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3/21 17:40
팬심 그런거 다 떠나서 순수하게 롤 시청하는 시청자로서 제라스는 이제 좀 계속 져서 그만 봤으면 좋겠어요 크크..
제라스 나오면 게임이 너무 재미없어요;;
15/03/21 18:01
제라스가 문제라 재미가 없어지는게 아니라 롤챔스는 제라스를 가지고 너무 수동적으로 사용해요.
자꾸 딴리그랑 비교하는 느낌이지만 사실 LPL에서의 제라스 용법이랑 롤챔스에서의 용법이랑은 상당히 차이가 많이나요. LPL에서는 압박을 하면서 상대를 밀어내는 식으로 포킹 챔프를 사용하는데 롤챔스에서는 거점을 차지한후 유지하는 식으로 포킹 챔프를 사용하죠.
15/03/21 17:49
KT도 진짜 답답하게 게임하네요. 솔랭할때도 저런 팀원 만나면 짜증나는데. 끝낼 수 있을때 못 끝내고 질질 끌고. 무슨 라인관리니 오브젝트니 이딴거 계속하면서 그러다 뭉친 상대가 짤라먹고.
15/03/21 17:58
kt가 역전할 여지를 안주고 운영했다고 볼수는 있겠으나, 끝낼때 못 끝내내고 시간만 질질 끈 느낌이네요. 글골 격차를 싸움을 통해서 충분히 벌리고 경기도 끝낼수 있는 상황이었는데, 초반에는 공격적으로 하다가 후반에는 스플릿 하다가 끊기고 시간을 질질 끌었을까요.
15/03/21 17:59
으으 저만 그런지 pgr이 아파서 들어오려고 낑낑대는 사이에 경기가 끝났네요. 경기내용은 둘쨰치고 확실히 다이애나 패치가 크긴 큰거 같습니다.
15/03/21 18:02
LPL 보게 된 이후로 지금 이런 경기 보니 한국팀들 한타 진짜로 못하네요. 삼성은 불리하면 다 내주고 쫄아있다가 마지막 발악도 이상한 한타각 잡아 들어가는 전형적인 한국식 패배공식. KT는 운영을 가장한 단 하나의 결함없이 할려는 결벽증 소심메타.
15/03/21 18:06
실력은 모르겠고 너무 재미가 없어요...
억제기 두개 밀릴때까지 실수나 기다리고 있으니 마지막 저질한타에 에이스당하고 끝나고... 이런 경기가 너무 많네요ㅠ 케이티도 이런 경기는 좀 후딱 끝내지...
15/03/21 18:11
오늘 IG랑 VG가 대박이었죠
VG가 정말 삼화가 빙의된듯 탈수기 운영의 완벽한 모습을 부여주면서 카루키 조합의 IG를 압살해버렸습니다. 정말 나중에 VOD풀리면 다시 보세요. 아이디 가리고 보면 삼화 경기라고 속여도 속을만한 퀄리티였어요.
15/03/21 18:31
오늘 바실리가 한국인의 저주를 듬뿍받은 효과를 보여주더군요. 근데 어째 제이스서폿으로 팀내 중국인과 한국인이 대판 싸운모양새인데 후로 점점 폼이 올라오네요 스네이크면 쉬운팀이 아닌데
15/03/21 18:32
삼성이 픽밴을 그다지 스마트하게 못한 게 큰 것 같네요. 쓰레쉬 밴하거나 뺏어와도 레이스가 충분히 잘 해주는 챔픈데 왜 쥐어주는지.
나그네가 미드 우위에 있는 것도 게임 터지는 이유긴 하겠습니다만..
15/03/21 18:33
뭐 요새 삼성이 폼오른거라봐야 전패팀에서 1승팀으로 바뀐거죠.1라운드에서도 kt가 이겼는데 나그네가 정신차린 kt라면 말할 가치도없는..
15/03/21 18:34
1경기도 그렇고 2경기도 그렇고
미드 바텀이 그냥 라인전에서부터 패배하는 바람에... 특히 삼성 입장에선 믿었던 바텀라인이 져버렸으니 뭐 아무것도 안되네요..-_-;; 삼성은 운영이란 걸 할 여지도 없을 정도로 라인전이 앞으로 추가 승리를 또 할 수 있을 지 모르겠네요
15/03/21 18:38
삼성은 보아하니 IM전 승리이후로도 스크림에서 계속 연패를 했나봅니다.. 선수들 멘탈이 너무 터져있는 거 같아요..
