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4/02/21 17:28:12
Name 저퀴
Subject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S, 32강 F조

* 오후 6시 시작
* 2승 시 16강 진출 & 2패 시 차기 Code A 강등 (3전 2승제 더블 앨리미네이션)


[오늘의 경기]

테란조성주 vs 김도우플토 - 폴라 나이트
저그강동현 vs 신동원저그 - 다이달로스 요충지
승자전&패자전 - 해비테이션 스테이션 / 최종전 - 연수

사용 맵 : 헤비 레인, 비테이션 스테이션, 다이달로스 요충지, 알터짐 요새, 프로스트, 연수, 폴라 나이트


[중계 플랫폼]





불판창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2/21 17:38
수정 아이콘
강동현이 진출했으면 좋겠네요. 여기서 이겨야 팀을 찾을텐데
쌀스틱
14/02/21 17:40
수정 아이콘
강동현 조성주가 올라갔으면 좋겠네요
anic4685
14/02/21 18:00
수정 아이콘
회식이라 못봐 ㅠㅠ
지나가다...
14/02/21 18:02
수정 아이콘
아.. 저 종족 비율 어쩔...
어쨌든 오늘 최소한 테란이나 저그 중 하나는 올라가는군요. 문제는 프로토스가 하나 더 올라갈 것인가네요.
14/02/21 18:04
수정 아이콘
강동현선수 배고픔의 위력을!!
가루맨
14/02/21 18:12
수정 아이콘
신동원, 강동현 둘 다 좋아하는 저그인데, 한 선수는 떨어지기를 바래야 하다니...
비상의꿈
14/02/21 18:18
수정 아이콘
고인규 해설이 아프리카에 개인방송 개설하고 GSL 해설 하고있네요
14/02/21 18:3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14/02/21 18:20
수정 아이콘
미국대장 빌드인가!
14/02/21 18:31
수정 아이콘
방금 낭비 수준의 폭풍과 함께, 교전 대패입니다.
쌀스틱
14/02/21 18:33
수정 아이콘
그래도 태란이 불리해보이네요
14/02/21 18:34
수정 아이콘
중간부터 봐서 상황을 몰랐네요. 이 정도면 저거 줘도 이기기 힘들어보이네요.
쌀스틱
14/02/21 18:34
수정 아이콘
아예 밀당을 하면 안되네요 밀당을 해서 토스가 포풍 한 8~9방 허공에 써도 태란이 불리합니다
천사소녀네티
14/02/21 18:35
수정 아이콘
진짜 토스가 너무 세네요 테란이 이렇게 해도 지다니..
14/02/21 18:35
수정 아이콘
조성주는 갈수록 인간성능에 기대는 면이 부각되는군요
루스터스
14/02/21 18:35
수정 아이콘
스타2는 플토해라 인가요.
김도우 선수 진짜 대단합니다. 종변이 절대 쉬운게 아닌데 잘 적응했네요.
삼겹돌이
14/02/21 18:36
수정 아이콘
대박이네요 유튜브 tv에서 재생이 되네요
원래 유튜브 실시간이 tv에서 재생이 안되던데요
gsl은 tv로 재생이 되네요 정말 좋네요
14/02/21 18:36
수정 아이콘
맨날 제가 지는 시나리오 -_-;;
연결체 날리고 병력도 살아왔는데 지면 어떻게해야되나
14/02/21 18:37
수정 아이콘
최성훈 선수처럼 3멀정도에 행성요새 짓고 막으면서 해야...
14/02/21 18:37
수정 아이콘
컨트롤 싸움을 걸어도, 훨씬 정교한 컨트롤을 해도 이득보기가 힘드네요. 밸런스 진짜.......
14/02/21 18:37
수정 아이콘
와.. 33업 질럿 뭘로 잡아야 되나요?
14/02/21 18:37
수정 아이콘
조성주는 견제는 좋았는데 너무 거기에만 집중한 느낌이네요
얼마전 IEM 최성훈과 비교해보자면 멀티가 좀 많이 늦습니다 (트리플이나 4번째)
쌀스틱
14/02/21 18:38
수정 아이콘
최성훈 선수가 대 토스전에서 얼마나 강했는지를 보여주는 한판이었네요
14/02/21 18:39
수정 아이콘
최성훈은 멀티를 더 빨리 먹은 상태로 조성주와 같이 사방을 흔들었죠
킹이바
14/02/21 18:39
수정 아이콘
전투를 비슷하게 해주면 못이기네요. 압승을 해야....
비상의꿈
14/02/21 18:40
수정 아이콘
조성주 선수가 멀텟 컨트롤은 정말 좋았는데 거기에 집중하다보니 멀티가 좀 늦어서 뒷심에서 밀렸다고 생각됩니다.
김도우 선수가 3멀티도 빨랐고 견제에 대한 대응도 정말 단단하고 좋았죠
루스터스
14/02/21 18:40
수정 아이콘
지금 16강에 테란 한명 맞죠?
지나가다...
14/02/21 18:41
수정 아이콘
네. 테란 한 명, 저그 두 명입니다.
