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2/16 15:04
권지민선수가 SKT에 어울리는 선수일까 궁금했는데 경기 보고 나니까 SKT가 권지민선수에게 어울리는 팀이라 기쁘네요
더 강한 팀 상대로 검증될 필요가 있지만 첫경기 멋지게 치러낸 것에 대해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14/02/16 15:07
사실 쓰레쉬 못하는 서포터가 없죠.. 그냥 서포터 할라면 패시브처럼 장착해야하는게 쓰레쉬라고 생각해서...
이외 나머지 서포터들의 챔프폭과 그 숙련도가 M씨가문 서포터정도로 크느냐 아니냐의 차이인듯
14/02/16 15:08
쿠로가 정말정말 못했습니다. 일단 룰루가 직스 상대로 나쁘지도 않았는데 쫄아서 플라스크 간거 자체가 문제고 쫀건지 뭔지 너무 못하던데....
14/02/16 15:14
쿠로 선수가 처음 솔로킬 내주면서 경기를 말아먹었습니다
이러기형도 미드 룰루 설명하면서 6렙 전에 잡히지 않아야 좋다라고 항상 강조했는데 본인이 먼저 무리하면서 주도권을 내주다뇨-_-
14/02/16 15:29
SKS는 조합이 좀 스퀴시하네요 전체적인 짜임새는 IM 쪽이 안정적이고 SKS는 준비해온 뭔가가 있기를 바랍니다 일단 야스오가 궁 쓸 거리는 많네요
14/02/16 15:30
카오스시절 마린선수가 저런 왕귀챔프에 상당히 능했다고 알고 있는데 오늘 제대로 좋은 모습 보여주길 바랍니다. 2832 이런 거 하지 말고...
14/02/16 15:31
익곰이 하는 것보니까 탑 야스오도 꽤 쓸만해 보이던데. 물론 그것은 솔랭이긴 했지만.. 초반에 레넥톤의 강한 압박만 잘 버티고 넘어가면서 스태틱까지만 뽑으면 라인 미는 것도 좋은 편이라서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마린은 카오스 때부터 손타는 챔프를 잘했다고 들었는데 요즘 그런 챔프의 전형이 야스오이니만큼 기대해보겠습니다.
14/02/16 15:33
박용욱 해설 왜 와드를 토템이라고 하죠.....? 한번도 아니고 두번도 아니고 세번째 듣네요...... 아니 네번째 나오네 이건 아예 모르는건가;;;
14/02/16 15:36
실제로 박는 건 와드잖아요. 토템이 사라지는 타이밍~ 뭐 이런식으로 말하는 걸 보니 그걸 착각한 것도 아닌듯 싶구요. 그냥 와드 명칭을 모르나본데요..
14/02/16 15:41
그냥 솔랭하다 보면 토템이라고 많이들 말하지 않나요?
물론 한섭 생긴 이후 나온 용어긴 하지만, 보호막을 배리어 또는 실드라고 말하는 케이스도 많은 거랑 비슷한 맥락이 아닐지..
14/02/16 15:40
시즌 1부터 게임을 했지만 트린다미어와 트리스타나 이름을 정확히 모르고 계속 말하던 프로 선수도 있었는데
그냥 그 말에 익숙해서 그런거지 그 정도는 자기가 인식하면 고칠 수 있는거죠. NLB였나 마스터스였나 얼마 전에도 다른 해설이 최후의 속삭임 이름도 기억못한 적도 있는데요 뭘. 6개월 동안 준비하면서 솔랭 다이아도 찍었는데..
14/02/16 16:20
아래 다른분들이 설명해주셨는데, 그렇다 한들 토템와드가 맞는 표현이죠. 시야석으로 와드를 박는다고 시야석을 박았다고 하진 않잖아요. 뭐 나름의 새로운 명칭일 수도 있겠네요. 근데 밑도끝도없이 저런 표현을 쓰니까 어이가 없었습니다. 뭐.. 정말 박용욱 해설 의도가 그러했다면 용어 사용 전에 미리 한번씩 정리하고 갔으면 좋겠네요.
14/02/16 15:41
정글 설명하면서 와드 설치 얘기할땐 제대로 와드라고 하는거 보면 초반에 와드 안사고 토템 사용하는거와 나름 구분하기 위해서 표현을 고른거 같은데요
14/02/16 15:44
그런식으로 시비거시는 태도가 더 나쁘네요.
제가 박용욱 해설에게 트집잡아서 뭔 이득이 있겠습니까. 이상한 발언을 반복하니까 어처구니 없어서 그런거죠.
14/02/16 15:45
그냥 와드는 와드라고 하고 와드 토템으로 박은 와드는 자기 나름대로 구분하려고 토템이라고 말하는 것 같은데
그게 그렇게 계속해서 지적하고 준비를 했네 못했네 할정도로 함량미달의 해설인가요? 오히려 그것 하나 가지고 6개월 동안 뭘한건지 모르겠네 뭐네 하는 것이 훨씬 질 나쁜 행동이라고 보이네요.
