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7/24 20:31
1경기 라인스왑 걸고나서 셀프 쌍라인 망하고 밀림.
2경기 누누 상대로 알수 없는 자이라와 쉔의 카정가려다 셀프 망하고 점멸. 엠블은 전략 누가 짜는지 ..........
13/07/24 20:32
그와 별개로 쉔의 적절한 궁 타이밍과 백업 / 이지훈과 데프트의 개인기로 상황은 좋아지고 있네요.
엠블은 이지훈/데프트 둘의 개인기로 버티는 느낌이 강합니다. 새로운 정글러는 아직까지는 합격점 줄 수 있는 플레이들이 나오고 있네요.
13/07/24 20:32
지난 경기부터 2:0 이겨야하는 팀들이 1경기를 내주면서 2경기에 김빠지는 경기가 계속 나오네요. -_-;
선수들이 던진다기보다 경기에 흥이 안살아요.
13/07/24 20:34
엠블은 여기서 비기면 ' LG와 쉴드가 비기면' 진출을 확정 짓죠.
저번주는 지는 순간 탈락 확정이였지만.. 지금은 '그래도 2경기를 따면 경우의 수가 33%가 생기는거라서'
13/07/24 20:43
참고로 지금 페이커 신드라가 망했다고 하는데
트리플킬을 빼도 신드라 CS 187 / 카서스 127. 이미 CS가 1.5배 차이납니다. 이건 애초에 라인전도 2데스를 했을뿐 이긴거죠.
13/07/24 20:52
엠비션이랑 똑같은.. 완벽한 먹방 클라스죠. 라인전에서 죽었지만
실제 먹은 골드는 신드라가 카서스보다 더 많은 상태였습니다. 15분쯤에 이미 40개 이상 벌어진 상태였고.. 20분엔 60개 넘게 벌어졌으니..
13/07/24 20:59
1등과 2등이 만나는 크로스 매치라면 그다지 재미있지는 않을꺼 같다는게 함정이죠..
다만.. D조 2등을 누가 만나느냐..가 A,B,C조 1등들의 고민이겠네요
13/07/24 21:00
그렇게 생각했다가 오존이 KT B랑 스크, 블레이즈 다 꺽고 스프링을 먹었죠.
당시 평가로는 KT B가 이긴다가 압도적이였을겁니다. 그런 의미에서는 8강부터는 반전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구 맛밤이나 LG가 CJ 상대로 3:2까지 끌고간 적도 있고.
13/07/24 21:04
지난 시즌 오존의 퍼포먼스는 대단해 보였지만..나머지 경기들은 다 예상한 대로였죠.
(프로스트 vs 소드는 예상불가) 8강중 2경기정도만 지난 윈터와 같은 대박경기가 나왔으면 좋겠어요. 지난 윈터의 8강경기는 정말 현 CJ팬 으로 정말 간떨어지는줄 알았으니깐요. 그래도 정글 리메이크 된게 경기 보는 재미에 큰도움이 되네요
13/07/24 20:58
SKT T1(승점 9) - 조 1위 확정, 사실 지난주부터 확정
MVP Blue (승점 2) - 최고의 경우 하위 3자 재경기 가능 다음 경기 [토요일] 나진 화이트 쉴드 (승점 1) vs. LG-IM #2 (승점 1) 쉴드 2:0 LG#2 - 나진 화이트 쉴드 8강 진출 쉴드 1:1 LG#2 - 하위 3자 재경기 쉴드 0:2 LG#2 - LG-IM #2 8강 진출
13/07/24 21:02
엠불은 nlb 우승하고, 클럽마스터즈 때만해도... 특유의 난전을 유도하는 운영이 빛나면서 가장 기대되는
다크호스로 지목되던 팀이였는데.. 점점 하락하네요.
13/07/24 21:02
결국 시즌중 포지션 변경은 독이라는걸 배우지 못한걸까요.. 아니 애초에 시즌중이 아니더라도 포지션 변경으로 재미를 본 케이스가
건웅 인섹을 제외하고 없는데... 최상위클라스도 아니었던 선수를 정글-> 서폿으로 가는 무리수를 왜 뒀는 모르겠네요. 최상위권 선수가 해도 (인섹의 경우를 봤듯이) 결코 좋은 이야기 나오기가 어려운데..
13/07/24 21:06
건웅도 성공이라고 하기엔 먼가 좀 부족하죠.
나중에 1인분 한다고 평가를 받긴 했지만.. 변경후 한동안 프로스트는 원딜이 맨날 이니시 했죠..ㅡㅡ; 게다가 건웅은 탑에서 3손가락안에 꼽히는 탑라이너였으니까요..
13/07/24 21:09
그래도 포지션 변경한 케이스중에 그래도 밥값했다(커리어상으로는) 정도로는 써도 되지않나 싶어서 썻습니다.
인섹의 경우는 아직 까진 성공적이지만 조금더 두고 보자는게 개인적인 생각이구요. 애초에 건웅마저 빼면 인섹밖에 남지않는다는 소린데 그럼 포지션 변경으로 살아남은선수는 없다고 봐야하는지라...(인섹은 아직 진행중이니까요)
13/07/24 21:03
엠블은 이지훈과 데프트를 중심으로 해야될거 같은데, 그냥 개인적인 생각으론 츄냥이와 천주가 좀 더 캐리하려는 욕심을 버리고 데프트는 좀더 정교하게 하면서 괜찮은 서포터만 붙여주면 좀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줄수 있을거 같은데, 츄냥이와 천주가 물론 잘하려는 마음에 과감하게 들어가고 그게 통할때는 일방적인 경기가 되지만, 말리는 경기에선 항상 스스로 경기를 말리게 하는 경향이 큰것 같습니다.