쌀스틱
14/02/21 18:41
수정 아이콘
프프전 줄창볼거 같은기분이드네요
비상의꿈
14/02/21 18:41
수정 아이콘
조성주 선수가 진출한다면 16강 2테란 탈락하면 1테란으로 끝납니다.
루스터스
14/02/21 18:4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근데 정우용 선수 경기력 자체는 그렇게 좋아 보이지가 않아서 조성주 선수 안올라가면 테란 8강은 힘들것도 같네요.
가루맨
14/02/21 18:45
수정 아이콘
2세트는 조성주 선수의 분위기가 괜찮네요.
The Pooh
14/02/21 18:46
수정 아이콘
아무리 마인이 하향됬다지만 이용하면 방어하는데 꽤 쓸모 있을것 같은데 안쓰네요;;
14/02/21 18:48
수정 아이콘
천공 발톱 연구 안 하면 방어용으로도 못 쓰기 힘듭니다.
14/02/21 18:47
수정 아이콘
언덕역장 진짜...
루스터스
14/02/21 18:47
수정 아이콘
방금 김도우 선수 대박이네요.
가루맨
14/02/21 18:47
수정 아이콘
경기가 또 순식간에 역전되네요...
루스터스
14/02/21 18:48
수정 아이콘
플토가 이정도로 잘하면 조성주 선수도 힘드네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18:48
수정 아이콘
최성훈 선수 플레이가 좋았던 것도 있겠지만 김도우 선수 경기력도 더 좋아보이네요.
가루맨
14/02/21 18:48
수정 아이콘
최성훈은 대체 어떻게 준우승을 한 거죠?;;
14/02/21 18:51
수정 아이콘
게임게시판에 분석글이 있습니다
정말 많은 준비를 해왔더군요
조성주는 너무 자신의 컨트롤을 과신하는 것 같네요
가루맨
14/02/21 18:54
수정 아이콘
그 글은 저도 봤습니다만, 조성주가 이 정도로 털리는 걸 보니 최성훈이 정말 놀랍다는 생각이 한 번 더 들었네요.
비상의꿈
14/02/21 18:49
수정 아이콘
김도우 선수 오늘 경기력 정말 좋네요;;;
환상거신 시야확보는 뭡니까 후덜덜;;;
지나가다...
14/02/21 18:49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가 세기도 하지만 김도우 선수가 진짜 잘하네요.
14/02/21 18:49
수정 아이콘
테란을 우걱우걱 찝어먹네요...
쌀스틱
14/02/21 18:49
수정 아이콘
끝났네요 토스가 승자전 올라가는 것 같습니다.
쌀스틱
14/02/21 18:50
수정 아이콘
어떤 방법을 써야 태란이 토스를 이길 수 있을까요? 초 중 후반 그 어떤 타이밍에도 상대가 안됩니다.
14/02/21 18:50
수정 아이콘
고인규 해설 방에 들어와 있는데 고인규 해설도 잘 짚어주네요
조성주가 너무 자원 짜내기로 병력 위주 플레이를 하는데 이게 막히면 좀 뒤가 없어지는 것 같습니다.
같은 5병영이라도 최성훈은 3번째 커멘드 올라간 이후였는데 조성주는 그러지 못했죠
샤르미에티미
14/02/21 18:50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조성주 선수는 승자전에 가서도 저그전 해야 했지만 김도우 선수 오늘 경기력이면 저그전 두 번 이기고
올라가야 할 텐데 가능할런지요; 저그전은 요즘 잘하는 테란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인데요.
삼겹돌이
14/02/21 18:50
수정 아이콘
평균적으로 최성훈이 상대한 플토랑
조성주가 상대한 플토를 같은선에 놓고 비교하기는 좀....
14/02/21 18:51
수정 아이콘
같은 김도우와 정윤종, 송현덕을 상대했는데...
14/02/21 18:52
수정 아이콘
김도우 정윤종 3:2격파하고 송현덕 상대로도 접전을 펼쳤습니다
삼겹돌이
14/02/21 18:55
수정 아이콘
네 최근에 무슨 대회를 했는가 보군요
14/02/21 18:56
수정 아이콘
옙 IEM 준우승 했습니다
azurespace
14/02/21 18:55
수정 아이콘
잘 모르시면..
삼겹돌이
14/02/21 18:58
수정 아이콘
네 가만히 있어야죠
가루맨
14/02/21 18:52
수정 아이콘
이 상황에서 이 정도 싸우는 조성주가 대단해 보이네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18:54
수정 아이콘
최성훈 선수 이야기 계속 나올 수밖에 없는데 김도우 선수가 그때 패배를 맛 보고 운영이 더 좋아졌을 수도 있고
최성훈 선수가 김도우 선수에게 이렇게 2:0으로 진다고 해도 놀라운 일은 아니죠...테란이 힘들긴 힘듭니다.
14/02/21 18:56
수정 아이콘
확실히 김도우 선수가 더 발전한 것이 느껴집니다.
IEM 에서는 모점추가 완벽하게 막혔는데
오늘은 점추를 적당히 보여주거나 더 유연하게 활용하면서 초반 이득을 잘 챙기는 느낌입니다.
