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7/02 21:41
불판 올리려고 했는데 먼저 올리셨네요.
장소 : 인천 삼산월드체육관 중계 : 정소림 캐스터, 이승원 해설, 박태민 해설 - 1세트 : 벨시르 잔재 - 2세트 : 돌개 바람 - 3세트 : 네오 플래닛 S
13/07/02 21:48
이게 녹화 중계라서 그냥 온게임넷 방송 일정에 맞춰서 이어질 예정이라서 언제 한다고는 이야기를 못하겠네요. 조금 기다리시면 될 듯합니다.
13/07/02 23:09
물론 기존의 아시안게임하고야 별개인건 당연히 알죠. 어쨌든 이것도 아시아평의회에서 주관하는 대회인데 결승전이 3전이라는건 좀 짧은것 같아서요.
13/07/02 23:12
다른종목하고 꼭 일치하라는 법은 없죠. 더군다나 스2는 타종목과는 다르게 경기시간이 짧죠. 롤 결승전이 3전이었으니까 스2결승을 5전으로 하면 좀 더 좋지않았을까 싶어요
13/07/02 23:16
그런부분도 아쉬운거죠. 제가 꼭 스2만 5전제로 하자는건 아닙니다. 철권도 3전제를 했는데 밑에 스카이92님 말씀처럼 너무 짧았죠..근데 왜 이렇게 딴지를 거시는지 모르겠네요..스2결승 5전제로 하자는게 그렇게 거슬리시나요?
13/07/02 23:19
대회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E스포츠만 있는 것도 아니고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을 겁니다. 당장 WCG만 하더라도 3전 2승제로 했고요. 그러니 별 문제가 아니라고 말씀드리는거고요.
그런데 이렇게 짜증을 내시면 뭐라 말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제가 하후돈님에게 넌 틀리고, 내가 옳다라고 말하기라도 했나요?
13/07/02 23:24
첫 댓글부터 제가 아시안게임과 이번 실내무도 아시안게임을 구분 못하는것처럼 말씀하신것도 의도하신건 아니겠지만 기분이 좋지는 않네요. 그리고 현실적인 어려움이 뭘까요? 삼산체육관에서 그 시간에 다른종목을 중계하는것도 아니구요..또한 WCG에서 3전제로 한거랑 이번대회랑 무슨 상관인가요? 거기서 3전제를 했다고해서 이번대회도 3전제로 해야되나요?
단지 저는 5전제였으면 좀더 좋지않았을까 바람을 썼던건데 멀 그렇게 반박을 하시는건지 이해가 잘 되지않네요. 저퀴님이 이번 실내무도아시안게임 관계자라도 되시나요?
13/07/02 23:27
댓글이 너무 공격적이시네요. 제가 강압적으로 이야기하지도 않았고, 반론을 내놓는 것이 그렇게 잘못된건가요? 제가 관계자라도 되느냐라고 말씀하시는거냐는 말씀은 좀 너무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신가요?
저도 하후돈님의 댓글이 별로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저는 이렇지 않겠느냐라고 말했지, 하후돈님의 의견이 틀렸다고 말한 적이 없습니다.
13/07/02 23:37
강압적으로 이야기 하지 않았다는건 본인 판단이시겠죠. 저한테는 '잘 알지도 못하면서 억지로 주장하지 마라.' 식의 댓글로 보였습니다. 물론 반론을 내놓을 수도 있죠. 그런데 5전제로 하자는게 반론을 내야 될 필요성이 있는건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더욱이 말씀하신 근거도 합리적이거나 타당성이 있어보이지도 않구요. 위에도 말씀드렸지만 솔직히 WCG 3전제 자체도 많이 아쉬울 뿐더러 WCG에서 3전제를 했다고 해서 이번 대회도 3전제를 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제가 느끼기에 마치 관계자가 저한테 해명하는 것처럼 보여서 그렇게 말씀드린 겁니다. 그 부분이 기분 나쁘셨다면 이점은 사과드리겠습니다.
