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9/25 01:20:41
Name 카레맛똥
Subject [일반] 차은우는 과연 막차를 탄 것일까? (수정됨)
유게에서도 올라왔지만 최근 AI로 만든 케이팝 데몬 헌터스나 귀멸의칼날 : 무한성편의 실사화 메이킹 필름이 화제입니다.

https://www.youtube.com/shorts/WpjfwHqg1R0?si=8W7UYx9nnvrxZXHx
https://www.youtube.com/shorts/BFieJV2HoyM?si=RRruBFk19m5NwbAl

보시면 알겠지만 정말 이젠 막눈으로는 AI의 실사화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올라왔습니다.
물론 각 생성 모델별로 영상 길이 등의 한계는 명확하고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만 발전 속도를 볼 때 불과 1개월,2개월,3개월 전의 AI 영상들과 지금을 비교해보면 상전벽해입니다. 년 단위로 비교하면 버츄어파이터1과 철권8정도의 차이라고 봐야겠죠. 1년 전 OpenAI에서 Sora를 처음 발표했을때도 전세계가 난리였는데, 그 Sora 발표 시연 영상조차 지금의 구글 Veo3에 비하면 하찮은 미물이니까요.

이 속도라면 정말 가까운 시일 내에 맨눈으로는 구별이 불가능한 실사 드라마,영화,예능 등이 쏟아져 나올 것은 자명합니다. 그것도 온전히 1인의 힘으로 말이죠. 프롬프트를 제대로 쓰고 영상 쪽 지식이 있는 재능러라면 사실 지금도 가능합니다만, 아직은 위와 같은 쇼츠의 영역에서 머물러 있다면 앞으로는 장편의 실사 컨텐츠들도 양산될 것입니다. 거의 확정적이고 필연적 미래라고 봐야겠죠.

어느 한 분야의 기술이 발전해서 편의성과 접근성이 극단적으로 좋아지면 나타나는 공통점 중에 하나는 업계의 승자독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의 발달로 인강이 활성화되자 동네학원은 위축되고 소위 '1타 강사'들의 독식 현상이 나타났던 것 처럼요. 남녀간의 연애에서도 인스타로 대표되는 SNS의 발달로 인한 승자독식이 여실히 나타나서 소위 최상위 알파메일/걸들은 온갖 이성들과 다양한 연애 경험을 너무나도 쉽게 즐기고 도태된 남녀들은 이성의 손 한번 못잡고 연애시장에 참여조차 못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죠.

저는 이런 현상이 엔터계에서도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AI 영상 기술이 발전할 수록 기존의 인기 연예인들은 굳이 고된 스케줄을 소화하거나 힘들게 연기할 필요 없이 자신의 얼굴과 신체를 판권화 해서 수익화 모델을 쉽게 창출할 수 있습니다. 양산형 얼굴들이 현실과 거의 똑같게 실사화될 수록 실제 인기 연예인들의 가치가 더 높아질 것입니다. AI의 실사화라는 것도 결국엔 기존 인간들의 모습을 학습해서 얻어낸 미적 가치 판단이기 때문이니까요. 단적으로 젊은 시절의 디카프리오나 탐 크루즈, 브레드 피트 등을 영원히 영화에서 볼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비단 젊은 시절 뿐만 아니라 나이 대 별로 작품에서 원하는 대로 세팅도 가능하죠. 이러면 마치 LCK 5대 미드처럼 고인물들의 카르텔이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미적 가치에도 시대별로 변화하는 트렌드가 있습니다. 한 세대 전 과거의 장동건, 원빈 같은 미남형과 지금의 차은우, 필릭스, 변우석 같은 미남형은 확실히 차이가 있습니다. 미래에는 또 어떤 스타일이 트렌드가 될 지는 모르지만 가면 갈수록 고령화 되는 사회에서 기존 연예인의 익숙함이 주는 우위는 결코 적지 않을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차은우는 대 AI 영상 시대에 앞서 고인물 막차를 탄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55만루홈런
25/09/25 01: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요즘 ai보면 예술쪽은 앞으로 더 힘들것 같네요 만화도 딸깍 소설도 딸깍..
미국 시나리오 작가들이 ai로 난리났던 이유가 공감가는 크크크
짭뇨띠
25/09/25 01:34
수정 아이콘
실존하는 인물을 ai처리해서 활용하는거야 경제성이나 새로운 창작을 위해 그러려니 해도
비존재에 대한 거부감은 없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완전 실사물과 ai처리물에 대한 선호도는 갈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우상향
25/09/25 01:51
수정 아이콘
양산형 딸깍 시대가 오지만 그래서 오히려 인기 연예인의 초상권 가치가 급상승 하겠네요.
키모이맨
25/09/25 03:27
수정 아이콘
실사 매체에 AI를 적극 활용하는 건 이미 다들 계속 트라이하고 있고 빠르게 더 늘어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게 어떻게 보면 좀 다른 방향의 CG랑 별로 다를것도 없다고봅니다
기존에도 배우 외형이랑 얼굴만 가져오고 CG로 창조해낸 장면들 수많은 영화에 수없이 많으니까요
그리고 본문대로 이미 '지금 이 순간'유명한 사람들은 이미 유명하기 때문에, 누가 봐도 누군지 알기 때문에
지금보다 더 편하고 더 많이 외형이 사용될 거고 더 많은 돈을 더 편하게 벌 가능성 높다고 생각합니다
초상권만 넘기고 컴퓨터로 노동자들이 영화 한 편 뽑아내는 동안 놀면서 개런티를 받는 세상이 올 수 있죠
한 편당 받는 돈은 줄어들겠지만, 대신 현실적인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있는 지금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매체에
출현 가능해지니까요
반대로 '새로 유명해져야 하는'사람들은 문이 더 좁아지겠죠