샤르미에티미
14/02/21 18:58
수정 아이콘
좀 놀라운 경기력이었네요. 최성훈 선수하고 경기한 것 딱 빼놓고 보면 예전 백동준 선수 그 이상의 경기력이죠.
14/02/21 19:22
수정 아이콘
예전 백동준은 교전이 완벽해서 그 이상이라고 하긴 아직 이른거같네요
아이지스
14/02/21 18:54
수정 아이콘
이러다가 천공 발톱 업그레이드 없애는 건 아닌건지...
14/02/21 18:54
수정 아이콘
32강도 안보려다 조성주선수 나와서 봤는데, 이번 시즌은 그냥 건너뛰어야겠네요. 재밌으려고 보는건데 짜증만 납니다. 지금 테란 대 토스 밸런스는 워3 오언전에 비할 수준인것 같습니다.
azurespace
14/02/21 18:57
수정 아이콘
오언전도 승률이 한자리 나오냐 마냐 정도는 아니었지 않은지
14/02/21 18:54
수정 아이콘
이 상황에서 이 정도 싸우는 조성주가 대단해 보이네요. (2)
14/02/21 18:56
수정 아이콘
최성훈식 운영이고 뭐고 조성주가 멀티를 할 수 있는 시간을 주지를 않네요..
김도우 선수가 최성훈 선수와의 경기를 통해 프로토스의 운영법에 대한 어떤 해답을 얻은거 같습니다.
초반에 찌르기 막기에 강해지다 보니 그게 고스란히 자원의 이득으로 가는거 같네요..
쌈등마잉
14/02/21 18:59
수정 아이콘
테란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 갈 각성이 필요할 것 같아요. 그게 가능할지, 어떨지.
비상의꿈
14/02/21 18:59
수정 아이콘
환상 거신으로 시야 확보하는 플레이는 미리 연습이 되어있던 걸까요? 그 순간에 저런 판단을 하다니...;;
삼겹돌이
14/02/21 19:02
수정 아이콘
테란상대로 앞마당에서 싸우다보면 시야가 항상 걸리적거리죠
평소 생각을 했던 연습에서는 많이 사용했을듯하네요
검은별
14/02/21 19:01
수정 아이콘
조성주 선수도 잘 싸우기는 했지만 전 김도우 선수의 센스가 더 눈에 들어오네요.
언덕 시야 이용하여 대기하여 공격, 순간 환상 거신 소환으로 연덕에 폭풍, 유리해도 계속되는 상대 일꾼 견제
말로는 쉬워도 실전에서 사용하는 건 어려우니까요.

물론 지금 밸러스 때문에 테란이 불쌍해 보이긴 하지만..ㅠㅠ
카페르나
14/02/21 19:04
수정 아이콘
겜게에서도 나왔듯이 최성훈은 뛰어난 실력 외에도 새로운 운영방식이나 패러다임을 사용해서 승리한 것도 있고, 그 무대가 해외대회라는 본인이 좀 더 경험 많은 무대에서의 승부기도 했죠. 국내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선수와 달리 분석도 덜 된 편이고...
더구나 그런 최성훈을 상대로 예방주사 거하게 맞은 김도우와 정윤종이 서로 그러한 플레이에 대한 대책을 연구 안했을리도 없고... 조성주로는 김도우를 다시 만나더라도 피곤한 승부가 될 것 같습니다. 그래도 조성주 선수는 이기지 않을까 싶었는데......
샤르미에티미
14/02/21 19:05
수정 아이콘
분석이라 하기도 뭐하지만 조성주 선수는 맞불 놓으면서 컨트롤도 비등비등한 선수 상대로는 종족 불문하고
생각보다 힘을 발휘 못 하는 경우가 있더군요. 그래봤자 몇 명 되지는 않지만 조성주 선수도 운영을 더 갈고
닦아야 할 것 같네요.
카페르나
14/02/21 19:07
수정 아이콘
이 말에 동감하게 되는게 예전부터 조성주 vs 백동준에서 백동준이 우위를 점하는게 컨트롤 적인 부분에서 절대 말리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킹이바
14/02/21 19:10
수정 아이콘
뭐 조성주가 아니더라도 지금 토스 상대로 운영싸움을 자신있게 할 수 있는 선수가 거의 없죠.... 비단 조성주만의 문제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Scarecrow
14/02/21 19:07
수정 아이콘
홈그라운드 버프 크크 심판 버프래 크크크
킹이바
14/02/21 19:07
수정 아이콘
애초에 테란이 운영싸움.. 중장기전으로 갔을때 토스를 이기기 너무 힘들다보니.. 조성주같은 전투형. 짜내기식과 소규모 컨트롤싸움을 꾸준히 유도하는 선수에게 기대했건만. 역시나 토스가 컨이 받쳐주면 그마저도 힘드네요.
14/02/21 19:08
수정 아이콘
이번주내로 패치한다던건 왜 무소식인가요? 지금 테스트중인가요?
