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6/17 17:55
드디어 드림핵 마지막날이 시작되네요~! 스웨덴 팬들 입장에서는 나니와의 탈락이 무척이나 아쉬울것 같은..
16강중에 한국선수가 무려 8명이나 올라왔는데..왠지 이번에도 결승은 한국선수끼리 치를 것 같긴 합니다.
13/06/17 18:23
그나저나 스테파노가 불리한상황에서도 군단숙주, 감염충을 활용해서 어떻게든 따라가고 있습니다. 저저전에서 한번 밀리고나서 따라잡기가 정말 어려운일인데..
13/06/17 18:34
화면 깨끗하고, 19세라 피튀기는거 좋고, 무슨 업그레이드 하는지 무슨 유닛이 뽑히는지 화면만 봐도 알 수 있고...... 해설만 영어만 아니면 참 좋을텐데요 ~
저만 못알아 먹는거죠?? 그런거죠?? oh ~ rare ~
13/06/17 18:40
계속 듣다보면 영어 리스닝 실력도 향상이 됩니다. 크크크 원래 지금 캐스터를 하고 있는 인컨트롤이 말도 빠르고 발음도 좀 뭉개는 편이라 별로였는데..
오늘은 뭔가 또렷이 잘들리네요~
13/06/17 18:43
이런 해외대회를 곰티비 중계진이 중계해주면 참 좋을텐데..쉬고 있는 코드 A 중계진으로 방송해주시면 안되나요?^^ 기사도님이 너무 보고싶습니다..
13/06/17 20:03
토스가 준우승, 4강 한자리를 차지했던 저번 시즌과는 달리
이번 드림핵 토스는 남은 선수 중 가장 네임드였던 박현우가 탈락함으로써 관전 위기를 맞이합니다.
13/06/17 20:19
이승현선수 빠른 저글링으로 상대 앞마당 견제하고 일꾼, 여왕잡아가며
1경기와 비슷하게 링링으로 빠르게 끝냅니다. (Life 2:0 Tefel)
13/06/17 20:24
이승현 선수는 일단 8강 대진도 괜찮네요.
4강은 이제동 대 윤영서 / 이승현 대 김동환 예상해봅니다. 팬심 및 종밸 상으로는 고병재 선수가 높은곳까지 가길 바라긴 한데 최근 폼이 너무 떨어진 상태라... 당장 16강 상대이자 얼마전 GSL 32강에서 자신이 압도한바 있는 고석현 선수 상대로도 현재로서는 승리를 장담할수 없어보이네요.
13/06/17 20:37
꼬부기가 1경기를 컨트롤로 이긴걸로 자만하고 2경기에서 너무 대놓고 올인한게 패인이라고 봅니다.
결국 TLO선수가 잠복으로 완전한 카운터를 먹이고 내리 경기를 따내고 승리했죠
13/06/17 20:42
네 챌린저는 온라인으로 알고 있긴 한데, 그래도 조정하려면 할 수도 있었지 않았나 싶어 많이 아쉽네요.
드림핵 끝나고 스웨덴 현지에서 그대로 경기치를듯;
13/06/17 20:43
어? 그거 이번 주 금요일인가?로 바뀐 걸로 알고 있는데요~
저도 처음엔 어떻게 하나 했는데, 나중에 일정표 보니 변경되었더라구요..
13/06/17 20:56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2013_WCS_Season_1_America/Challenger
여기에 바뀐 일정이 있어요. 지난번에 한글로 된 일정표를 봤는데, 어디서 봤는지 그건 못 찾겠네요..^^;
13/06/17 21:33
제가 겜게에 올린 일정 확인해보시면 한눈에 아실수있을겁니다:) 리퀴피디아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한거라...어쩐지 그래서 승강전 조순서가 뒤죽박죽이었군요
13/06/17 21:30
드림핵 이후보다는 GSL 16강 최종전을 고병재 선수 하락세의 시발점으로 봐야겠죠.
그리고 요즘은 저그전 뿐만 아니라 플토전 역시 이기는걸 못봤습니다.
