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11/13 17:50
    
        	      
	 글쓴이님 그런데
 wcg링크를 누르면 마지막에 ')'가 입력이 되어있어서 사이트 주소를 수정해야합니다 혹시 수정해 주실수 있는지 부탁드립니다. 
	09/11/13 17:50
    
        	      
	 자 이제 Lyn, Moon의 차례입니다. 이 경기 끝나고도 완전 흥미진진한 경기들만 기다리고 있네요. White-Ra vs 그렉필즈, 김택용 선수 vs 샤쥔춘 선수에 첫번째 금메달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는 붉은보석 결승전까지... 
 
	09/11/13 17:51
    
        	      
	 PJ 는 전성기가 지났죠.
 최연성선수 활약할 때 뜨기 시작한 걸로 기억하는데 최연성 선수는 은퇴했으니... 전성기가 훨씬 지난 건 말할 것도 없겠죠. 
	09/11/13 17:52
    
        	      
	 sungsik님// 실력이 대단한게 아니라, 얼마전에 김정우를 잡아내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는 듯 합니다. 
 
	09/11/13 17:53
    
        	      
	 다행히도 지능책.. 차악이네요~ 경치책 나오면 큰~일날 뻔했죠..
 블마는 서클릿 사고 사냥중입니다. 그런데, 아메가 마기로브가 나오네요.. 
	09/11/13 17:55
    
        	      
	 Anabolic_Synthesis  님 그런데 
 wcg링크를 누르면 마지막에 ')'가 입력이 되어있어서 사이트 주소를 수정해야합니다 혹시 수정해 주실수 있는지 부탁드립니다. 
	09/11/13 18:14
    
        	      
	 오랜만에 워3 보는데  약간 해설이 손발이 오그라드네요...
 저만 그런건가요?? 해설하시는 분은 그럭저럭 괜찮은거 같은데 정소림 캐스터는 좀... 머 애국심이 나온거겠지만 제가 워3를 너무 오랜만에 보나 봅니다^^ 
	09/11/13 18:16
    
        	      
	 외국선수들 스타경기 보고있는데 나름 치열하네요. 테프 장기전입니다. 한국선수들 다들 중장기전까지 끌고가질 않으니 사실좀 지루했는데..크크 
 
	09/11/13 18:16
    
        	      
	 저는 한국예선부터 워3 보고 있는데 해설 참 재밌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이니까요. 경기는 완전 재밌네요. 크크 
	09/11/13 18:18
    
        	      
	 더블 스부 말하지 않았나요? 
 더 빨라지지는 않지만 럭셔리함을 강조한다고... 크크 한국 예선에서도 더블 스부 차고 이기는 경기 있었죠. 상당히 중요하고 긴박한 경기였었는데요. 선수는 기억이 안나네요. 
	09/11/13 18:23
    
        	      
	 쥬크파니님// 송병구 선수와 이제동 선수가 먼저 4강에서 붙고 김택용 선수는 다른쪽에 있는 것으로 압니다.
 인줄 알았는데 아니었나 보네요. 
	09/11/13 18:23
    
        	      
	 彌親男님// 아닙니다;; 이제동선수랑 송병구선수는 결승까지 안만난다고 기사에서 나왔습니다. 김택용선수가 1위로 올라가면 4강에서 이제동선수와 붙고 2위로 올라가면 8강에서 송병구선수랑 합니다. 
 
	09/11/13 18:47
    
        	      
	 솔직히 블마 비벼넣는 플레이도 놀아왔습니다만, 장재호 선수는 컨트롤로 위습 하나도 안 잃고 블마를 그냥 가둬버리는군요. 나름 장회장님 자비로운데요. 웬지 대회경기가 아니고 배틀넷이었다면 그냥 블마 가둬놓고 쭉 플레이했을 것 같은데. 
 
	09/11/13 18:49
    
        	      
	 언데드네버다이님// 
 김택용선수, 그리고 붉은 보석 comeonbaby경기가 바로 이어지네요. 장재호 선수 세컨스테이지에서 한경기 더 있구요 
	09/11/13 18:51
    
        	      
	 언데드네버다이님// 우크라이나의 White.Ra 선수(이 선수도 국제대회에서 사고 한 번 친 적이 있는 선수죠.)와 CJ에 있었던 그렉필즈 선수의 경기가 있구요. 이어서 김택용 선수와 샤쥔춘 선수의 경기 이후 첫 금메달이 기대되는 붉은 보석 결승전 경기가 있습니다. 
 