14/02/21 19:09
수정 아이콘
당연히 패치는 WCS 기준으로 맞춰줘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 WCS 프리미어/Code S 32강이 끝나야 적용할 수 있겠죠.
azurespace
14/02/21 19:11
수정 아이콘
어차피 토스는 테란이 뭘 할지 알면 그거에 대응되는 유닛을 뽑기만 하면 다 대처가 됩니다. 테크 선택이나, 최적화, 생산과 컨트롤이 모두 완벽해야 막을 수 있는 테란과는 대조적이죠.

최성훈도 힘겹게 힘겹게 3대 2로 이기고 올라갔던 거고, 이미 다 알려진 지금 다시 붙으면 이기기 힘들 것으로 생각합니다
14/02/21 19:11
수정 아이콘
맹독충 낭비가 큰데;;;
비상의꿈
14/02/21 19:13
수정 아이콘
맹독충 너무 꼬라박는것 같은데요...
버들강아
14/02/21 19:15
수정 아이콘
누가 유리하나요??
카페르나
14/02/21 19:15
수정 아이콘
두 선수 정말 팽팽하면서도 재밌게 하네요!
14/02/21 19:21
수정 아이콘
강동현 드론이 두세기만 많았어도 이길수 있는건데. 지금은 애매하네요
14/02/21 19:23
수정 아이콘
경기를 날리는 실수. 1:1 나오네요
버들강아
14/02/21 19:23
수정 아이콘
헐.. 벌써 이세트까지 끝났나요...
14/02/21 19:27
수정 아이콘
강동현이 좀 더 부유하네요. 근데 UI 부대지정 다 보여줬었나......
14/02/21 19:28
수정 아이콘
강동현은 발업링 + 바퀴로 빠르게 찌르려하네요
14/02/21 19:29
수정 아이콘
강동현이 뚫는 그림이 상상되긴 하는데 신동원이 어떻게 막을런지
14/02/21 19:30
수정 아이콘
신동원이 이걸 막는그림?
샤르미에티미
14/02/21 19:31
수정 아이콘
신동원 선수 쫄깃하게 재밌게 막네요...
14/02/21 19:31
수정 아이콘
아니 신동원이 잘 막고 이걸 시원하게 던지네.
14/02/21 19:32
수정 아이콘
그래도 한번 던져도 티도 안날정도로 벌어져있었네요. 신동원 승자전 진출
14/02/21 19:33
수정 아이콘
강동현은 참 아쉽겠네요. 저글링 바퀴가 같이 건물을 때렸어야 하는건데 저글링이 일꾼잡으러 욕심내다가...
김태크
14/02/21 19:34
수정 아이콘
공격안들어 가고 운영했으면 이겼을것 같은데 경기 길어지면 신동원 답없는 스타일이라.. 안정적으로 운영하지 답답하네요.

조성주 독이 올라 잡기힘들텐데
14/02/21 19:36
수정 아이콘
조성주 우승의 제물이 되기도 했었죠... 그래도 토스보단 테란이 나을듯
샤르미에티미
14/02/21 19:36
수정 아이콘
저도 강동현 선수가 2멀티 빠르게 가져가면서 저글링으로 빨리 못 나오게 압박 주는 플레이하면서 운영으로 역전 노려보는 게
낫지 않았을까 싶긴 하네요. 될 사이즈가 아니었는데 초반 승부수가 아쉽게 막혀서인지 그냥 던졌어요.
14/02/21 19:41
수정 아이콘
이미 일꾼이 배 차이 이상 났기때문에 신동원이 거기서 유닛만 찍으면 끝납니다. 빨리 못 나오게 압박을 준다는게 불가능...
샤르미에티미
14/02/21 19:43
수정 아이콘
끝나고 말고를 떠나 강동현 선수는 그냥 던졌죠. 압박은 오래 주는 게 아니라 잠시 동안은 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신동원 선수가 바퀴 모아서 출발 할 때 뒤를 노려서 시간을 끄는 등 할 건 있었죠.
14/02/21 19:45
수정 아이콘
압박이라는게 성립이 안됩니다. 상대방이 자기 병력을 보고 긴장해야지 압박이 되는건데 쟤가 뭘 해도 내가 이긴다는걸 알면 그건 압박이 아니라 무시당하는거밖에 안되죠. 물론 뒤를 노리는 플레이가 가능했을지도 모르지만 전 병력으로 뒤를 노려봐야 신동원의 본진에서는 그 전 병력을 이길수 있는 병력이 한번에 생산될겁니다. 퍼져있는 대군주를 어찌 할 방법도 없구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19:48
수정 아이콘
그 정도 차이에서 운영을 해서 이겨보라는 게 아니라 해볼 건 해봤어야 한다는 거죠. 이런 상황에서
역전이 나오기도 하는데요.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14/02/21 19:51
수정 아이콘
강동현은 바퀴를 뽑았다가는 부화장의 라바도 다 쓰지 못할정도의 자원수급률이고, 결국 저글링밖에 없었습니다. 상대는 두배 이상의 일벌레를 가지고 있죠. 아마 최상의 시나리오로 저글링이 난입 성공, 여왕 잡고 일꾼 잡고 해도 그 사이에 펌핑해놓은 애벌레에서 강동현의 병력을 다 잡고도 남을 병력이 쏟아져나오고도 남습니다. 그러면 먼저 진출한 병력은 강동현의 본진을 끝장내겠죠. 역전이 나오기도 한다는 말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네요. 그냥 저기서 이성은 해설이나 황영재 해설이 잡아도 강동현이 GG쳐야할 수준입니다
샤르미에티미
14/02/21 19:52
수정 아이콘
말이 안 되는 게 일어나는 게 스타2 판인데요 뭐. 다른 게 아니라 그냥 저글링으로 던지고 gg치는게
후반 운영 도모해서 가능성 조금이라도 노리는 것보다 낫지 않잖아요. 그걸로 얘기 끝이죠.