저는 AI에 대해서 가장 궁금한 건, 현 세대가 아니고 다음 세대가 AI를 어떻게 받아들일거냐 입니다
사람의 정서라는게 보통 성장기 지나면 바뀌지 않고 지금 AI를 처음 보는 세대는
결국 어떻게 해도 AI에 대한 거부감이 어느정도는 있기 마련입니다 죽을때까지요
그런데 2020~2030년대에 태어나서 어릴때부터 AI를 당연히 보고 자란 세대는 어떨까요?
한 세기 정도 지나면 인류가 정말 많이 바뀔지도 모르겠습니다
시드라
+ 25/09/25 07:28
수정 아이콘
신규 연예인들은 ai와 경쟁해야 해서 쉽지 않을꺼 같은데

연예인과 서브컬쳐 캐릭터의 가장 큰 차이는 실물이 존재하고 현실에서 볼수 있고 소수는 접촉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여전히 연예인의 수요는 남아있을 꺼라고 봅니다

다만 예전만큼 많은 연예인이 생존할 수는 없겠죠
+ 25/09/25 07:39
수정 아이콘
양극화가 될거라고봅니다. 이러니저러니해도 최상위권은 ai고 자시고 그 존재감이 줄어들진 않을꺼고 다수는 연예인을 쓰는 돈 자체가 깎이는 방법으로 생존하겠죠. 저비용이면 나름 가성비가 되는게 사람이니 말이죠. 차은우 정도면 막차가 아니라 ai 시대가 되도 그 가치를 채울만한 체급은 되서 막차라 보긴 어렵습니다.
Lina Inverse
+ 25/09/25 08:08
수정 아이콘
라이온스게이트랑 영상ai업체 런웨이가 협업중인데 ai영화 관련해서 12개월째 삽질만 하고 있다는 기사를 봐서 아직은 단편이나 광고에 들어가는 수준에서 크게 발전 못한것 같더라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5630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3423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7469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3414 4
105065 [일반] 실제 용병들의 전쟁방식을 알아보자 [1] 식별512 25/09/25 512 1
105064 [정치] 흥미롭게 흘러가는 동해가스전 [15] 몰리3371 25/09/25 3371 0
105063 [일반] 차은우는 과연 막차를 탄 것일까? [7] 카레맛똥3204 25/09/25 3204 0
105062 [일반] [역사] 정반합으로 보는 기하학의 역사 [1] Fig.11270 25/09/24 1270 8
105061 [일반] '어쩔수가없다.'를 봤습니다.(강스포) [19] 헝그르르2117 25/09/24 2117 0
105060 [일반] 첫 애플 무선 이어폰,에어팟 프로3 간단 사용기 Lord Be Goja1927 25/09/24 1927 2
105059 [정치] 기득권과 극우가 이재명을 무서워하는 이유 [183] 갈길이멀다7080 25/09/24 7080 0
105058 [정치] 오늘날 한국 젊은이들이 느끼는 결핍은 [87] ipa6824 25/09/24 6824 0
105057 [일반] 아이폰17프로맥스 /간단 사용기 [36] Lord Be Goja4049 25/09/24 4049 5
105056 [일반] 트럼프 대통령, 유엔에서 주권 옹호하고 세계화 거부 [118] 유머8598 25/09/24 8598 4
105055 [정치] 무안공항 사고 관련으로 지난주에 SBS에서 기사를 내놓았는데 조사위원회가 사과를 한 게 있네요 [36] petrus7795 25/09/24 7795 0
105054 [일반] 여우와 사자의 전쟁 [1] 식별2573 25/09/24 2573 5
105053 [일반] [스포] 체인소맨 극장판 - 레제편 후기 [48] 한뫼소4232 25/09/23 4232 3
105052 [일반] 크라임씬 제로 1-4화 후기 (줄거리 언급 없음) [24] wannabein4330 25/09/23 4330 4
105051 [일반] 아세트아미노펜과 자폐증의 연관성 논란 [64] 여왕의심복9884 25/09/23 9884 73
105050 [정치] 국민의힘: 25일 본회의 상정 모든 법안에 필리버스터 [174] 다크서클팬더11843 25/09/23 11843 0
105049 [정치] [NYT] 김정은: 비핵화 요청 안하면 미국과 대화 가능 [63] 철판닭갈비7001 25/09/23 7001 0
105048 [일반] 일본 극우 성향 유튜버 [161] 요케레스11123 25/09/23 11123 1
105047 [일반] 트럼프 "美자폐증 급증은 타이레놀 탓… 쿠바는 자폐없어" [130] 유머10931 25/09/23 10931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