결국 이 조는 최종전까지 봐야 결과를 알겠네요.
13/07/24 21:03
솔직히 8강 이후도 그렇게까지 재밌진 않을것같단 느낌도 듭니다.
강팀들은 다들 운영능력이 처음에 차이가 나기 시작하면 극복하지 못할 정도로 올라온것 같아서...
13/07/24 21:05
소위 강팀이라 불리는 팀들이 꽝하고 붙은
소드 VS 블레이즈 1경기에서 나온 환상적인 트위치 캐리 2경기에서 나온 엠비션 클래스와 기장님. KT B와 프로스트의 1경기에서 나온 인섹의 교통사고를 시작으로 완벽한 5명의 CC 연계 2경기에서 프로스트 메라신의 완벽한 알리 이니시. 경기의 양상과 별개로 매 장면 하나하나가 예술이였죠. 전부 하이라이트 감인..
13/07/24 21:14
강팀들 사이에서의 경기 허무하게 지는 경기가 안나온다는게 장점인거 같아요..
아쉬운 판단들이 적고.. 서로 눈치싸움도 대단하고 환상적인 한타가 나오죠. 전투가 붙으면 한끗차이로 한팀이 이기고 우위를 가져가는 팀이 나오면 뒤집히긴 쉽지 않지만 그냥 장면장면이 멋진 장면이 많았던거 같네요 한쪽이 못해서 지는게 아니라 다른쪽이 잘해서 이겼다고 이야기 할 수있는 경기가 나오는거 같아요
13/07/24 21:04
쉴드랑 LG는.. 단순 계산으로는 비길 확률이 가장 높죠
쉴드 - SKT에게 패배 / 엠블과 무승부 LG - SKT에게 패배 / 엠블과 무승부 이 상태로 붙는거라서..... 비기면 무조건 재경기는 확정이니 1세트를 졌어도 2세트에 임하는 각오도 남다를거고...
13/07/24 21:08
쉴드는 SKT1과의 경기에 로코도코 선수가 나온게 너무아쉬울거 같네요..
1경기는 베인이 조금만 더 잘했으면 경기 가져올 수 도 있었다고 보거근요
13/07/24 21:04
스피릿은 2경기만 봤지만 엠블이 재경기 갈시 무조건 빼야 됩니다.
츄냥이로 가고 새서폿을 구하던가 해야되요. -_-;; 에프람 안쓸거라면 말이죠. 아직 프로대회에서 먹힐 정글러가 아니네요.
13/07/24 21:06
코치도 저번시즌까지 사파 서폿이라 한계가 있지 않을까 했는데 지금은 안정적인 서포터도 잘하구요
지난 시즌 오존에게 일격 당한 이후로 훨씬 더 다듬어졌습니다
13/07/24 21:07
엠블은 굉장히 답답한 느낌이네요
예전처럼 빠른 움직임을 통해 난전을 유도하는 것도 아니고 라인전이 강해서 단단한 느낌이 드는 것도 아니고 배틀물 만화에서나 나오는 캐릭터들 설정으로 따져보자면 스피드는 느린데 파워도 약한 느낌....
13/07/24 21:11
문제는 스프링 12강 - 4강에 이어서
가장 최근 AMD에서도 임프한테 박살났다는거.....? 그래서 임프/프레이랑 피글렛을 동급에 안올리고 있는거죠.. 정말 잘하는 선수는 맞다고 봅니다.
13/07/24 21:18
롤챔스 1년 반을 보면서 느낀건.. 롤은 정말 상대적인거 같다는 거예요..
그중에서 특히 원딜은 더 심한거 같아요. 저렇게 잘해보이는 피글렛이지만 임프 프레이 만나면 그냥 평범한 원딜이 되는게 너무 신기해요. 다른 라인은 실력차가 나도 좀 버티는게 되는데 원딜은 정말 그게 안되는거 같아보여요.
13/07/24 21:14
페이커 : 아리는 주문력템만 가면 된다.
마치 윈터 결승에서 프레이 : 원딜은 딜템만 가면 된다. 를 보는 느낌이네요.. 그리고 스크의 경기에 따라 영향 받는팀이 3팀이나 되니.. 진지하게 하는게 맞긴 했겠죠 저번에야 스크가 뭘하던 '이미 1~4위' / 5~6위가 확정된 상태였으니 상관없었지만 (전날 엠블이 KT A에 지면서 진출, 탈락팀이 완전히 확정되버렸죠)
13/07/24 21:17
이제 5강팀들이 남았는데
이미 진출을 확정지은 오존, SKT, 블레이즈에 이어서 KT B도 5강팀중 4번째로 진출 확정을 지을 것인지가 결정되겠네요. 사실 LG에게 2:0으로 지지 않는한 진출이 확정되는 만큼...... 99% 확률로 할거 같긴 한데..
13/07/24 21:21
조은나래씨는 처음보다 인터뷰 스킬이 많이 향상된거 같은데 약간 아쉬운 점이 있다면
질문내용이 좀 애매모호하고 끝을 흐리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질문 내용도 그리 심도 있는 편은 아닌 것 같구요. 그 점들만 보완한다면 더 좋을 것 같네요.
13/07/24 21:25
롤 게임 내적인 지식도 좀 더 필요해보이고..
롤챔스 프로판에 대한 부분들도 많이 파악해오면 인터뷰가 좀 더 충실해질 것 같습니다. 인터뷰 스킬 자체는 불편함이 별로 없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