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8/11 21:28
2013 WCS Season 2 Finals : 유럽 진출자 명단 - 문성원 (T), 장민철 (P), 김경덕 (P), Grubby (P), Welmu (P), NaNiwa (P)
13/08/11 21:50
장민철 : 필사적으로 WCS 포인트를 원하고 있다..크크크
그나저나 유럽정도면 리그파이널도 어디 좀 더 큰 장소 빌려도 꽉 찰 것 같은데..왜 스튜디오에서 하는지 약간 아쉽긴하네요.
13/08/11 22:37
모점추가 막혔음에도 침착하게 거신으로 체제전환한뒤 상대방 앞마당쪽 센터에서 건설로봇 다수 동반한 해불의를 훌륭한 교전컨으로 잡아먹고 그대로 몰아붙입니다.
결국 패기로운 앞점멸로 벙커와 잔존병력 방어라인 돌파하고 EU 결승에 직행하는 장민철!
13/08/11 22:51
블리자드스케일 에서는 블쟈 순이익에서 몇프로만 사회복지차원에서 계속 대회를 치를수도 있겠다 생각합니다.
타이탄이나 블쟈올스타 대박나길 기원합니다.
13/08/12 00:03
아니군요...그루비 선수가 앞마당만 내준채 잘 수비해냈습니다. 김경덕 자원없고.. 그루비 멀티 하나 있죠.. 그루비가 잡겠네요. 마지막 세트로 가나요..
13/08/12 00:24
그래도 솔직히 지금껏 설마 스2에서 그루비 선수 경기보고 감탄하게 될 날이 올줄은 몰랐습니다. 대단하고 또 아쉽네요.
김경덕 선수 역시 오픈시즌부터 별의별일 다 겪으며 고생한 선수인데 드디어 큰 무대 결승에 왔군요.
13/08/12 00:31
트위치 시청자 수 하이 찍을때가 올초 MLG 신리쌍전 결승 15만이였죠..
확실히 옛날(스타1,워3) 스타플레이어들의 선전 영향이 큽니다 우리나라에서라도 스1->스2 전환이 좀 더 부드러웠다면.. 아쉬움이 또 생기는군요
13/08/12 00:43
첫 군심 MLG 15만, 지난 시즌 WCS EU 14만, 드림핵 14만, 12만 이상 찍었었죠.
이 대회들의 결승은 하나같이 흥행 대진이었습니다. 이번 시즌 WCS EU는 안 그래도 지난 시즌보다 시청자 수가 줄었는데, 프로토스의 지나친 강세와 결승 대진이 좀 아쉽긴 하네요. 그나마 WCS NA의 라인업이 지난 시즌보다 훨씬 좋아서 시청자 수가 약간 늘었다는 걸로 위안을 삼아야겠습니다.
13/08/12 00:55
근데 재밌는 점은 스테파노 선수가 1:3으로 패색이 짙어지자 순식간에 시청자 수가 1만명 이상 빠지더군요.
확실히 외국 대회는 결승에 외국인이 한 명은 있어야 흥행이 됩니다. 기왕이면 네임드로 말이죠. 그리고 지난 시즌 WCS EU는 4강전과 결승전의 시청자 수 차이가 꽤 많이 났습니다. 결승전에서 시청자 수가 4만명 이상 늘었죠. 이런 걸 볼 때 그저 외국인 선수들이 좀 더 선전해주길 바랄 뿐입니다.
13/08/12 00:33
그래도 그루비 경기력 나쁘지 않았고, 워3: 정석 오크 스2: 토스 종족선택도 탁월해 보이는군요..
장재호는 테란을 했었어야 했어;
13/08/12 00:48
뭐 일게 시청자가 레전드 프로게이머보다 잘 판단할수야있겠습니까마는..
