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1/04 10:1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577056?sid=104
 
[트럼프 "엔비디아 블랙웰 칩, 美외에 아무도 안 줘"(종합)] 2025.11.0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721834?sid=104 [MS, UAE에 22조원 AI 투자…엔비디아 칩 6만여개 상당 수출] 2025.11.04. 최신 GB300 기반 GPU 수출 허가도…UAE, AI 이용율 60% 육박 MS는 앞서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에도 상무부 허가를 받아 UAE에 A100 GPU 2만1천500개 상당의 GPU를 제공한 바 있다. 트황상님, 마소님 한국에도 좀...굽신굽신 저희 잘할 자신 있읍니다! 
	25/11/04 10:14
    
        	      
	(수정됨) 아래글 댓글에도 썼지만,
 
이렇게 되면 26만장 확보가 불투명해지죠.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있는 한, 미국과의 그 어떤 거래/약속도 믿을 게 못돼요. 나중에 어찌저찌 26만장 전량 제대로 들어오게 될 수는 있겠지만, 그럼 다행인 거고요. 최근 APEC 성과로 언급되는 것들 중 어떤 것이든 뒤집힐 수 있다는 잠재적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25/11/04 10:39
    
        	      
	 어차피 1~2년안에 26만장 준다는것도 아니었고, 벌써 선적했다는것도 아니니 아직은 MOU 체결 그이상 그이하도 아닌 수준이긴 하죠.
 
트럼프에게 [금관] 을 상기시켜주면서 수출허가도 받아내야하고, 엔비디아에겐 빨리 최신으로 달라고 제촉하면서도 국내 데이터센터 추가건설 및 전력망 구축도 해야하는 험난한 과정이 산더미처럼 남아있긴 하죠. 크크 그래도 우리나라 혼자 GPU 구하려고 버둥거리는것보다는 훨씬 낫다는 러키비키적 사고로 움직여야한다고 봅니다. 
	25/11/04 10:32
    
        	      
	 그래서 요즘 ai업체들 때문에 기후변화가 더 심각해지고 있다고 하더군요. 그 막대한 전력 소비를 충당하려고 전력 생산을 위한 공정을 대규모로 늘리니까요. 
 
	25/11/04 10:34
    
        	      
	 ㅠㅠ 지금도 여~~~~름이 너무 고통스러운데 참... 트럼프도 그렇고, 차세대 기술인 ai도 전기먹는 하마고... 
 
ai로 행복해지는것보다 기후로 불행해지는게 더 커버릴거 같은데 말이에요... 
	25/11/04 11:02
    
        	      
	 더 슬픈 건 AI의 과실을 따먹는 사람은 쾌적한 실내에서 거주할 것이고 오히려 AI와 연관이 적은 사람들이 기후 변화로 고통받는게 더 클 거라는 거죠. 
 
	25/11/04 10:33
    
        	      
	 당연히 않 좋죠. 그래서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해야 되는거구요.
 
실제로 중국에선 서부의 수력발전이 풍부한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동해안의 데이터수요를 서남부의 수력이나 서북부의 태양광 풍력을 사용해서 처리하는 식으로 추진하는 중입니다. 남부의 물을 북부로 서부의 석탄을 동부로에 이은 새로운 국책이죠. 
	25/11/04 11:18
    
        	      
	 여러모로 어두웠는데, 빛이 보이는 것 같네요. 잘 될 것 같습니다. 이제 과제는 GPU 26만장에 맞춰, 발전소와 송전망을 설치하는 것인 듯합니다. 전력 문제만 잘 해결한다면, 앞으로 우리나라 미래가 밝을 것 같습니다. 기업가들도 힘을 받고 있는 것 같고, 무역변화와 AI전환이라는, 지금 이 과도기적 시대에 정부의 역할이 큰데, 대통령이 이성적으로 현명하게 일을 잘 하고 있는 듯 보여서 기대가 됩니다. 그리고 인간의 힘이 중요하지만, 운도 따라주길 바랍니다. 무능한 전대통령이 불법 계엄을 하고 직에서 추방된게 어찌보면 운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 사건이 없었으면 많은게 달랐을 것 같습니다.  
 
	25/11/04 12:45
    
        	      
	 작년 나경원 : GPU 5만개 확보는 실현 불가능하다.
 