14/02/21 19:54
수정 아이콘
신동원이 바보도 아니고, 일꾼 뽑고 있었다면 위로 올라온 병력으로 인해서 그냥 게임 끝났습니다. 과장 좀 보태자면 저기서 제가 잡아도 이기겠네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19:54
수정 아이콘
그래도 이기겠지만 가능성은 있겠죠.
검은별
14/02/21 19:37
수정 아이콘
신동원 선수가 과연 16강 진출을 할 수 있을지...
버들강아
14/02/21 19:51
수정 아이콘
신동원 잘하네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19:51
수정 아이콘
신동원 선수 초중반 운영은 역시 참 좋네요. 과연 중후반 운영을 보완했을지...
14/02/21 19:52
수정 아이콘
김도우 역장좋네요 근데 히드라가 짱이라
14/02/21 19:53
수정 아이콘
김도우 일꾼 많이 죽었네요 기지 두개도 못 돌릴 분량
14/02/21 19:54
수정 아이콘
신동원 군숙은 왜찍은거지...
버들강아
14/02/21 19:55
수정 아이콘
고인규해설, 개인방송은 곰티비한테 저작권 허락맡고 중계하는걸까요...?
저작권 걸릴수도있을텐데요..
14/02/21 19:56
수정 아이콘
원래 아프리카에 gsl 방들이 몇개씩 개설되는지라 큰 문제 없어보이네요
가루맨
14/02/21 19:56
수정 아이콘
신동원은 여전하네요...
14/02/21 19:56
수정 아이콘
군숙을 확 뽑던가 아니면 군숙을 걸렀어야 했습니다. 어설픈 선택이 최악의 결과를 만드네요
버들강아
14/02/21 19:56
수정 아이콘
김도우 1승.
샤르미에티미
14/02/21 19:56
수정 아이콘
신동원 선수 판을 그렇게 잘 짜놓고 또 밀리네요...
검은별
14/02/21 19:57
수정 아이콘
신동원 선수 김도우 선수의 꿀광 멀티 공격 후 추가로 히드라&바퀴가 아니라 군숙을 쫙 찍었어야 했는데요.
결국 어중간한 병력 조합 때문에 경기를 던지네요.
14/02/21 19:57
수정 아이콘
공3업 추적자 진짜 무섭네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19:57
수정 아이콘
김도우 선수 진출은 확정적이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가루맨
14/02/21 20:00
수정 아이콘
저그가 지면 어김 없이 등장하는 그 전장.. 다이달로스..
14/02/21 20:01
수정 아이콘
이젠 테란전에는 안고르더라구요. 메카닉이건 바이오닉이건 한번 밀리면 그냥 끝나서
샤르미에티미
14/02/21 20:03
수정 아이콘
스타1 땡히드라는 진짜...경기 10번 보면 7번은 뚫렸던 것 같은 체감이었습니다.
14/02/21 20:03
수정 아이콘
해설 특별전도 한번 기획해 보면 재밌겠네요, 해설 조와 캐스터 조로 나눠서? 중계는 선수들 특별출전하면 재미날듯
14/02/21 20:13
수정 아이콘
캐스터가 압도적으로 밀리죠... 현주누님이 아닌이상
지나가다...
14/02/21 20:04
수정 아이콘
환상 거신 정찰이라니.. 크크크
가루맨
14/02/21 20:04
수정 아이콘
환상 거신 정찰 크크크
14/02/21 20:12
수정 아이콘
신동원 방업을 왜 안하는지 궁금하네요. 타이밍 잡을것도 아닌데
지나가다...
14/02/21 20:13
수정 아이콘
왜 무리군주가 하필 거기서 변태를...
14/02/21 20:13
수정 아이콘
신동원 한방에 말아먹네요
버들강아
14/02/21 20:13
수정 아이콘
신동원 후반운영은................
샤르미에티미
14/02/21 20:13
수정 아이콘
신동원 선수 중후반은 진짜 안 풀리네요;;
가루맨
14/02/21 20:13
수정 아이콘
신동원 또 저러네요... 무리군주 변태 위치를 더 신경썼어야죠...
14/02/21 20:13
수정 아이콘
살살녹네요
14/02/21 20:14
수정 아이콘
11개를 한꺼번에;;;
검은별
14/02/21 20:14
수정 아이콘
아 신동원...