14/02/16 15:49
제가 언제 해설 함량 미달이라고 뭐라고 했습니까? 그냥 와드가 기본인 게임인데 명칭을 묘하게 부르니 지적하는거죠. 나름의 명칭이라기엔 제가 롤 방송 시작할 때부터 봐왔지만 아예 처음 듣는 표현인데요. 기존에 쓰이던 말들이 있는데 자기 나름대로의 명칭을 쓰면 혼동되잖습니까.
그리고 지금 뭔가 제가 박용욱 못까서 안달이라는 식으로 몰아붙이려고 하시는 태도가 비쳐서 굉장히 기분나쁜데요. 전 프로토스 팬이었고 그 중에도 강민/박용욱의 전성기를 정말 좋아했기에 해설자로써의 길도 잘 풀렸으면 좋겠습니다. 근데 그런 식으로 매도하시는 건 뭔가요 대체.
14/02/16 15:52
그래서 그 명칭 하나로 6개월동안 뭘한 건지 모르겠다는 말까지 나오나요?
명칭 하나 자기 마음에 안들게 사용했다고 6개월 동안 뭘한건지 모르겠다는 소리를 하는게 정상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데요.
14/02/16 15:59
6개월간 준비했다는데 아리송한 명칭을 쓰면 당연히 의아해할 수도 있는거죠. 제가 언제 그 6개월의 시간을 전부 부정했습니까? 해설 못한다고 시비걸기라도 했습니까? 지금 확대해석하는게 누군데요.
14/02/16 15:42
크게 상관 없는 거 같은데..
1분 와드라고 구별하기보단 전 토템이라고 해주길래 별 차이 없이 받아들였습니다. 빨간색은 렌즈고 파란색은 구슬이라 같은 토템도 아니구요.
14/02/16 15:45
흠.. 그런데 또 나중에는 그냥 와드라고 표현을 하거든요. 나름 구분하는 방편인건가... 지금 채팅하느라 다른 와드 박을 때의 호칭과 비교를 잘 못했는데 다시보기로 한번더 보긴 해야겠네요.
14/02/16 15:44
토템으로 박는와드와
시야석 혹은 일반와드랑은 종류가 다르니까요. 토템이 사라지면.. 이런 말이 그렇게 무리있는 해설은 아닌거 같은데요.
14/02/16 15:46
논쟁이 벌어질 정도의 실수는 아닌 것 같네요. 단지 평소에 다른 해설이 쓰는 표현이 아니라서 적절하지 않은 표현 같다는 지적 정도겠죠.
14/02/16 15:47
저도 무리까지는 아닌 것 같고, 대부분이 이해할 표현이라고는 생각하지만
그래도 토템와드, 혹은 1분와드가 좋다고 생각하고 오히려 일반 와드와 비교 목적이라면 [1분와드]가 제일 좋지 않나 싶어요
14/02/16 15:51
흠.. 구분하기 위해 다른 명칭을 썼다고 볼 수도 있겠죠... 근데 아직 널리 쓰이는 합의된 명칭도 아닌데 설명도 없이 자신만의 용어를 쓰는건 별로지 않나 합니다. 클템이 뭔가 드립을 칠 땐 꼭 밑밥을 깔잖아요. 오대식 같은 경우도 미리 설명하고 개그코드로 활용하니 이제 거의 뭐 공식약어가 되어버렸지요.
14/02/16 15:53
저도 말하기 좀 조심스럽긴 한데, 자신만의 용어는 아닌 것 같아요. 앞서도 댓글 달았지만 솔랭에서 장신구 와드의 경우 토템 좀 박아달라, 토템 박힘이라고 하는 경우도 많거든요.
14/02/16 15:53
SKS 입장에서 시간끌어서 오리아나 야스오 키우는 플레이 좋다고 생각하는데 디테일이 아쉽네요. 약간 안 줘도 될 이득을 주는 느낌입니다
14/02/16 16:05
SK 조합이 정말 기회가 많아서 한타를 할 수록 괜찮아 보이네요.
자이라 궁 오리아나 궁 리신 궁에 야스오 자체 에어본까지 더해서 야스오의 궁을 사용할 기회가 있으니.. 물론 제일은 대박으로 들어간 오리아나 궁과 연계되는 것이겠죠.
14/02/16 16:07
뒤쪽에 와딩을 해놓고 들어오면 딜중지를 하던지 한타를 열던지 해야되는데 어설프게 먹다가 망하는 전형적인 시나리오네요 크크크
14/02/16 16:10
이거 무슨 송양지인인가요 크크크 타워를 끼고 싸우면 정정당당하지 못하니 타워와 억제기를 내주고 싸우겠다....크크크 미쳐버리겠네 정말
14/02/16 16:11
야스오 리신 듀오가 케이틀린 마크하면서 찌잌....
이번경기도 미드킹 이야기가 안나올수 없는게 룰루가 절대 6렙이후 라인전이 약한게 아닌데 cs를 상대 라이너보다 100개이상 못먹으면 뭘 어떻게 할수가 없죠. 이득을 굴릴 타이밍에 주력딜러중에 한명이 딜이 안나오면....
14/02/16 16:17
S팀이 초반라인전에서 전체적으로 불리한 조합이었는데 결국 잘버텨서 역전해내는거 보고 놀랐네요.
픽이 반대로 바꼈다면 그냥 초중반에 S가 압살했을 확률이 높았을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