1라운드 진에어전이 끝난 뒤부터 이상할정도로 게임 시작한지 얼마 안되서 멘탈이 터지는 모습이 보였는데 나중에 인터뷰하니깐 스크림에서도 맨날 진다고 말하던데 이번에도 스크림에서 거의 못이겨본 게 멘탈에 큰 영향을 끼친 거 같아요..
15/03/21 18:46
불판깔아놓고 그거봤...
다른건 모르겠고 엄청 자연스럽네요. 이제 방송인 다된듯. 예전 스타골든벨이나 스친소때 프로게이머들 나온거랑은 확실히 달라요 크크
15/03/21 18:50
삼성은 iem 이전 한국메타 겨우 이제 적응해서 온거 같은데, 지금은 iem 이후 급격하게 변화하는 메타란 말입니다. 진에어처럼 시즌초부터 이미 완벽하게 메타를 구사하고 지금은 그게 극한에 이른 수준이 아니라면 결과는 눈에 뻔히 보일 일이었죠. 예전 프리시즌 때 삼성이 잘하던 메타가 현재 돌아오고 있는데 너무 많이 지니까 완전 감을 잃어버린거 같습니다.
15/03/21 18:58
그떄 잘하던 메타라는 건 없어요
까놓고 말해서 그떄 삼성이 승리 챙겼던 건 삼성을 상대로 다른 팀들이 너무 안일하게 플레이했었다는 점 / + 매복플레이에 한팀당 한번씩 계속 당했다는 점이 컸죠 실제로 1세트에선 그렇게 이겼고 2세트에서 삼성이 어떻게 움직이는 지 알자마자 다들 압도적으로 떄려잡았고 지금까지 때려잡고 있죠(IM만뺴고..)
15/03/21 18:58
오늘 경기를 보고나니 롤챔스에 굳이 10팀이 필요한가싶네요.
막 리그제 개편되었을땐 잘하는 선수는 많고 팀이 적어보였지만 반년정도 흐르니 국내 환경이 많이 달라진것같아요. 10팀이서하면 이런 매치들이 더더욱 많아질텐데.. 리그 긴장감이 확 줄것같기도하구요.
15/03/21 19:01
아마추어풀도 다 쓸려나가면서
더 이상 괴물신인들이 옛날만큼 한국무대에서 데뷔하지도 않을 거고요.. 한국리그는 앞으로 위기가 계속 될 거라 생각되요.. 지금 당장의 문제보다 앞으로의 문제가 더 커서..
15/03/21 19:10
지금 챌린저스 코리아 참가팀들 보면 심각하죠...무조건 두 팀은 올라올텐데 제닉스 정도 빼곤 팀으로써의 완성도가 지금 롤챔스에서 연패하고 있는 삼성과 붙어도 10판 중에 3판은 이길 수 있을까 싶은 팀들이 대부분..씨앗 굵은 아마추어들도 없어 보이고..이 팀들이 올라오면 삼성보다 더한 승점 자판기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15/03/21 19:19
뭐 픽에서 선진문물이랄 게 딱히 없어서.... 플레이 스타일의 차이라면 모를까요@_@ (다이애나의 경우 한국선수들도 연습은 IEM 이전부터 하고 있었고요)
15/03/21 19:33
GE의 3인 다이브가 진짜 나쁘지 않았는데 럼블이 좋은 타이밍에 오고 다이애나가 쉴드로 한 턴을 버티는 바람에 오히려 GE가 세 명이 끊겼어요.
15/03/21 19:35
GE는 스멥의 텔포가 살아있고 샤이의 텔포가 없는 타이밍에 한 번 이득을 취해야 할 것 같은데 CJ 봇이 오늘따라 촉이 너무 좋게 플레이하고 있어서..
15/03/21 19:39
GE는 끊어먹는데 좋은 조합이고 장기전으로 갈 수록 CJ가 한타가 강력하기 때문에 GE는 미리미리 우위를 선점하고 싶었을텐데... 타워 철거도 만족스럽지가 않구요. 여기서 코그모가 끊기는건 크네요.
15/03/21 19:42
확실히 GE의 상승세는 리와 스맵의 상승세가 영향이 있었는데
IEM도 그렇고 CJ전 초반 좀 안좋았던 것도 그렇고 리의 컨디션에 영향을 좀 많이 받는 거 같기도 하네요 스맵은 아직까진(하락세인지) 모르겠고요
15/03/21 19:45
이니시를 리산드라(혹은 레오나)가 거느냐 자르반이 거느냐에 따라서 상황이 달라지겠지만 럼블의 이퀄이 변수에요. 진형붕괴할 수 있는 카드기 때문에 GE는 시비르의 사냥개시부터 해서 레오나-리산-르블랑 같이 공식처럼 짜여신 한타개시가 아니면... 장기적으로 가면 그닥 좋지가 않습니다.