13/07/02 23:10
실내무도아시아대회는 사실상 아시안게임의 프레대회입니다. 아시안게임에 공식종목으로 들어가지못한 종목의 아시안게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3/07/02 23:07
투니랜드 HD가 아닌 그냥 LIVE보려면 뭐 설치해야하나요?(크롬)
티빙으로 잘보다가 먹통되면서 가입하라고 뜨는데 가입하기 싫어서..;;
13/07/02 23:12
스타 2도 그렇지만 철권을 3전제로 하는건 진짜 아니었는데 ㅠㅠ 하다못해 국대선발전도 5전 3선승인데 본선 결승전은 3전제였다는것이 놀라웠던...
13/07/02 23:14
흠........ 편집해서 게임하는것만 보여줄 줄 알았는데...
그냥 시작부터 통으로 하려나보네요;; 중간중간에 광고도 나올거 같네요 ㅜㅠ
13/07/02 23:53
정명훈 선수는 오늘 자기가 준비한 게 완벽히 막히다보니 멘붕되서 더 경기력이 저하된 것처럼 느껴졌네요.
강현우 선수가 손바닥 위에 놓고 경기했다고 봐야죠..
13/07/02 23:51
스타리그 결승전급 경기였습니다.
이영호 토스전 후반전이 향상됐고 두번째 멀티에 미네랄 뒤쪽에 벙커하나만 나중에 건설하면 좋겠네요. 계속 견제당하는데~
13/07/02 23:53
두선수다 정말 굉장했습니다. 끊임없는 김유진의 광전사견제에 시달리면서도 이영호 선수가 결국 승리하네요. 암흑기사 나눠서 견제하는건 정말 그중에서도 일품이었네요.
13/07/02 23:54
스타2 관전자 모드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관전자가 팅겼을시 디스창만큼은 안떴으면 좋겠어요.
관전자 팅겼다고 대기창떠서 선수들 경기 흐름 끊기는 문제는 심각하다고 봐요. 그리고 관전자들이 경기에 중간 난입 가능하게끔 시스템도 바꿨으면 좋겠고요.
13/07/03 00:02
이영호 선수 계속 발전하는거 같지만 아직까지 부족하네요. 스2에선 배쨰는 방법이 무궁무진하거든요. 트리플했고 정찰까지 당했는데 김유진이 오냐하고 받아줄리가 없잖아요. 벙커짓기싫으면 정찰을 좀 했어야지..
13/07/03 00:05
이승현과의 처음 mlg에서 모든힘들 다해 2승후 패자조로 떨어뜨리고..
지옥에서 돌아온 이승현과 승부에서 귀신같이 4연패를 했던 모습이 오버랩됐네요.. 다음부터는 초반찌르기좀 염두를 해야될듯;
13/07/03 00:08
김유진 아직 안 죽었다는 걸 보여주는 경기였네요. 32강 때 정말 이상하리 만큼 못 했던 거지 원래 테란전도 수준급이었습니다.
가끔 져서 흠집은 났지만요.
13/07/03 00:09
이영호가 기싸움에서 밀렸네요 아까 장기전에서 자신감을
얻은것 보단 아직 좀 부족하다라는걸 더 느낀거 같습니다. 자신감을 얻었다면 또 똑같은 빌드로 출발했을거 같네요 그래도 기싸움에서 전략으로 우회한건 좋았는데 진짜 예전에 자주 지던 패턴으로 지네요 그렇게 배를 쨌으면 정찰이라도 좀 꼼꼼히 하던가 안전빵으로 3사령부는 안가던가;; 해설 말마따나 빌드빨로 이겨먹으려고 하니 이 사단이 나네요;;; 상대가 배째는데 그걸 알면 배 째지 안쨉니까;;; 처음 빌드싸움에서 이긴걸로 만족못하고 거기서 또... 아직 이영호는 토스전에 대한 공부가 더 필요합니다. 지금은 딱 A+급 입니다. 그래도 A급이었는데 한단계 더 성장한건 맞으니 다행이고 열심히 했으니 칭찬할만 합니다. 하지만 S급으로 성장해야만 리그를 지배할 수 있습니다. P.s 그리고 여전히 유령컨이 안좋네요 또 유령 없어도 항상 앞에 불곰 3기정도 자극제 쓰고 먼저 보내면서 고위기사 끊어주는 플레이 없이 그냥 폭풍 다 맞는거 보면;; 아직도 많이 불안합니다.
|
||||||||||

이영호 vs 김유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