쌀스틱
14/02/21 20:14
수정 아이콘
역시 신동원 후반운영은 정말 못하네요
지나가다...
14/02/21 20:15
수정 아이콘
티원의 폭탄은 다음 타자에게로 넘어갔네요.
이제 문제는 오늘 나머지 한 장을 테란이 쥐느냐 저그가 쥐느냐입니다.
14/02/21 20:18
수정 아이콘
지금 박령우, 정경두 선수가 남았는데 올라갈 확률이 높아보이지는 흑흑.. 조구성이 만만치 않네요. 사실 코드A에서 박령우 선수는 조가 좋아서 어느정도 전 올라갈것 같았었는데..
지나가다...
14/02/21 20:24
수정 아이콘
사실 뭐 이제부터 하위타선 시작이기는 하죠..( '-')
14/02/21 20:15
수정 아이콘
신동원 선수는 차라리 이제동 선수의 감염충 운영을 최대한 따라해보는게 나아보이네요. 후반운영이 :(
가루맨
14/02/21 20:15
수정 아이콘
아니 어떻게 매번 저러죠? 신동원 선수 팬이었는데, 이번엔 정말 욕 나왔네요.
카페르나
14/02/21 20:16
수정 아이콘
신동원 토스전 정말 오묘(?)하네요... 지는 방법이 다 달라요?!
삼성전자홧팅
14/02/21 20:20
수정 아이콘
일단 티원은 무조건 16강에서 1조에서 팀킬이 발생합니다..
Scarecrow
14/02/21 20:27
수정 아이콘
팀킬하기 싫으니 나머지 둘은 떨어졌으면 좋겠따!
샤르미에티미
14/02/21 20:28
수정 아이콘
티원 팀킬의 역사는 스타2에서도 계속 이어가네요.
카페르나
14/02/21 20:28
수정 아이콘
조성주 강동현 둘 중 하나는 떨어져야 한다니... 참 아쉬워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20:29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조성주 선수 마음 잡고 진출 했으면 좋겠습니다. 충분히 할 수 있는 실력인데 요즘 좀 져서
분위기가 안 좋다는 게 걸리네요.
검은별
14/02/21 20:33
수정 아이콘
총맞은 중계 크크크 드립이 크크크
가루맨
14/02/21 20:39
수정 아이콘
지뢰 없이 싸우는 건 위험해 보이는데요.
14/02/21 20:41
수정 아이콘
조성주 광탈위기!
빅토리고
14/02/21 20:42
수정 아이콘
와 칙칙폭폭
가루맨
14/02/21 20:42
수정 아이콘
조성주 내리 3연패 직전이네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20:42
수정 아이콘
너무 완패인데요; 꼭 패자조에서 1패 해서 그런 게 아니라 진짜 탈락 위기입니다.
14/02/21 20:43
수정 아이콘
조성주가 꼭 올라갔으면 좋겠는데 오늘 경기력이 영 별로네요..
버들강아
14/02/21 20:43
수정 아이콘
조성주 4패 탈락하나요..........
가루맨
14/02/21 20:44
수정 아이콘
조성주도 회사원으로 전향하려나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20:45
수정 아이콘
조 편성 보고 조성주 선수 못 올라갈 지도 모르겠다는 댓글을 달기는 했는데 이런 그림은 아니었거든요.
저그인
14/02/21 20:45
수정 아이콘
정우용 선수가 유일한 테란의 희망이 되려나요!
Scarecrow
14/02/21 20:49
수정 아이콘
황영재 혼종설...
스즈미야 하루히
14/02/21 20:50
수정 아이콘
보증 크크
azurespace
14/02/21 20:51
수정 아이콘

이건 절대 못 이깁니다
1테란 확정이네요
가루맨
14/02/21 20:51
수정 아이콘
점막 안으로는 안 들어가는 게 나았는데, 테란이 초중반부터 많이 불리해졌네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20:51
수정 아이콘
강동현 선수가 조성주 선수 공격 잡아먹겠다는 식으로 기다리는데 또 당하네요...경기 힘들어졌습니다.
azurespace
14/02/21 20:54
수정 아이콘
뭐여 이건.. 왜 꼬라박지.. 그래도 아직 저그가 좋아요
azurespace
14/02/21 20:56
수정 아이콘
와 더스틴 브라우더가 조성주를 살립니다
피겨보다 더하네요 후덜덜
가루맨
14/02/21 20:56
수정 아이콘
이번 경기는 조성주의 움직임이 좋네요. 이제는 테란이 확실히 유리하죠.
azurespace
14/02/21 20:57
수정 아이콘
좋아졌다 싶었는데 일꾼이 한번 잡혀서 일단 컨트롤 싸움으로 넘어가는 것 같아요
azurespace
14/02/21 20:58
수정 아이콘
타이밍 잡죠
33업에 공성전차 토르까지! 산개에 달렸어요
azurespace
14/02/21 21:00
수정 아이콘
기적같은 승리네요 허허헣
강동현이 유리할 때 그냥 운영으로 전환했더라면 정말 테란이 이길래야 이기기 힘든 상태였을텐데 말에요
검은별
14/02/21 21:00
수정 아이콘
테란 첫 승 나왔네요! 드디어
샤르미에티미
14/02/21 21:01
수정 아이콘
조성주 선수 찌르기로 승부 보려고 하지 않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결국 여기저기 찔러서
역전하기는 했지만요;
카페르나
14/02/21 21:02
수정 아이콘
조성주가 승부수를 던지네요.. 조성주가 최고가 될 수 있었던것도 저런 승부수가 통하면서였는데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21:08
수정 아이콘
이야...이번에는 찌르기도 통하는 분위기입니다. 계속 막혀도 또 하면 먹히는군요.