15/03/21 19:47
용싸움 직전에 엠비션이 어쨌든 한번 들어가면서 사냥개시 빠진게 컸구요. 럼블과 다이애나가 뒤쪽으로 도사리고 있다가 럼블이 들어오자마자 이퀄깔고 다이애나가 정리하는 그림이 나왔죠.
15/03/21 19:51
이건 GE 버틸 근간이 없네요
타워에서 앞서나갔다 해도 다이애나의 스플릿을 막을 인원이 없었고 한타에서도 자르반의 대격변때문에 시비르는 일단 무조건 한번은 봉쇄되고요 럼블 이퀄때문에 다이애나가 되었든 코그모가 되었든 점사하러 가는 길이 너무 험난하죠
15/03/21 19:53
IEM에서 GE가 터진이유가 너무 싸움없는 운영일변도다보니 급한 속도전에서 완벽히 밀린게 크죠. CJ가 그걸 잘 이용하고 있네요.
15/03/21 19:52
아까 바론 때도 나왔지만 이렇게 되면 르블랑이 정말 잉여화가 가속되죠. 그것도 저렇게 잘큰 르블랑이... 무서워서 들어가겠습니까.
15/03/21 19:53
저게 르블랑이 망하는 전형적인 구도인게 괜히 암살하러 들어갔다가 코그모한테 평타 몇방 맞으면 바로 빈사상태되는 상황이라 그렇다고 다이애나를 물수도 없구요.
15/03/21 19:54
엠비션이 처음 정글 전환했을 떄 비판도 많았는데 마타 선수가 엠비션 선수 정글 잘한다고 한거 보면 역시 선수들 보는 눈은 다른거 같아요.
15/03/21 19:55
저도 예전부터 이야기했지만 리신은 그냥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정도의 챔프라고 봅니다. 장기전으로 갈 수록 유리하건 불리하건 특출난 장점이 없어요.
15/03/21 19:58
매라 CJ가 던졌다기보단 팀 전체적으로 던진 느낌이네요
애초에 자르반이 저렇게 대격변을 했으니.. 뒤에 팀원들은 따라올수밖에 없었는데 거기서 대참사가....
15/03/21 19:59
샤이가 의문의 텔취소가 많긴해요
자기가 손해라도 텔 끊지 말아야할때가 있는데 몬가 아니다 싶으면 바로 끊더라구요 그로인해 코코가 늘 많이 손해보더라구요 CJ는 늘 텔레포트쪽이 문제
15/03/21 19:59
보아하니 텔포를 그냥 미니맵에 찍은 느낌(..) 진짜 차라리 바론쪽에 타기만 했으면 코그모가 죽더라도 이퀄과 함께 딜이라도 더 줘서 바론이라도 어떻게 막을 수 있었을 지 몰랐을텐데
15/03/21 19:58
용도 다시 GE가 3스택으로 앞서가구요. 이렇게 되면 진짜 다시 팽팽한 느낌이 나오는데... 그래도 한타는 여전히 CJ가 강력해요.
15/03/21 19:59
엠비션이 무리했죠. 매라, 스페이스 탓 할 것이 아니에요. 들어가니 호응하러 가다 짤린 거니깐.. 샤이도 콜 나오니까.. 텔 탄것이고
15/03/21 20:03
둘다 답답하내요.....
지금 승부수는 어느쪽이 완벽하게 치고 들어가느냐가 아니라 어느쪽이 한박자 빨리 치고 들어가느냐 입니다. 해설들도 그렇고 아직 롤챔스 운영메타의 한계를 아직 짚어내지 못하고 있는거 같아요.
15/03/21 20:03
근데 럼블템이 호러라서 CJ가 쉽게 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리안드리 라일라이 존야 심홀 4코어네요 -_-;; 럼블의 무서움은 GE가 제일 잘 알거구요
15/03/21 20:10
이건 진짜 일합에 승부가 갈리겠네요.. 양팀 다 화력이 너무 쎄서 (..)
그래도 굳이 누가 좀 더 편하게 한타할 수 있느냐면 CJ쪽인 거 같긴하고 대신 GE는 기습에 능하긴 한데....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