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7/15 19:15
DK 인터뷰 전문이 올라왔네요.
http://program.interest.me/ongamenet/hangshow/8/Board/View?b_seq=8
14/07/15 19:15
David Kim의 인터뷰 녹취록 전체 내용은 온게임넷 스타행쇼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program.interest.me/ongamenet/hangshow/8/Board/View?b_seq=8 (원본 그대로를 유지하기 위해 영상 작업을 위한 타임 테이블 등을 그대로 유지했고, 약간 문법에 맞지 않는 부분도 수정하지 않은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14/07/15 19:17
일단 DK인터뷰에대한 이야기는 전문을 좀 보고 해야겠네요. 어차피 스2 안하고있어서 밸런스에 대한 이야기는 굉장히 지옆적으로 말할수밖에 없어서...
14/07/15 19:20
그쵸, 결국 프로는 성적이 말해주는거니까요.
근데 지금의 닭장식 육성은 누가 봐도 진짜 문제긴 문제라... 기본적인 처우가 개선되어야죠.
14/07/15 19:29
현재 한국의 관리 시스템의 단점이 개선되어야한다는 생각을 하면 자율을
현재 한국의 관리 시스템의 장점을 보는 쪽은 관리를 주장한거였군요. 역시 진리의 엄대엄?
14/07/15 19:39
사실 저렇게 관리와 자율의 병행이 이상적이죠.
안 그래도 최저 연봉 없이, 다인 1실 써가면서 사생활 없이 게임에 몰두하는 선수들인데... 훈련 외 시간에는 자유 시간이 보장되는 게 가장 좋은 일이긴 합니다. 물론 성적을 위해서는 여러모로 다른 시각이 존재할 수 밖에 없습니다만...
14/07/15 19:45
그렇죠.다른 프로 스포츠 선수들도 어릴때나 신인때는 합숙도 하면서 엄청 관리를 하지만 프로팀에 들어가고 주전이 되면 자유롭게 알아서 하는거죠.
14/07/15 20:14
공감합니다.
솔직히 인생 중 10년만 반짝하는 게 프로게이머 생활인데, 그 이후가 없죠. 해설, 코치는 극히 일부만의 미래고, 결국 다들 아프리카로 가는 수 밖에 없잖아요.
14/07/15 20:20
근데 매주 패널 의견은 결국 한 곳으로 정리되네요 흐흐
다음주 주제는 엄청 쎄보이지만 결국 결과는 비슷한 의견으로 갈음되지 않을까 마 그렇게 생각합니다
14/07/15 20:21
다음주 주제입니다. <스타2, 한국 시장에서 망했다?> 100분 토론입니다.
블리자드가 스타2의 더 발전적인 미래를 위해 이 부분에 대한 과감한 논의를 제시했습니다.
14/07/15 20:50
한국에서도 GSL 글로벌 토너먼트와 Kespa컵 이외에 WCS 티어 대회가 많이 열려서 한국 지역 선수들에게도 기회를 줬으면 좋겠습니다. 개인적으로 IEM과 같은 대회를 한국에서 개최하는 걸 볼 수 있을지 모르겠군요;;
14/07/16 12:00
다음 주 '스타까톡' 주제와 관련된 스타행쇼 담당 PD님의 말씀을 아래와 같이 전해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온게임넷 스타행쇼 시즌4 담당 PD 김진욱입니다. 지난 7월 15일 방송되었던 스타행쇼 시즌4 5회의 ‘스타까톡’ 방송 중, 다음 주 ‘스타까톡’ 주제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해당 주제가 “블리자드의 요청에 따라” 선정된 것이라고 언급되었는데, 실제로 해당 주제에 대해 블리자드에서 그와 같은 요청이 없었으며, 이에 사실 관계를 바로잡습니다. 다음 주 ‘스타까톡’의 주제는 “스타까톡 100분 토론 : 스타2, 한국 시장에서 이대로 좋은가?”입니다. 다음 주 스타행쇼 시즌4 방송에도 e-스포츠 팬 여러분의 많은 의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