 하기 때문이라는 측면도 존재하죠.
we는 이유가 뭐가 되었든 오늘 경기에서 자신들에게 잘 맞는 옷을 입고 나왔고 cj는 그렇지 못했다고 봐야겠죠.
누구에게 운영자체가 높게 평가받지 못하겠지만 오늘의 승자는 we고 전 이점을 높게 평가하고 싶네요.
luvsic
15/03/15 00:45
매라가 아예 지켜주질않던데요?
[LOL] IEM9 월드 챔피언십 2일차 - 8강 최종전 + 4강전 #3
PGR21 불판창입니다.
불판에 입력하는 내용은 전부 게시물에 기록되며
기존 피지알 댓글과 동일하게 취급하므로 매너있는 불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트위치 채널이름", "!유튜브 비디오ID" "!아프리카 채널명" 입력시 방송과 불판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