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7/04 20:33
예전에 스1시절 엠겜이랑 온겜이랑 2원중계 할때도 엠겜 옵저버 들어오지 않았나요? 가상으로 랜처럼 인식하게 하는 기술이나 혹은 현장에서 옵저빙하면서 화면만 따올수도 있을거 같고 방법은 많지 않을까 싶습니다.
13/07/04 20:31
저는 이경기보다 다음 경기가 너무 기대됩니다.
조성호와 조성주...호주매치.. 뭔가 협회의 중견과 연맹의 중견, 협회의 신성과 연맹의 신성과의 대결, 양진영의 평균실력들의 대결이라는 느낌이 물씬납니다. 실력도 비슷해 보이고 참 재밌을거 같고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너무 기대됩니다.
13/07/04 20:34
그렇긴 한데요...
조성주나 조성호나 다들 너무 어린 선수들이라 그런 생각이 듭니다. 크크 그러고 보니 조성주 선수가 그렇게 경력이 오래된 선수였는지 몰랐네요..^^
13/07/04 20:35
갠적으로 김태형 해설은 엄재경 해설보다도 만담과 해설 두가지 모두 밀리네요.
박-엄 조합도 상당히 괜찮던데... 그냥 김정민해설 홀드시키고 박-엄 번갈아 쓰는것도 괜찮아보입니다.
13/07/04 20:37
생각해봤는데 온게임넷 해설진의 문제점이 저는 초반에 박태민해설이라고 생각했는데 최근 해설들어보면 상당히 괜찮어진거같네요.
결국 김태형해설이 문제인데.. 그자리를 이승원해설이 들어가면 밸런스가 상당히 맞을꺼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실내무도 결승에서도 호흡이 상당히 좋았죠. 근데 시즌내에 해설을 교체할리는 없으니..
13/07/04 20:39
오늘 많이 쓴소리 들었으니 다음경기에는 좀 나아지지않을까 싶습니다.
다른때는 그런데로 잘 하셨는데 오늘은 좀 아닌 모양이네요..
13/07/04 20:39
근데 사실 스1때도 해설 문제 이야기 엄청 나왔는데도 똥고집이었는데, 지금 스2에 와서 이정도로 많이 양보한거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더 물러설 생각은 없을듯한 느낌입니다. 김태형 해설이 스타리그도 안하면 해설자로써의 입지가 위태로워 지기도 하는데 또 그렇게 되는건 원치 않네요..
13/07/04 20:41
엄재경 해설은 경기 보는 눈도 조금 늘긴했지만, 그것보다 포지셔닝을 잘하고 있는것 같아요.
주 해설은 다른 파트너에게 일임하고 한발 물러서서 부연설명, 추가해설, 상황 되짚어보기 등에 주력하는 모습이고, 이런쪽에선 워낙 좋은 입담에 스2 경험도 늘어서 상당히 좋더라구요. 그래서 혼자서도 op인 해변김이나 게임 보는 시야가 괜찮은 박태민 해설과 모두 괜찮은 모습 보여줬구요. 저는 이승원 해설이 슬슬 한자리 해야할 때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인천 실내무도 결승전에서도 박태민해설과 좋은 호흡 보여줬구요.
13/07/04 20:36
다른 운영을 선택한 정윤종 선수네요. 이번엔 일반적인 불사조 운영으로 시작하겠네요. 1관문에 인공제어소 까지 올라간 상태의 더블일때나 빠른 광전사 찌르기가 가능한거니까요.
13/07/04 20:43
경기를 심도있게 보는 눈은 박태민 해설이 놀라울 정도로 정확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나 저그전의 경우 선수의 아주 작은 행동으로도 뭔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아주 정확하게 맞추더군요.. 선출 해설이 가진 매력이 있는 거 같습니다.
13/07/04 20:47
아 촉수가 정말 꼼꼼하게 매설되 있네요..
신대근 선수 왜 1경기 후에 무슨 약이라도 한겁니까? 아니 이렇게 다른 사람이 된거 같네요..
13/07/04 20:49
광물 남는데, 가시 촉수 확장마다 지는 것은 물론이고, 추가 확장에 대군주로 미리 점막 늘려놓고 나서, 가시 촉수부터 이동시켜놨어도 될 일이었죠.
13/07/04 20:54
제 생각에는 경국 저그가 이길거 같은데요?
라고 쓰니까....감염충을 완전히 조공해 버리네요..크크 다시 이형섭감독이 돌아오신건가요?
13/07/04 20:54
신대근선수 장기전 운영이 안좋은데요. 뭔가 밀어내는 솔루션이 없는거 같아요. 살모사라도 뽑아서 공허 하나씩 납치해서 소모시키기라도 해야되는데요.
13/07/04 20:56
현장에서 대규모 스크린으로 보면 폭풍함 타격감 정말 스펙타클하죠..
