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3/20 18:39
안녕하세요! 헤더입니다 크크크크크크
오늘 경기 기대되네요! 키토님의 불판! 저는 오랫만에 보는거같네요..크크크 오늘 잘부탁드립니다! 고기는 언제나 준비되어있습니다~
14/03/20 18:42
나그네는 지난번 페이커 맞대결을 떠올려야 합니다.
롤드컵에서 그 라인전..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페이커를 무너뜨릴 필요는 없어요. 버티는데 주력해야합니다.
14/03/20 18:49
어제 쉴드 2경기 보셧으면 왜 레넥 쉬바나가 쓰이는지 아실듯.... 초반에 끝내지 못하면 중반이후 후반으로 흘러가면 리스크가 너무 큽니다.
좀더 유리해도 한타가 불리해요..
14/03/20 18:55
똑같이 2차 밀고 블루쪽에서 용을 무조건 가져가는게 요즘 메타던데 이러면 블루가 살짝 유리한거 아닌가요 진영 유불리면에서
14/03/20 22:05
3시간 타임 워프라도 한건가 아니 이게 뭐야...
pgr이 이제 살아났네요. 어쨋든 오늘 2,3경기는 정말 꿀잼이었습니다 크.
14/03/20 22:07
두부에러 ㅠㅠ
그래도 경기는 재미있었네요. 나진이 졌어도 정말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임팩트의 패기와 피글렛의 베인이 마지막 경기 정점을 찍었네요.
14/03/20 22:10
PGR도 터지고 SKT 3G는 안되고 와이파이 찾아서 경기 겨우 봤네요 ㅠ.ㅠ
재밌었습니다. 이겨서 다행이지만 SKK가 다시 좀더 치밀해졌음 좋겠네요 흐흐
14/03/20 22:12
역대급 경기여서 불판 엄청 흥했을 것 같은데 ㅠ
진짜 꿀잼이었습니다 1경기 소드의 탄탄한 운영과 2,3 경기 쉴드의 끈기 2,3 경기 SKK의 괴력 (...는 페이커 임팩트) 그리고 갓벤에서 다시 타오르는 SKT 내전 주작설;;
14/03/20 22:14
중간에 끊기는 경우도 많고 불안불안한데 한국 롤 대세랑 거리가 먼 픽도 자주하고..스크크 팬으로서 오랜만에 쫄깃쫄깃한 시대가 왔네요 크크
14/03/20 22:14
SKK는 운영 능력은 많이 줄어들었지만 개인 기량은 여전하네요. 단 캐스퍼가 너무 못하고 거기에 오더까지 빠지니 SKK의 클래스가 한단계 떨어진게 확실히 보였고 쉴드는 4강급 클래스로 올라왔네요. SKK가 내전에서 진게 정말 치명적인건 '쟤네들도 사람이다. 흔들린다' 라는걸 다른팀들에게 확실히 보여줬기 때문이죠. 오늘 경기로 그런 인식이 더욱 확고해질것 같네요. 블레이즈,오존,KTB에게는 참 희망적인것 같아요.
14/03/20 22:15
2경기 : 임팩트 페이커 둘이 손잡고 초수퍼울트라 하드캐리 특히 임팩트... 간만에 꺼낸 쉔으로 그리고 페이커 룰루는 대단한게 막싸움 구도로 들어가면 쉴드 딜라인이 룰루 하나 때문에 정말 아무것도 못하게 되버리네요
3경기 : 조합 자체는 베인 밀어주는 조합 느낌이 강했는데 미드에서 갱을 몇 번을 맞아도 꺾이지 않는 페이커 오리아나에(르블랑 상대로 점화에 딜교환을 두려워하지 않는 패기) 초중반까지 꿍 르블랑의 차곡차곡 쌓이는 스노우볼 때문에 르블랑 하나로 게임이 말릴 수 있는 상황에서 임팩트 레넥톤이 3킬+1킬로 맥을 확 끊어버렸고 결국엔 믿음의 베인 하드캐리 + 엄청나게 성장한 오리아나의 힘으로 이겨버렸네요 (리신이 우연이라기엔 베인 근처에서 계속 스킬샷을 맞아주는 장면이 인상깊었습니다 kda로 설명할 수 없는 기여도) K가 확실히 롤챔 우승까지의 압도적으로 찍어누르는 맛은 예전만 못해졌는데 그때문인지 경기는 점점 더 꿀잼이 되어가는 듯 하네요
14/03/20 22:16
3경기는 정말 캐스퍼가 르블랑에게 죽으면서 르블랑이 살아가나 하는 장면에서 임팩트가 쿼드라를 찍은게 결정적이었던것같습니다.
그 그림에서 레넥톤이 아이템을 확 땡겨 왔고 쉬바나랑 1:1 도 안밀리고 앞라인서 딜 다 맞고.. 페이커 피글렛이 딜할수있는 각을 제대로 만들어 줬죠 거기다 벵기가 리신으로 앞에서 CC기 다맞으면서 어그로 뺀것도 한몫했구요. 전반적으로 양팀다 매우 잘한 경기 입니다만 아직도 SKT K는 강하다 라고 압축이 될만한 경기였다고 봅니다. 그나저나 다른팀들이 따라 온건지 SKT K가 떨어진건지 모르겠습니다만 이번 롤챔스 8강부터는 꿀잼 예약으로 생각 되네요.. 생각보다 잘버티고 생각보다 잘몰고있어요 다른팀들이 하지만 승리는 SKT K...