13/06/17 21:31
13/06/17 21:35
2세트 고병재 선수는 맵이 아킬론황무지인만큼 메카닉 준비하나요.
한때 정종현과 함께 메카닉 양대산맥이었는데 과연... (일단 간밤의 32강에서 이제동 선수에게 한번 메카닉 운영이 막혔던 적이 있기도 하구....)
13/06/17 21:43
메카닉 상대로는 군단숙주가 좋다는게 통설 아닌가요?
방금전은 바퀴드랍이 워낙 테란병력에 흠집하나 못내고 꼬라박아 체제전환이고 뭐고 역공에 그대로 밀릴수밖에 없었던게 문제지 군단숙주로 넘어가려는 시도 자체는 옳았다고 봐요.
13/06/17 21:49
헛...
8강 이제동(EG,Jaedong,Z) vs 페드로 모레노 듀란(Mouz,Lucifron,T) 다리오 분시(Liquid,TLO,Z) vs 윤영서(Liquid,Taeja,T) 이승현(Startale,Life,Z) vs 제프레이 브루시(Property,Sjow,T) 손석희(MYinsanity,Stardust,P) vs (고석현(콴틱,Hyun,Z) vs 고병재(FXO,Gumiho,T)) 8강 3테란,3저그,1토스 확정된 상태로, 테란과 저그가 마지막자리를 노리고 있군요 8강 1토스...
13/06/17 22:02
제2멀 저지당하고 앞마당으로만 짜내서 나간 한방이지만 성과를 거두고 있는 고병재.
진균이 제대로 끼얹어지지만 다수 의료선의 힘과 단순 땡바퀴의 한계가 동시에 나타나는 광경이었네요.
13/06/17 22:07
아 그러나 고병재 제2멀을 오랫동안 못돌리고 있던게 컸군요-_-;
결국 고병재의 맹공에도 감염충으로 잘 버티며 한편으로 바퀴 별동대로 테란 제2멀을 계속 방해해주며 격차 다시 벌려낸 고석현이 2:1로 8강에 진출합니다.
13/06/17 23:39
루시프론 초중반 분위기 좋았는데 아킬론 6시쪽 저그 멀티를 너무 무리하게 공략하려하다가 힘이 빠진 느낌이었네요.
의료선 견제도 별달리 없었고. 이제동 선수는 난전으로 맞불 놓는게 주효했습니다.
13/06/17 23:39
이제동 선수 이기긴 했지만 루시프론 선수가 어설퍼서 이긴거지.. 제대로 화기병 돌리는 테란 만나면 고생길이 훤히 보이네요. 아직 갈길이 멉니다. 세밀함이 많이 부족하네요
13/06/17 23:57
쐐기를 박는 지뢰 역대박과 함께 이제동 선수가 지난 시즌에 이어 2연속 드림핵 4강에 진출합니다.
저번 박지수 선수도 그렇고 테란 선수들 병력관리할때 의료선이 자기 지뢰에 폭사하는 거 주의해야겠는데요.
13/06/17 23:59
방어는 잘했던것 같아요 교전이나 멀티태스킹이 잘 안된것같지만. 그래도 난전이라 재밌었네요
말한마디 한국어인데도 박수쳐주는 관중들도 멋집니다
13/06/18 00:04
아까 게임 화면 중에 두 사람 눈빛을 보여주던데, 만약 엄전킴이 있었다면 폭군의 눈빛! 이러면서 뭔가 스토리텔링이 나왔을지도...^^
13/06/18 00:19
손석희 선수 역시 해외생활 열심히 하고 있는듯 인터뷰어의 질문에 직접 영어로 대답합니다.
이런 모습들은 좋은데 경기 간 간격은 좀 짧았으면 하는 바람이...
13/06/18 01:44
이신형 선수의 화기병 때문에 보는 눈이 올라가서 그런지...지금 경기를 펼치는 테란 선수의 화기병은
전~~~~~~혀 안 무섭게 보여요;;
13/06/18 02:01
선수 아이디와 단어를 들으니 한국의 현재 WCS 상황에 대해 얘기하는거 같은데 영어가 막귀라서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ㅠㅠ
13/06/18 02:37
아오 넥라 진짜.... 거기서 버럭 승질을 낼 게 아니라 적당히만 하고 최적화를 했어야지!!! 2경기부터 뭔가 이상하다 했더니만.. 하지만 Sjow선수가 정말 잘했네요. 이신형인 줄...
