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28 21:46
본문에 매우 동의하지만, 윗분 말씀대로 하지만 젊은 자신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돌아가지 않을까요?
지금이 살기 좋음에도 옛날을 그리워 하는 건 이런 이유지 싶어요.
25/09/28 21:49
아, 그리고 기술 문명 말고 문화도 옛날로 돌아가야...
그러면 나이와 자리가 깡패가 되는 시절이라 의외로 괜찮을지도....? ㅠㅠ
25/09/28 21:58
전생 지식 없더라도 성장률 8-10% 대한민국 vs 현재 대한민국이라면 전자 고를 사람 꽤 있을걸요 지금도 에어컨 제대로 못쓰는 사람 적지 않고 양변기도 80년대 후반만 해도 가정마다 보급은 되어있으니 인프라 불편함은 성장의 단맛에 비할바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 많을듯
+ 25/09/29 00:03
음. 방글라데시가 세상에서 행복도가 가장 높은 나라라는 거랑 비슷한 거 아닌가요? 절대적 빈곤 대 상대적 빈곤. 8090년대는 현재와 비교하면 절대적으로 못 살던 때예요. 아예 비교가 안 돼죠. 과연 그 시절 성장률이 높았다고 더 만족스러울까요?
25/09/28 21:58
지금의 삶의 편의성을 아는 사람이 돌아가면 불편하겠지만 그걸 모른 상태라면 딱히 상관있으려나 싶습니다. 사실 주6은 지금도 그렇게 일하고 있어서 상관없...
25/09/28 22:03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
영하 30도 야외취침. 인터넷 핸드폰 안됨. 온수샤워 불가. 주 7일제. 당연히 군대 이야기. 그래도 제법 잘 적응 하더라구요.
25/09/28 22:26
에?
(스위치 생겼을 때 마딧세이 젤다 던져두고 슈마/슈마3/슈마월드부터 클리어한 인간 - 20년에 3080 데탑 맞춰서 파판7부터 클리어 했습니다. )
+ 25/09/28 22:33
전 스위치로도 옛날 패미컴 슈퍼패미컴 메가드라이브 겜 해서...사실 제일 큰문제는 저의 극악으로 떨어진 피지컬이더군요. 머리로는 어떻게 해야할지 알지만 손이 안따라주는...
25/09/28 22:20
가정집에는 90년대에는 양변기 없는집이 드물었던거 같고
상가나 학교 공공화장실 같은 곳은 00년대는 되어야 양변기가 일반화되었던것 같긴 합니다.
25/09/28 22:21
도대체 저런 글을 쓰는 사람은 나이가 얼마이길래 양변기에 에어콘 타령이죠? 그리고 솔직히 차량 내비나 자동변속기는 있으면 편하지만 없어도 그만이고, 군대는 이미 남들보다 더 오래 다녀왔고, 주 6일제는 커녕 7일제 처럼 일하고 있으니 저는 옛날이 좋았다고 말할 자격이 있겠군요.
25/09/28 22:21
인프라나 각종 편의성이야 '과거의 나' 의 행복도에는 상관없다라고 할수도 있겠지만
군대랑 주6일은 진짜 이건 좀..인데. 이거까지 상대적 행복이라고 하면 예전 방글라데시 행복도도 다 인정해야
+ 25/09/28 22:58
과거로 돌아가고 싶다는 건 그냥 부에 대한 기회비용으로 저 편의성을 얻겠다는 말에 가깝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거에 비해 삶이 편해진 것도 맞고, 근데 이제 와서 보면 부자가 될 기회도 거기 있었던 거 같고.. 그런거죠 뭐
+ 25/09/28 23:04
젊은시절로 돌아가고 싶다면 그럴 수 있는데, 진심으로 8,90년대가 더 살기에 좋았다는 사람들이 있죠. 치안도 좋고, 정도있고, 물가더 싸서 먹고살기 더 편했다고..
+ 25/09/28 23:09
자산 격차가 너무 커져서 젊고 가능성이 있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 분들 꽤 있을 것 같습니다.
서울에서만 30년 넘게 살고 있지만 요즘 집값 보면 서울 중심지는 하나의 성채가 된 것 같은 느낌이네요.
+ 25/09/28 23:26
동의하지 못하는게, 전 예전과 지금이 다른건 결국엔 정보량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고, 정보량이 줄어들면 결국엔 행복해집니다. 매일 12시 퇴근하고 1달에 하루쉬는 생활 하다보면, 갑자기 한가해져서 정시퇴근하고 주말이틀 쉬면, 그것도 그거대로 적응 안되더라구요.
+ 25/09/28 23:34
고도성장기 및 소련 해체 전후 노동소득 증가율이 종종 경제성장률이나 자산가격 상승률보다 높은 때도 있었죠. 소득가격 대비 주택가격도 지금보다 훨씬 낮았고, 대기업-중소기업 간 격차도 낮았으며, 외벌이도 많던 시절입니다. 노동시장 이중구조 및 계급 재생산에 의해 대충 상위 10%에 속한다면야 의견이 갈릴지 모르겠지만, 소위 중간값 이하에 사는 대다수 사람들의 삶에 있어서 지금이 더 좋을지 의문입니다.
+ 25/09/28 23:53
이건 뭔 헛소리인지 모르겠네요. 80-90년대 월급이 얼마였는데 이때가 행복했다니요. 일반 중산층 가정이라도 먹고 싶은 거도 마음껏 못 사먹었어요. 외식도 거의 못 했고요. 배부른 소리도 정도껏 해야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해외여행 할 수 있는 시대를 살면서, 뭐 옛날이 좋았다고요?
+ 25/09/29 00:12
자신과 다른 생각을 한다고 다 헛소리라고 얘기하는 것은 너무 나갔네요. 행복의 절대적 기준을 스마트폰, 외식 횟수, 해외여행 등으로 보면 헛소리처럼 느껴지겠지만, 그보다 다른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살아가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리고 80~90년대 월급을 지금 수준과 비교해서는 안되죠. 물가상승률을 감안해야 합니다. 오히려 은행 예금이자만 20% 달했던 시대이니 그때가 더 좋았다고 느끼는 것도 이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25/09/29 00:17
행복의 절대적인 기준이 문제가 아니라 생활의 절대적인 수준이 나아진건데요.
통금에 금지곡 같은 문화적 차이가 납니다. 안전 측면에서도 각종 사고도 더 많이나고 납치같은 치안문제도 더 심했고요. 다른가치가 뭔지 모르겠습니다만 나이가 젊어지는게 아니라 그냥 지금 상태로 과거로 가는거라면 좋은점 찾기가 쉽지 않을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