GPU 26만개 확보 기사후 나경원 : 깐부 치맥먹고 기업들이 낸 성과를 정부가 도둑질했다. 성과위조다. 
	25/11/04 12:50
    
        	      
	(수정됨) - GPU 26만개 수출은 미국 정부가 아닌 엔비디아의 뜻이고,
 
- 작년 나경원 의원은 미국 정부가 GPU 수출을 제한할 거라 5만개 확보가 불가능하다고 했고, - 실제로 어제 트럼프가 GPU 수출을 제한할 거라는 발언을 한 상황이라서, 사실 작년 나경원 의원의 예측이 아직 틀렸다고 판명 난 건 아닙니다. (최근의 도둑질 발언은 틀렸다고 보고요) 오히려 현재 기준으로는 수입이 불가능하고, 향후 트럼프가 입장을 바꿔야 수입이 가능해지는 상황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25/11/04 13:41
    
        	      
	 무엇보다 젠슨황이 직접 [정부가 유일하게 직접 구매 의사를 밝힌 케이스]라 말했죠. 최소 6만장은 정부 몫이고, GPU를 전략적으로 분배해서 AI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엔비디아의 의도를 생각하면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의지로 소버린 AI를 구축하려는 태도에 가점이 없었다고는 할 수 없을 겁니다. 
 
	25/11/04 13:18
    
        	      
	 트럼프 말의  영향도 있지만 여태까지 미친듯이 오른것부터 돌아봐야하고,
 
미국 증시 장마감후 하락과 지수선물도 하락중인 상태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6/0000115126?sid=101 ['파죽지세' 코스피에 '빚투' 대란…한 달 새 2조원 넘게 증가] 2025.11.03. 최근 상승에 올라탄 개미들이 많아서 단기적으로 보면 더 충격적인 하락도 충분히 발생 가능한 상황이죠. 
	25/11/04 14:46
    
        	      
	 환율만 보면 문재인이 최고의 경제 대통령이죠. 코로나 위기 중에도 1200 수준에서 원화가치를 지켜주신… 임기중에 오랜기간 고환율을 유지한 이명박 윤석열이랑은 차원이 다르죠 
 
	25/11/04 14:48
    
        	      
	 이제 6개월 되었으니까요. 윤석열은 임기내내 원화가치를 바닥으로 떨구었고요. 임기 끝난 대통령만 보면 문이 이명박 윤 대비 해서 완전 선방 했지요 
 
	25/11/04 14:58
    
        	      
	 lifewillchange 님// 임기 내내 가야 할지 봐야된다는 말씀이시죠. 문재인이 21세기 경제 대통령이었다는 사실에는 반박은 없는 것으로 알겠습니다 
 
	25/11/04 14:47
    
        	      
	 [그때랑 지금은 다르다] 라고 밖엔 할말이 없긴 하죠. 크크
 
어차피 현재는 굳이 개입해서 인위적으로 낮출수도 없는 상황이라 지켜보는수밖에 없긴 합니다. 
	25/11/04 16:11
    
        	      
	 환율은 쉽게 안 내려갈 것 같습니다.
 
1200대는 당분간 불가능할 것 같고, 1400~1500쯤에서 안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국한테 삥 뜯기는 것도 있고, 환율이 높아야 관세 오른 효과를 상쇄하는 이점(?)도 있어서... 
	25/11/04 16:50
    
        	      
	 제조기반이 무너지지 않았으면서 정부가 AI를 하겠다고 나선 나라가 중국외엔 우리밖에 없죠
 
어차피 중국에 팔수 없는 점이랑 제조데이터로 얻는 physical AI(+로보틱스)가 차기 시장인 건데 선점을 하려고 하는 것 같아요 게다가 애플이 대량으로 디램을 선주문하는 바람에 HBM이랑 가격차가 별로 나지 않게되어 공급자 주도 시장이 되려하니 엔비디아 입장에선 더 이상 삼성이랑 티격태격할수 없게 된것 아닐까 해요 HBM관련 양상이 달라진게 학습용카드는 엔비디아가 거의 독점에 가깝게 유지 가능하지만 추론용카드는 이제 왠만한 로직 반도체 회사에서 너도나도 출시할 예정이라 HBM을 나눠 공급받아야 합니다 간접적으로는 GPU데이터센터가 안정적인 전력공급도 중요해서 앞으로 종종 한국와서 전기인프라 설비도 체크하지 않을까해요 이재명대통령도 GPU가 인프라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업적을 남겼던 과거 대통령들이 인프라를 한건씩 한게 있죠(경부고속도로, 초고속인터넷망) 대한민국 사람들이 판만깔아주면 그 위에서 잘 노니까 그 선택은 늘상 옳게 작동한 것 같습니다 
	25/11/04 17:01
    