버들강아
14/02/21 21:11
수정 아이콘
조성주 2연승으로 최종전 진출.
샤르미에티미
14/02/21 21:11
수정 아이콘
조성주 잡네요 이야..멋집니다
azurespace
14/02/21 21:12
수정 아이콘
조마조마

신동원은 후반운영에 물음표가 붙는 선수라서 자날 때부터 메카닉 즐겨 쓰던 조성주도 할만 할 것 같거든요
저그인
14/02/21 21:12
수정 아이콘
조성주! 최종전에 가네요!
14/02/21 21:12
수정 아이콘
저그 잡고 올라가는 작전인가?!
강동현은 아쉽네요
샤르미에티미
14/02/21 21:13
수정 아이콘
2연속으로 초반 힘 준 찌르기 막혀서 엄청 불리해졌는데 그래도 또 가는 패기는 진짜 조성주 선수답네요.
14/02/21 21:13
수정 아이콘
신동원, 메카닉 트라우마를 극복했을려나...
14/02/21 21:15
수정 아이콘
조성주 선수가 올라가며 종족비가 어느정도 맞춰 졌으면 좋겠지만 상성상 신동원 선수가 나쁘진 않아보이네요.
14/02/21 21:15
수정 아이콘
TSL 아아...
14/02/21 21:18
수정 아이콘
플엑 터졌네요. 조성주 선수의 힘일까요?
14/02/21 21:18
수정 아이콘
조성주가 신동원한테 질거같진 않아요.
삼성전자홧팅
14/02/21 21:19
수정 아이콘
이로써 솔직히 협회 비협회 가리는 게 이제 별 재미도 없지만...
그래도 재미삼아 쓰자면.. 이제 비협회 선수들 중에 남은 선수는 백동준 선수 1명밖에 없습니다.
14/02/21 21:40
수정 아이콘
이승현 떨어졌나요?
삼성전자홧팅
14/02/21 21:47
수정 아이콘
스타테일 선수들은 IM팀에 연합해서 프로리그에 참가해서.. 거의 협회팀으로 보는 게 맞지 않나 싶네요.
14/02/21 21:48
수정 아이콘
스타테일까지 안 쳐주면 정말 구분이 아무 의미가 없겠죠. 국내팀 해외팀 구분이면 몰라
카페르나
14/02/21 21:20
수정 아이콘
강동현 선수는 빨리 팀을 찾았으면 좋겠네요... 좀 더 잘할 수 있는 선수라고 생각했지만, 매번 그 기회들을 놓치면서 점점 뛰는 곳이 낮아지고 있어요...
버들강아
14/02/21 21:29
수정 아이콘
신동원 올인성공.
14/02/21 21:38
수정 아이콘
조성주 반응속도 대망
버들강아
14/02/21 21:41
수정 아이콘
조성주 또 패승승????????
현재는 2세트 잡는 분위기입니다.
카페르나
14/02/21 21:45
수정 아이콘
경기가 되게 이상하게 길어지더니 승패도 오락가락 하네요... 뭔가 신기한 경기입니다.
가루맨
14/02/21 21:47
수정 아이콘
역전에 역전을 거듭하는 경기!
지나가다...
14/02/21 21:47
수정 아이콘
조성주!!
버들강아
14/02/21 21:47
수정 아이콘
2세트 조성주 승.
검은별
14/02/21 21:47
수정 아이콘
으아 완전 극적인 승리!!!!!!!!!!!!!!!
14/02/21 21:47
수정 아이콘
와 이런 미친;;;
조성주가 기어이 이기네요
14/02/21 21:48
수정 아이콘
역시 짜릿하네요. 많은 관중들 실망시키지 않네요
14/02/21 21:50
수정 아이콘
11/11 갑니다!!
14/02/21 21:50
수정 아이콘
신동원과 조성주가 우승자 출신의 클래스를 보여주는 거 같습니다.
2경기는 합이 절묘하게 맞아 떨어진 진짜 명경기 였습니다..행복한 경기네요..
이번 code s에서 최고의 경기같네요..허허...
14/02/21 21:51
수정 아이콘
마지막 세트 1111은 최고의 테란에게만 허락된 기술
빅토리고
14/02/21 21:51
수정 아이콘
소수 컨트롤 싸움
14/02/21 21:51
수정 아이콘
승리의 11 11!
14/02/21 21:51
수정 아이콘
조성주야 당연히 이정도를 기대했는데...
