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10/16 17:04:30
Name Part.4
Subject [질문] 저녁만 되면 컨디션이 나빠지는 현상에 대해
환절기만 되면 비염이 심해져 콧물을 달고 삽니다.
코감기가 겹치면 물을 먹으면 5분안에 콧물로 합성됩니다.

그런데, 이런 증상은 출근후 늦오전~오후 정도까지는 전혀 없다가
슬슬 저녁이 올때쯤 되면 다시 콧물이 흐르고 감기증상이 도드라지고, 컨디션이 안좋아집니다.
결국 잘때쯤이면 코가 막히고 눈물이 흐르고 하여간 불편해서 비염약이나 코감기약을 복용해야 잠을 좀 편하게 잡니다.
이런 패턴때문에 뭔가 병원가기도 애매할때도 있고, 이런 패턴으로 증상이 발현된게 하루이틀은 아니고 꽤나 옛날부터 이랬기때문에
그냥 그려려니 살고는 있는데요
막상 병원(양방)을 가서 왜 위와같은 패턴으로 안좋을까요? 라고 물어보면 뭔가 의학적으로 이렇기 때문에 이렇다 라고 정확한 답변을 들은것 같지가 않다 이말입니다.

그래서 궁굼한게
양방의학쪽으로 이런 패턴의 컨디션 난조 증상이 나타나는 것에 대해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는 이유가 있을까요?
(한방쪽은 음양 뭐 그런설명을 할 거 같아서)

미리 답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금바로여기
25/10/16 17:14
수정 아이콘
늦은 오전~오후까지는 하루 중 온도는 가장 높고 습도는 가장 낮아지는 때입니다. 온습도 외 다른 변수는 잘 떠오르질 않네요. 굳이 더 꼽자면 낮에 일하는 장소가 아침 저녁에 있는 곳보다 더 퀘적하다던지... 장소가 동일하다면 온도에 따른 증상 발현, 습도에 따른 증상 발현 두 가지로 실험해 보십시요.
저도 비염 증상자로서 뇌피셜로는 온도가 더 큰 변수 같습니다.
25/10/16 17:29
수정 아이콘
요것도 체류하는 공간이 사무실이든 집이든 비슷한 패턴을 보입니다.
지금도 슬슬 콧물기운이 솟아올라서 약하나 먹었네요
아케르나르
25/10/16 17:16
수정 아이콘
혹시 집에 알러지 유발 요인이 있는 거 아닐까요?
러신머닝
25/10/16 17:18
수정 아이콘
환절기에 심해지는건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온도와 일교차 때문일텐데 출퇴근하면서 야외 추운 공기에 노출돼서 그런게 아닐까요?
낮에는 따뜻하고, 사무실 근무면 환경도 괜찮을 것으로 보이고요.
로즈엘
25/10/16 17:20
수정 아이콘
주말에 집에 있을때 낮에도 증상이 있다면 집 주변 환경에 요인이 있다고 봅니다.
저는 기숙사 생활이라 주말에 집에 가는데, 주말에 증상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25/10/16 17:26
수정 아이콘
요건 휴가때 암것도 안하고 집에서만 누워있던적이 있습니다.
결과는 같은 패턴이에용 흐흐
낯에는 괜찮다가 저녁되니 다시 콧물 주륵

낯에 고양이처럼 햇빛 받으며 누워있긴 했지만요
25/10/16 17:23
수정 아이콘
비염 증상 + 집이나 집 주변에 알러지 요인이 있지 않나 싶은데,
집안 온도 습도를 가능한 일정하게 유지하고
생각나는 요인을 정리한 뒤 ai랑 맞춰서 하나하나 확인해보세요.
자유형다람쥐
25/10/16 17:41
수정 아이콘
집이나 집 주변에 저녁에만 발생하는 이벤트 혹은 환경의 변화가 뭐가 있는지 먼저 체크하는 게 가장 우선이겠고,
정말로 그런 유발요인 없이 알러지 반응이 발생한다면 체내에서 원인을 찾아야겠죠. 근데 서카디안 리듬과 연관되어 알러지 반응이 발생하는 건 흔치 않아서요.

제 생각으로는 저녁에만 누군가 담배를 핀다거나, 이불에 알러젠이 있는데 하루 종일 집에 있더라도 낮에는 이불을 안 덮고 늦은 오후부터 이불을 덮는다던가... 등이 있겠네요. 일단 침구류 포함 집청소를 한번 제대로 해보고 그래도 호전이 없으면 병원에서 알러지 검사 해보시는게 낫겠네요.
BlueTypoon
25/10/16 17:43
수정 아이콘
환절기에 비염으로 비슷한 경험을 하는편인데 외부 공기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보통 밤중에는 알레르기 요인이 적어서 아침까진 덜하다가 이후로 시간이 지나면서 알레르기 누적으로 컨디션이 악화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근거로는 마스크를 안쉬고 쓰고있으면 증상이 덜하고 며칠동안 밖에 안나가는날 집에도 알레르기 원인 없이 환기도 안하면 증상이 쭉 없습니다.
25/10/16 17:45
수정 아이콘
한 가지 내용을 덧붙이자면,
예전부터 흐리고 비오는날과 쨍쨍한날의 컨디션 차이도 꽤 있는 편이었습니다.

