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4/22 19:47
전 삼성 경기만 아니면 아무팀이건 다 응원은 하는 편이지만..
이번 NLB 8강 AB조 만큼은 SKT1팀이 다 이겨서 4강 내전이 만들어져서.. 4강에서 완전 마지막 판까지 가는 명승부를 만들어 줬으면 좋겠네요.. 그렇게 해서 주작충들이 아무말도 못하게 했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T1 Fighting!!!
14/04/22 19:49
어차피 메인은 야스오니 탑룰루 성장이 더뎌져도 괜찮다는 판단인 것 같은데..
역으로 말해서 이전 게임처럼 초반에 밀리게되면 탱라인이 없으니 역전은 불가능합니다. 이번엔 날세워서 해야 합니다. 뒤가 없어요.
14/04/22 19:53
이거 롤챔 8강에서 보던 그림이랑 비슷하네요
오존이 야스오 트위치가 제자리에서 파밍하고 나머지 셋이 불도저 막으러가고 2캐리중 하나이상이 프리딜하고
14/04/22 20:13
프로게이머가 연애를 하면 성적이 떨어지는 것처럼,
아무래도 몇개월간 팀 단위 연습을 거르고 다른 게임을 한 게 영향이 좀 있나보네요. 연습하면 클라스야 다시올라오겠지만, 지금 당장 아쉽기는 하네요. 캐스퍼 선수는 어찌되었는지...
14/04/22 20:16
1경기의 여파 + 초반 차이가 너무 커서 무난하게 끝나지 않을까 싶엇는데
기적적으로 버티고 잇는거지 터졌어야 하는 게임이긴 하지만 프라임 진짜 멋있네요...
14/04/22 20:25
skk가 롤챔,롤드컵,19연승 위업 달성할때는 와 다섯명 다 잘한다고 생각되었는데
슬슬 압도적으로 못 지고 지는 판 나오는 거보면 바텀이랑 정글이 문제긴 문제네요. 항상 미드,탑 2명은 진짜 잘해주니 삼성이랑 kt가 왜 이렇게 미드 자원에 큰 신경을 쓰는지 알만하네요.
14/04/22 20:26
프라임 옵티머스는 섬머시즌도 챔피언스에 무난히 올라오겠네요. SKT1 K가 예전만 못하지만 그래도 SKT1 K 상대로 밀리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14/04/22 20:26
이미 해법이 나온 프라임메타 사용 및 그 대응에서 차이가 벌어졌고... 그냥 그 스노우볼이 끝까지 구르면서 끝났네요. 푸맨두 폼이 안좋긴한데 승패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었군요.
14/04/22 20:27
물론 롤이란 게임의 꽃은 쓰로잉이기 때문에 어찌될지 모르는 거긴 한데, 그런 부분을 차치하고 생각해본다면
픽밴에서부터 초반 5분까지만 봐도 대략적인 승패를 예측할 수 있는 게임이였죠.
14/04/22 20:30
맨두푸는 아마 R키 누르다가 E키도 같이 눌렸다는 이야기를 하려한 듯.. 대충 얼버무리면서 넘기긴 하네요 크크크
피글렛 돌직구 어마어마하게 날리네요. 이쯤되면 핵직구급 크크
14/04/22 20:31
아오.. 그래도 나겜 특유의 깨방정때문인건지.. k선수들 즐겁게 인터뷰 하는게 보기 좋네요.
정점을 찍고 오래 머물렀던 선수들인만큼 다시 반등하길 기대합니다. 크크크크
14/04/22 20:38
티원이 내려왔다길래 오늘 NLB처음보는데 인터뷰가 정말 좋네요.
롤챔스 인터뷰할때는 아예 딴거보는데, NLB에서 해설자들이 직접 인터뷰하는거 보니까 경기내용중에 궁금했던거 시원하게 다 해주고 재미까지 주네요
14/04/22 20:51
사실 롤챔스도 이슬갓이 온 뒤로는 인터뷰 상당히 좋은데..
NLB에서 지금 하는 인터뷰는.. 온겜넷이 케이블이라는거 감안하면 NLB니깐 할 수 있는 선이 있는거라서.. 사실 차이가 꽤 있죠..
14/04/22 20:57
그런데 오늘 인터뷰나 지난 인터뷰를 봐도
'돌직구'가 많을뿐 공중파 방송에서 못할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다만 인터뷰어의 짬이 필요한 거죠 용준좌/소림갓/동준좌라면 온겜이지만 이런 맥락의 인터뷰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봐요 이슬님은 이렇게 돌직구 인터뷰 못하죠
14/04/22 20:58
그걸 했을 때 '선수들이 선을 넘을 수도' 있기 때문에. 케이블에선 그렇게 돌직구 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지금 이슬갓 정도로만 인터뷰해도 심의 감안하면 선 타고 있죠.
14/04/22 21:01
케이블도 방통위 규제 다 받습니다. 가이드 라인이 공중파보다 약간 아래일뿐이에요.
최근에 TvN은 규제 받을 생각하고 감행해서 실제 징계 몇번 먹기도 했지만.. 온겜넷은 그정도 레벨이 될리가 없죠..
14/04/22 20:53
?잭스가 너무 당연하다는 듯 나와서 당황했네요
고를 수 있는 상황에서도 안 고르는 모습 꽤 봣는데... 이게 얼마만에 보는 샤이 잭스야...
14/04/22 20:57
롤챔스 기준 자이라를 서포터로 가장 먼저 쓴게 매라였으니깐요.
2012섬머 4강에서 블레이즈 상대로요.. 매라는 엄청나게 잘했지만 경기는 졌던거 같네요..크크
14/04/22 20:57
강퀴정도의 천상계에서 탑소라카로 21승 10패면..확실한 꿀이긴 한가보네요. 탑소라카는 소환사 스펠을 뭐 드나요? 점멸 텔포? 점멸 힐?
14/04/22 20:59
얼밤 8강 말아먹은게 이렐 아니였나요.
1경기 압승에 취해서 레넥톤 노밴 상태에다가 상대 정글 리신인데 이렐 꼴픽한 것이 8강 전체의 스노우볼을 굴러가게 만들었다고 봤는데, sks가 왜 이렐 밴을 한건지 이해가 잘 안가네요.
14/04/22 21:01
보는 제 입장에선 저 챔피언을 저 선수에게 주기 싫어서 밴까지 해야해???
하는 챔피언들이 밴되는 경우가 자주 있더라구요. 스크림이나 솔랭 등의 영향이려나요? 아무 이유 없이 밴을 하지는 않았을 테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