14/03/20 22:52
그 장면에서 쓰레쉬가 사형선고를 던지는 대신 랜턴을 던져서 르블랑을 빼냈으면 어떻게 됐을지 궁금하네요 ㅜㅜ
쉬바나는 혼자 궁써서 용을 덮치더니 점멸로 다시 올라오고, 제일 아쉬웠던 장면이자 제일 중요했던 장면이네요
14/03/20 22:20
SKK가 무서운건 분명 '예전보다 많이 약해진 거 같다. 특히 운영은 푸만두 있을 때랑은 비교도 안되는듯'이라는 평가를 받는데, 문제는 그 운영실력만으로도 4강급입니다;;
확실히 K가 약해지니 경기가 재밌네요. 앞으로 이정도만 하기를 크크
14/03/20 22:23
화이트실드의 아쉬운점은 바텀이라 할수있겟네요
k팀상대로 아무것도 하지못한 고릴라 2경기에서 자꾸 한끝차이로 적들이 살아가는데 카르마가 문제였다고봅니다 k팀의 예측못한 행동에 침착하게 대응못한 제파 가장 아쉬운 장면은 쉔궁을받은 룰루가 점멸로 파고들때 룰루스킬 다 맞고나서 반격하기보다 도망만가다가 스킬쿨 돌아와서 그냥 죽은 모습
14/03/20 23:37
그 부분은 동감합니다. 요새 폼 올라왔을때 모습은 가히 3대장급이지만 .. 망했을때도 화근하게 망했죠. 잘했을 때 임팩트가 제 머리에 강하게 남아있나 봐요.
14/03/20 22:50
쉴드가 엄청잘해서 불판달리며 보고 싶었지만 아픈PGR ㅠㅜ
오늘경기 너무 재밌었는데 불판이 없어서 양팀 팬들 너무 아쉽겠네요 이런 경기 불판은 나중에 그냥 봐두 재밌는데 말이죠
14/03/20 23:08
오늘 경기보고 꿍선수 엄청 기대하게 됐습니다.
그리고 skk는 확실히 "쟤네들 어떻게 이겨"에서 "어 그래도 해볼만 하겠는데?"정도로 내려왔네요. 캐스퍼 선수가 아직은 모든 면에서 푸만두의 빈 자리를 채우기 쉽잖아 보이고, 더불어 피글렛 제어에도 실패하면서(2경기 트위치는 좀 의문스러웠다고 생각합니다) 흔들리는게 아닌가 싶네요.
14/03/20 23:11
꿀잼경기였는데.. 리플이 적다했더니 pgr이 아팠었군요 ㅠㅠ
스크크는 라인전도 약해지고 오더도 좀 갈리는 느낌이 계속 드네요. 그리고 픽도 대세에서 벗어난 픽을 계속 하네요...그래도 가장 잘하는 것 같긴 하지만, 윈터때처럼 바늘로 찔러도 피한방울 안나올 것 같은 모습은 아니네요. 덕분에 데뷔초처럼 화려한 개인기위주의 팀같은 느낌도 좀 다시 나오는 것 같고...
14/03/20 23:20
불현듯 바둑 생각나네요. 조남철선생의 창시기, 김인-윤기현 등의 중견을 거치던 한국 바둑계에 갑자기 일본 유학을 통해 단련된 엄청난 전투력의 소유자인 조훈현이 나타나 바둑계를 제패합니다. 흔히 라이벌로 일컬어지는 서봉수 9단도 실제로는 1:2정도의 승률이었을 뿐이고 그 아래의 기사(소위 도전 5강)들은 심지어 정선과 두점을 오가게 될 정도로 압도적이었죠.
그의 앞에 이창호가 나타납니다. 역설적으로 조훈현은 이창호가 나타나기 전까지 끝내기에서 치열하게 승부를 봐야 했던 경험이 적어 단련 정도가 적었습니다. 그래서 유리하던 바둑을 뒤에 가서 이창호에게 내 주기도 했고요. (결국 조훈현은 플레이스타일을 일신하여 나이가 무색할 정도의 강력한 전투력을 계속 유지해나갑니다만 그건 뒷얘기) 지금 상황과도 일말의 유사점이 있어 보입니다. SKK는 롤드컵과 2014 롤챔스 윈터를 거치면서 밴픽과 라인전 단계에서 지고 들어가는 경우가 거의 없었습니다. 물론 역전승이 몇 차례 나오기는 했지만요. 그런데 이제 그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생기게 되었습니다(조훈현이 이창호 때문이라면 SKK는 자체 밸런스 패치와 나머지의 상향평준화 때문이겠죠). 과연 이에 대한 SKK의 대처는 어떨지 궁금해지네요. 확실한 건, 조훈현도 결국 이창호와의 치고받는 승부 경험을 통해 후반전이 단련되었듯이 SKK 역시도 캐스퍼를 단련시키지 않으면 지금의 불안함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