	09/11/13 18:51
    
        	      
	 WCG 스타 예선을 보다가 문득 생각난게 드래곤볼 <부우전> 에서 
 손오공과 친구들이 지구인들이 개최하는 천하제일무술대회에 참가한 느낌... 
	09/11/13 18:54
    
        	      
	 참고로 지금 출격하는 white.ra는 임요환선수를 IEF 2009에서 관광시킨걸로 유명하죠.
 그분이 그냥 리버에 죽어라 털리셨죠;; 
	09/11/13 19:05
    
        	      
	 SKY92님// 
 경기 시작했나요? 전 아직 전용준 해설의 우렁찬 목소리밖에 안들리는데;;; 제가 렉이 엄청나게 심한가 보네요... ㅠㅠ 
	09/11/13 19:05
    
        	      
	 D조 경우 우크라이나 선수 패배시 3순위인 러시아 선수가 승자승으로 올라가게 되며
 미국 선수 패배시 우크라이나 선수 1위, 미국 선수 2위. 결론은 미국 선수 8강 확정입니다. 
	09/11/13 19:27
    
        	      
	 경기가 참 터프하네요(나쁘게 말하면 세심한 컨트롤이 없는....)
 진짜 뮤뱅 노래 한곡 듣고 오니 전황이 변해있네요.....아까까진 토스가 괜찮았는데 
	09/11/13 19:33
    
        	      
	 근데 저 미국 선수 CJ있는 그렉필즈?  지금 국내 있는 선수 아닌가요?
 국내에 있는 선수가 맞다면 왠만하면 이름으로 호명해 주면 좋았을텐데.. 계속 미국선수라고 해설하는군요.. DavidVilla님// 헉...ㅡㅡ;;; 
	09/11/13 19:34
    
        	      
	 우유맛사탕님// 그렉필즈 선수 지금도 CJ 있나요? 그것까지는 잘 모르겠는데, 어쨌든 온게임넷 중계진이 저 선수를 몰라보는 것 같습니다. 
 
	09/11/13 19:39
    
        	      
	 그런데 경기장 내에는 틀어놓을 음악 래퍼토리가 왜이렇게 없죠?
 계속 beyond the game?(맞나?) 한곡만 계속 나오는군요.... -_-;; 
	09/11/13 19:40
    
        	      
	 송병구선수 안경 멋집니다! 제꺼랑 거의 비슷하군요! 흐흐
 운동에 재미 붙이면 저렇게 됩니다;;; 먹는거 조절하게 되고 피부좋아지고 턱선 살아나고. 활기넘치고. 여러분 땀흘리세요. 
	09/11/13 19:58
    
        	      
	 드라군 차이는 좀 크네요. 하지만 다크로 사이드데미지 제대로 주는 김택용. 투리버 내리고!
 앞마당에서 접전! 리버 하나 죽고 한기 살려내면서 승리! 
	09/11/13 20:02
    
        	      
	 샤쥔춘도 못잡는 김택용;; 역시 jaystar 이선수가 중국토스 원탑인가요...... 리플레이보니 프로브 전진게이트에 9기정도인가 잡히고 이겼던데요; 
 
	09/11/13 20:07
    
        	      
	 투리버 타이밍에 앞마당이 밀리는 예는 국내 리그에도 많았었죠. 그것보다 사췬춘선수가 너무 욕심을 부렸습니다. 다크를 배제하면 안되죠. 거기서 다크로 밀고 나온게 승부의 분수령이었던거 같네요. 초반에 병력에 너무 올인해서 기간시설 투자가... 
 
	09/11/13 20:09
    
        	      
	 졌으면 백만년 까였을듯... 그냥 지는것도 아니고 밀봉이었다면.. 덜덜덜...
 그나저나.. 어떻게 유닛 훨씬 많았는데 다크한기때문에 경기가 이렇게 뒤집어지는지.. 국내프로게이머였다면 간단히 이겼을텐데 말이죠..;; 
	09/11/13 20:11
    
        	      
	 o파쿠만사o님// 운이 없었죠 사실;; 07때는 진영수랑 8강에서 만나고 08에는 이제동이랑 본선 8강에서 만났죠;;
 이제 운이좀 따라주는 단계입니다. 
	09/11/13 20:30
    
        	      
	 붉은보석이라는 게임은 오늘 처음 접해보는 게임이라서...
 상황 진행이 어떻게 되어가는지 전혀 모르겠군요... ㅠㅠ 압도하고 있다는 말씀이 있으니 다행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모르고 보는 겜이라서 긴장감이... ㅠ) 
	09/11/13 20:33
    
        	      
	 2:0 이면 게임셋인가 보네요.......아 허무하네요.....이거 왜 WCG에 선정된거죠??? 재미도 없고 감동도 없고..... 
 
	09/11/13 20:34
    
        	      
	 일본팀이랑 이렇게 경기력 차이나 많이 나는 이유가 뭔가요?
 그리고 보니 아까전에 본문내용에도 은메달 확보 가 아닌 금메달 거의 유력으로 쓰여져있던데.. 
	09/11/13 20:54
    
        	      
	 그나저나 스타,워크,카스,피파를 제외한 다른 종목들은 생중계로 보기 힘드네요..
 개인적으로 격투게임을 좋아해서 버츄어파이터정도는 해줬으면 하는데.. 그나저나 철권은 wcg 종목이 왜 안되는걸까요?? 
	09/11/13 22:11
    
        	      
	 저는 WOW 투기장이 WCG에 공식종목이 되지 않는게 더 신기합니다. 뭐 제가 WOW를 하는건 아니지만 외국 게임커뮤니티 보면 WOW 대회로서의 인기도 꽤 하던데. 3팀이 출전하는 붉은보석으로 금메달 추가한걸로 종합우승하면... 솔직히 조금 오그라듭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