13/06/18 02:37
일단 sjow 선수 축하드리고! 이승현 선수는 다가올 스타리그에 데미지가 좀 있겠습니다.
한 때 저그 원탑이었는데...분발이 더욱 필요하겠습니다.
13/06/18 02:38
이승현선수 실력은 군심 초창기랑 별로 변한게 없어보이네요. 엄청난 마이크로에 비하면 매크로는 여전히 많이 떨어져보이네요. 중간중간 박혀있는 지뢰에 헌납한 병력만 아니였어도 역전 가능했을것 같습니다. 이젠 진짜 김민철이 독보적이네요.
13/06/18 02:39
김민철이 이승현보다 확실히 뛰어난점은 많이 먹으면서도 견제를 틀어막는 수비능력이지 중간에 지뢰에 병력 헌납하는건 차이가 없습니다..
물론 앞마당의 2개 지뢰는 명백한 실수지만요
13/06/18 02:43
동문서답같은데요. 3.3 당시에 김택용 선수가 우승하고 왔나요?
신인이 당대 강자를 무너뜨리는 게 혁명인데 왠 5번 우승? 개그인가 무슨 소린지 모르겠네요.
13/06/18 02:51
"MBC GAME은 결승 예고를 통해 프로토스가 마모씨를 이길 확률이 2.69%라는 통계를 내놓았으며, 그나마 '기적'이라는 말로 김택용에게 균형을 맞춰주려는 문구조차 수많은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7] 스타판의 감독들, 기자들 모두가 마모씨의 승리라고 예상했고 마모씨 자신도 그것에 대해서 의심하지 않았다.
심지어 결승전 예고 동영상에서 마모씨는 "글쎄요... 우승 세 번은 더하고 오셔야 되지 않나..."라는 도발을 했고,[8] 다른 선수가 했다면 가루가 되도록 까였을 말이었지만 그는 그때는 본좌였고 상대는 토스니까 모두가 이해했다." 3.3 혁명을 잘 아신다면 그 당시 마모씨가 얼마나 김택용을 도발했는지 아실텐데.. 그 중에 한 문구를 패러디하신거죠.
13/06/18 02:41
결과론적으로 봤을때 이승현의 패인은 견제를 많이 의식해서 초반부터 배를 많이 불리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이점에서는 김민철과 차이가 많이 나는거 같네요
13/06/18 02:42
발끈해서 무탈로 본진난입했지만 정작 딜이 딸려서 생산건물 피해는 주지 못했죠.
넥라를 상징하던 저글링 돌리기도 안하고 모든 병력을 상대 앞멀티쪽으로 집결해서 소모해버리는 바람에 결국 인프라도 자원 생산에도 타격을 주지 못하고 테란의 리듬에 말려서 서로 소모전만 하다가 gg를 쳤습니다. 만일 그 타이밍에 본진 지뢰 정리와 일꾼 최적화를 해냈다면 역전이 가능했거나 아니면 더 늦게 gg가 나올 수도 있었겠네요. 아오 잠깨 아오....
13/06/18 02:43
처음부터 많은 일꾼을 뽑으면서 시작한것도 아니면서 나중에 광물 / 가스 비율이 맞지 않았으니... 본진 난입은 최악의 한수가 되어버렸죠
13/06/18 02:47
앞마당 사령부를 날리겠다거나 제2멀티를 마비시키겠다거나 하는 뚜렷한 목표 없이 그냥 휩쓸어버리겠다! 하고 달려든 것 같아요.
항상 질 때마다 보여지는 모습이라서 안타깝네요.
13/06/18 02:45
넥라는 이 경기를 약으로 삼아야죠. 군심 테란들의 병력운용이나 지뢰 활용이 점점 좋아지고 있어요.
예전처럼 느긋하게 해도 테란 씹어먹는 상황이 아닙니다. 똑같이 발전해야 되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