        	      
	 https://youtu.be/1QSXUPtRHas
 
[AI와 대한민국 그리고 저, 이재명의 미래가 궁금해서 왔습니다 | 오피큐알 OPQR | 모두의 질문Q] 2025. 3. 2. 여기 나가서 영감을 많이 받았나 싶긴 하더라구요. 그래서 같이 출연했던 옆에 앉은 사람도 나중에 납치(...) 
	25/11/04 17:39
    
        	      
	 달리 말하자면, 한국도 AI에 과감하게 베팅하겠다고 결심한 거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게 잘 안 될 수도 있는 일이고, 거품일 수도 있는 일인데, 위험을 감수하고 모험하는 거라 해석할 수 있는 거라 봅니다. 
 
누가 가장 크게 베팅했는가를 놓고 볼 때, 미국과 중국 다음에 한국이라는 얘기가 될 것이고, 그게 성공할 경우 이로움을 크게 얻는 것도 미국과 중국 그리고 한국이란 얘기가 될 것입니다. 반대로 성공하지 못하고 최종적으로 거품으로 끝난다면, 상대적으로 유럽이 흥할 테고요. 5만장이었는데 26만장으로 늘렸다는 것은 그만큼 더 크게 베팅한다는 얘기이고, 그에 맞춰 발전소 ・ 송전망 ・ 배터리를 늘려야 할 것이며, 그러한 인프라 투자를 했는데 손실로 끝나지 않으려면, 규제개혁 압력이 강해져 AI에 유리한 법과 제도들이 만들어질 가능성도 커진 거라 봅니다. 베팅하지 않았으면, 유럽처럼 규제 강화를 하기 쉬울 테지만요. 결국 AI의 흥망에 한국도 엮여 들어가게 된 거라 봅니다. 한국정부에 의지가 보이니, 엔비디아도 결단을 내린 것일테고요. 엔비디아 + 삼성 이렇게만 해도 수직으로 처음부터 종말까지 모두 엮이게 되는 것도 주목해볼 부분이라 봅니다. 삼성과 SK가 반도체를 공급하고 엔비디아가 GPU와 그에 엮인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그걸 다시 삼성이나 현대가 구입하여 제품 및 서비스를 만들고 소비자가 구입하는데까지 전부죠. 깐부 퍼포먼스가 있었지만, 한국의 대기업들이 이렇게 엮여 들어가니, 이 역시 AI 흥망에 국운이 걸리게 된거라 해석할 수 있다고 봅니다. 
	25/11/04 18:58
    
        	      
	 트럼프야 뭐 하루가 멀다하고 말을 바꾸는 사람이라, 이번에 허가를 해줬더라도, 선적할때쯤 돼면 또 안된다고 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일수도 있는거죠. 
 
	+ 25/11/04 22:49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96820
 
[트럼프, '엔비디아 첨단칩 봉쇄' 선언...韓 블랙웰 공급 어쩌나] 2025.11.04.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엔비디아 최첨단 칩의 중국 판매를 허용할 것인가'라는 질문이 나오자 "아니다.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674485?sid=100 [李대통령 예방한 헤그세스 "핵잠 확보 통한 국방력 강화 적극 지원"] 2025.11.04. 미국 국방장관도 와서 핵잠 이야기 하고있는거 보면 트럼프가 직접적으로 [한국에 블랙웰 팔지않겠다]라고 선언하지 않는한 별일없길 기도해야죠... 
	+ 25/11/05 00:02
    
        	      
	 상관없었으면 좋겠는데, 
 
그의 의중은 뭐 뚜껑 까보기 전에는 알 수가 없죠. 뚜껑 깐 뒤에도 손쉽게 뒤집는 양반이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