그리고, 말씀 많이 주신 것 같이 뭔가 생활 환경적인 요인은 아닐꺼 같아요,
컨디션이 안좋은 기간에는 집이든 사무실이든 여행을 가있든 안좋아지는 패턴은 비슷하거든요

그렇다면 결국 범인은 제 안에 있는 것 같은데...
덴드로븀
25/10/16 17:48
수정 아이콘
여행가서 호텔에 잠을 자도 상태가 항상 똑같다면 그냥 유별나게 밤에 몸이 약해진다고 보는게 맞을것 같기도 합니다.

코세척 자주 해보셨나요?
25/10/16 17:51
수정 아이콘
코세척도 자주 했었다가 지금은 또 안하고 있긴 한데,
증상이 있어서 코세척한다기보단
평소에 관리 차원에서 코세척을 했어가지고..
막상 코세척하면서 관리했을때 증상은 덜...했던거같기도 하고 가물가물 가물치네요;
덴드로븀
25/10/16 17:46
수정 아이콘
주말에 적당한 4성급 이상 호텔 가서 1박 호캉스 해보세요. 똑같은지...
앙몬드
25/10/16 18:01
수정 아이콘
진심으로 소름돋았습니다 저랑 완벽히 똑같으십니다..
네이버후드
25/10/16 18:35
수정 아이콘
알레르기성 비염일 확률이 90% 넘으시는거 같은데요
Mrs. GREEN APPLE
25/10/16 18:40
수정 아이콘
코르티솔 분비량이 아침과 낮, 저녁 차이가 있다고 들었는데 혹시 그때문이려나요
Pure Aero 98
25/10/16 20:01
수정 아이콘
체내 스테로이드가 밤에는 거의 안나와서 그렇죠
밤에 더 아프고 그런건
봉그리
25/10/16 20:25
수정 아이콘
알러지내과나 알러지 주로 보는 이비인후과 가셔서 MAST 혈액검사 먼저 해보시고 의심되는 알러젠에 대해서 유발검사 한번 해보세요. 침구에 진드기라든가 오래된 나무 가구 안에 먼지다듬이벌레라든가 그런게 있을수도 있고 위에분들처럼 그냥 체내 스테로이드 양때문일수도 있고. 누워 자니까 하지 몰렸던 혈액이 상체로 몰려서 그럴수도 있고? 가능성이 높은 것부터 차례대로 검사하고 바꿔보고 하면 좋아지겠죠? 사람 고치는 것도 고장난 컴퓨터 고칠 때와 은근 비슷합니다.
리얼포스
+ 25/10/16 21:12
수정 아이콘
궁금하실 순 있는데 사실 증상 개선이랑은 크게 상관이 없을겁니다.
심한 시기면 괜히 고생하시지 말고 그냥 항히스타민제를 매일 복용하시는게 속편해요
비강 스테로이드는 쓰시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3651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6692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6851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20152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2469
181923 [질문] 샌프란시스코 경유 여행지 질문입니다. [2] 빅픽쳐404 25/10/16 404
181921 [질문] 저녁만 되면 컨디션이 나빠지는 현상에 대해 [19] Part.41383 25/10/16 1383
181920 [질문] 갑자기 스캔이 안됩니다 (인쇄는 됩니다) [3] BK_Zju748 25/10/16 748
181919 [질문] 이정후 선수의 MLB 플레이는 성공인가요 실패인가요? [26] 똥천재2357 25/10/16 2357
181918 [질문] 일본 호텔 예약 질문 [17] Robotics1761 25/10/16 1761
181917 [질문] 마흔살 남자들 pc방펜션 할만한게임 여쭤봅니다. [34] 평화와사랑1829 25/10/16 1829
181916 [질문] 선물용 디저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유유할때유1050 25/10/16 1050
181915 [질문] 윈도우11 설치 미디어가 안만들어집니다 [3] 개념은?1890 25/10/15 1890
181914 [질문] 은가누 vs 정찬성+최두호 [43] Pure Aero 983924 25/10/15 3924
181913 [질문] 자동차 구매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LeNTE3218 25/10/15 3218
181912 [질문] 헬로비전 인터넷은 어떤가요? [7] 탄야2569 25/10/15 2569
181911 [질문] 확률형 아이템이 최대한 배제된 로그라이크 게임 있을까요? [5] 라온하제2763 25/10/15 2763
181910 [질문] 배틀넷 런처 로그인 풀림 질문 [4] Love.of.Tears.2772 25/10/14 2772
181909 [질문] 컴퓨터용 의자 추천 부탁드립니다. [9] 보로미어2710 25/10/14 2710
181908 [질문] 회차반복을 싫어하는 사람이 활협전을 해도 될까요? [9] 카오루3017 25/10/14 3017
181907 [질문] 주식차트 질문 드립니다. 하율아범3057 25/10/14 3057
181906 [질문] PC에서 사용가능한 간단한 채팅 프로그램이나 웹사이트 추천부탁드립니다. [12] 꿀멀티2421 25/10/14 2421
181905 [질문] 첫 풀 마라톤 나갑니다.. 조언 있나요...!? [7] Alfine1385 25/10/14 13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