신동원선수의 초반은 정말 극강인거 같네요..정말 인상적입니다.
후반만 조금만 다듬으면 정말 예전의 포스를 보여줄거 같습니다.
14/02/21 21:52
수정 아이콘
조성주 올라가는 분위기
버들강아
14/02/21 21:52
수정 아이콘
패승승승!!!!!!!!!!!!!!!!!!!!
지나가다...
14/02/21 21:52
수정 아이콘
역시 테란은 벙커링이죠!!
14/02/21 21:52
수정 아이콘
칭찬하자 마자 끝난거 같습니다..허허....
이 조에서는 3명이 올라갔으면 좋았을거 같네요...
신동원 선수 비록 졌지만 정말 잘했습니다.
조성주 선수는 제발 테란의 자존심을 지켜주시길...^^
버들강아
14/02/21 21:53
수정 아이콘
조성주 대박...!
검은별
14/02/21 21:53
수정 아이콘
비밀번호 나왔네요!
빅토리고
14/02/21 21:53
수정 아이콘
벙커링은 스타2 와서도 저그를 괴롭히네요.
14/02/21 21:53
수정 아이콘
300 제국의 부활이 아니라 1111 조성주의 부활
14/02/21 21:53
수정 아이콘
마루답게 이기네요 크크
14/02/21 21:53
수정 아이콘
비밀번호 1111
14/02/21 21:54
수정 아이콘
조성주 잘 하네요. 1111의 장인입니다.
14/02/21 21:55
수정 아이콘
조성주 꼭 올라가길 바랬는데 정말 다행입니다..
진짜 어찌보면 초등학생 같은 외모네요..^^
어찌 저리 게임을 잘하는지..허허..
버들강아
14/02/21 21:55
수정 아이콘
고딩이죠. 크크
콩먹는군락
14/02/21 22:01
수정 아이콘
저그 2 테란 2 토스 8..인건가요 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71 [예능]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 결승전, 임요환 vs 이상민 #3 [388] 부침개6008 14/02/22 6008
4970 [예능]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 결승전, 임요환 vs 이상민 #2 [338] 부침개4135 14/02/22 4135
4969 [예능]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 결승전, 임요환 vs 이상민 #1 [329] 부침개4662 14/02/22 4662
4968 [EPL 27R] 첼시 vs 에버튼 [57] FastVulture2467 14/02/22 2467
4967 [LOL] 빅파일 배틀로얄 시즌3 진에어 스텔스 vs CJ 프로스트 [339] 레이몬드6386 14/02/22 6386
4966 [포켓몬] Twitch Plays Pokemon - Day 9, 사파리존 클리어 + 파도타기 획득!! [111] 부침개4001 14/02/22 4001
4965 [LOL] 롤챔스 스프링 2014 2차 예선 2일차 #3 [173] 은하관제4710 14/02/21 4710
4964 [LOL] 롤챔스 스프링 2014 2차 예선 2일차 #2 [305] 은하관제4307 14/02/21 4307
4963 [LOL] 롤챔스 스프링 2014 2차 예선 2일차 #1 [346] 은하관제4556 14/02/21 4556
4962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S, 32강 F조 [220] 저퀴3317 14/02/21 3317
4961 [포켓몬] Twitch Plays Pokemon - Day 8, 드디어 보라타워 탈출!!!!!!!!!! [77] 부침개3540 14/02/21 3540
4960 [스타2] SHOUTcraft 클랜워 EG vs IM [7] Golden2348 14/02/21 2348
4958 [LOL] SK텔레콤 LTE-A LOL Masters 2014 2주차, KT vs 나진 #3 [208] 이걸어쩌면좋아5687 14/02/20 5687
4957 [LOL] SK텔레콤 LTE-A LOL Masters 2014 2주차, KT vs 나진 #2 [330] 저퀴5034 14/02/20 5034
4956 [한밀아] 선택과 집중의 시간... [204] 니시키노 마키4108 14/02/20 4108
4955 [LOL] SK텔레콤 LTE-A LOL Masters 2014 2주차, KT vs 나진 #1 [332] 저퀴6090 14/02/20 6090
4954 [포켓몬] Twitch Plays Pokemon - Day 7, Helix 신의 가호가 있기를 [128] 부침개3136 14/02/20 3136
4953 [UEFA 챔피언스리그] 아스널 vs 바이에른 뮌헨, AC밀란 vs AT마드리드 [241] FastVulture2960 14/02/20 2960
4952 [LOL] 롤챔스 스프링 2014 2차 예선 1일차 [353] 최종병기캐리어6970 14/02/19 6970
4951 [포켓몬] Twitch Plays Pokemon - Day 6, 이건 미친 짓이야!! [89] 부침개5163 14/02/19 5163
4950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S, 32강 E조 [311] 저퀴3412 14/02/19 3412
4949 [UEFA 챔피언스리그] 맨체스터 시티 vs 바르셀로나 [263] OHyes3417 14/02/19 3417
4948 [스타2]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2014시즌 종족 최강전 [126] 삼성전자홧팅3112 14/02/18 31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