고통받았던 관중들 나름 보상을 받네요.. 거기에 모선까지 후덜덜;
13/07/04 21:00
유려하고 우아한 디자인은 브루드워에 이은 프로토스의 전통이죠 :)
토스뿐 아니라 저그는 더 징그러워져고 테란도 더 메카닉스러워지고 뭐 흐흐
13/07/04 20:59
예언자의 '계시'란 기술입니다. 해당 효과를 받은 적 유닛은 프로토스와 시야가 공유됩니다.
모선은 모선핵에서 광자 과충전이 빠지고, 대규모 은폐가 들어가는 대신, 전반적인 능력치가 향상됩니다.
13/07/04 20:59
아쉬울수밖에 없을거에요. 자원 5000쌓아놓고 어떻게 싸워야 할지 몰라서 진짜 쓸데없는 자원낭비만 하다가 진거나 다름없거든요. 아쉽네요 신대근선수.
13/07/04 21:04
신대근 선수는 숙소가서 이거 리플레이로 다시하기 기능써서 중반 20분대에 상대 병력을 밀어내는 방법이나 안전하게 10가스 이상을 먹는 방법을 연구해야될거같아요. 너무 아무것도 못하고 꽁꽁묶였죠. 겨우 1시쪽은 광전사만으로만 견제했는데 말이죠.
13/07/04 21:05
그러네요..
오늘3경기 중반까지의 운영은 어떤 프로토스도 이길수 있었습니다. 후반 운영만 조금 가다듬으면 토스 상대로는 예전 폼을 찾을 거같네요..
13/07/04 21:07
더불어 견제에 휘둘리지 않는 연습도 해야겠죠.(이게 10가스 안전하게 먹는것과 직결되겠지만요)
첫 분광기 아무것도 못하게 잡는것 까지만 딱 좋았고 그 이후로는 광전사 견제에 미친듯이 흔들리면서 경기 완전히 내준거니..ㅠㅠ
13/07/04 21:04
대체 아킬론황무지는 테서터 무덤이라도 있나요?
토스의 장기전 역전 경기가 이렇게 많이 나오나요? 기억 나는 것만, 원이삭, 김유진, 허영무, 정윤종 4개네요
13/07/04 21:06
물론 멀티끊은 정윤종 선수가 잘하긴 했지만 근본적으로 신대근 선수가 상대방 병력과 제대로 맞싸움 하는 방법이 없는이상 40분 경기가 50, 60분으로 지리하게 늘어지는 효과 이상은 없을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13/07/04 21:05
아쉬운 부분이 추가 확장 수비가 끝날 때까지 계속 허술했다는 점과 여왕이 중후반부터 숫자도 적고, 관리가 안 되어서 점막 관리도 별로였다는 점, 살모사의 부재로 프로토스 상대로 억지로 전면전만 하다가 쓸데없이 자원 다 소모했다는 점이네요.
13/07/04 21:12
오늘 경기 예측을 보면 어윤수, 이신형, 정윤종까지는 많이 계십니다. 그런데 다들 조성주 선수를 써서 조성호 선수가 이기면 당첨자가 없습니다.
13/07/04 21:14
테란 상대로는 사신 진입로가 좁아서 초반이 안전한 점이 좋고요. 제2확장도 가져가기 편하고, 8가스까지가 굉장히 무난하게 가져갈 수 있는 편이라서 프로토스가 괜찮습니다. 반대로 저그나 테란이나 8가스 이후 확장을 프로토스에게 견제 당하기 쉬운 구조고요.
13/07/04 21:14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D조는 네 선수 다 비슷비슷한 것 같습니다.
엊그제 김영진 선수도 수싸움이 좋았지 운영능력이 좋았다는 느낌은 안 드네요.
13/07/04 21:11
신대근 선수가 멀티 경로를 어떻게 잡아야 할지 제대로 판단을 못한거 같네요. 7시라인을 더 전진하던지 아니면 1시쪽을 더 좀더 신경쓰던지 했어야하는데... 2군데다 신경쓰다가 못 먹은 느낌입니다.
13/07/04 21:15
유망주간의 대결입니다...
일단은 조성주 선수가 조금 유리해 보이긴 하는데.,,, 조성호 선수의 스파링 상대가 이신형임을 생각해 보면...또 모를거 같습니다.
13/07/04 21:17
조성호만 이기면 프로토스 유일한 1패가 원이삭이 되네요. 그래도 스타2 경력만 보면 16강 진출한 프로토스 중에는 원이삭이 제일 긴 상황인데요
13/07/04 21:36
아이고 초반에 상당히 분위기 좋게 가져갔었는데.. 암기 대처가 너무 안좋았네요.
암흑성소는 못봤더라도 황혼의회에 분광기까지 봤던걸로 기억하는데.. ㅠㅠ
|
||||||||||
어윤수 v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