딱히 밸런스 이런거 말고, 워3에서 칼같이 찌르고 견제하고 이랬던게 스2 테란이랑 참 잘어우러질것 같은데 말이죠 흐흐
13/08/12 01:27
초반에 앞마당날아가고 암흑기사에 혼이 빠졌는데 그 이후로 교전마다 이득보며 스리슬적 인구수 역전하더니 그대로 경기 자기걸로 굳혀버리는군요.
프프전이지만 결승전다운 경기였습니다.
13/08/12 01:30
김경덕 선수가 장민철 선수의 견제 잘 막고 추적자도 끊으면서 많이 유리해졌습니다.
변수는 1경기와 마찬가지로 교전이죠...교전에서 역전하여 이긴 장민철이니까요.
13/08/12 01:41
김경덕 선수가 넥서스 테러하는 과정에서 병력을 상당히 잃었음에도 당황하지 않고,
견제를 이용해 불멸자 숫자가 8대1로 벌어진 상황에서 시간을 벌고, 물량을 금방 채워넣었네요.
13/08/12 01:49
바로 GG! 점멸추적자로 김경덕 선수의 툭 튀어나온 모선핵을 잡고...이후 컨트롤 싸움 및 절묘한 광전사 전장 충원으로 1승 가져가는 장민철입니다.
13/08/12 01:53
3멸자 때문에 추적자 피가 빈사 상태인 상황에서 기가막힌 광전사 충원이 대박이었습니다. 조금만 늦게 충원되었어도 김경덕 선수가 이겼을 겁니다.
13/08/12 01:55
아 하이템플러 1기가 모선핵에 제대로 환류 걸었군요. 반대로 장민철은 시간 왜곡 2방 제대로 넣었고요! 이래서 교전에서 대승했군요.
13/08/12 02:05
바로 2대2 만드는 김경덕이네요.
예언자 1기로 상대 빌드 보면서 상대 추적자들을 여기 저기 흩어놓고, 불멸자와 공허를 동반한 한 방으로 가볍게 끝내는 김경덕입니다.
13/08/12 02:15
붉은 도시의 주요 경로가 좁은 길목이라는 것을 이용해서 역장으로 기가 막히게 시간을 잘 벌고 광전사를 역으로 난입 시킨 침착함이 대박이었습니다.
3:2로 역전하는 김경덕
13/08/12 02:18
이제 2시간 후에 시작하는 WCS AM에 따라서 남은 1장의 진출권과 AM 쪽 시드가 결정됩니다. 한편으로는 만일 이제동 혹은 스칼렛 선수가 우승하면 시즌2도 저그, 테란, 프로토스가 한번씩 우승하는 셈이 됩니다.
P.S : 자다 일어나서, 5전 3승제로 착각했네요.
13/08/12 02:21
광자 과충전으로 가볍게 예언자 몰아냈고요. 상대 입구 압박하는 김경덕!
그리고 본진 몰래 수정탑도 찾아냈습니다. 멀티도 빨라요. 우승에 한 발 더 다가가는 김경덕!
13/08/12 02:30
불사조는 제 생각에 악수가 되지 않았나 싶은데요. 정확히는 더 늦게 들켰어야 하지 않았나 싶네요. 자기 본진에서부터 들키는 바람에 탐사정 한번 잡아낼 기회조차 없었죠.
13/08/12 02:32
불사조를 아예 안찍던가, 아니면 계속 찍어서 불사조에 목숨을 걸던가 했었어야 합니다. 꼴랑 대여섯 찍으려면 2우주관문은 왜 지었나요...
13/08/12 02:47
잠이 안 와서 틀었는데 명경기 잘 봤습니다. 이신형을 제외한 전원 물갈이가 된 시즌2 파이널이 정말 기대됩니다.
이제는 자야겠네요. WCS AM까지 보기에는 체력이 달려서;; 늦은 밤까지 시청하신 분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13/08/12 02:49
그러고 보니 저번 EU 시즌1에서는 정종현에게 8강에서 졌던 TLO 선수가 5위를 차지해서 파이널 진출하더니
이번 EU 시즌2에서는 김경덕, 장민철 선수에게 8강에서 졌던 유럽 선수들이 파이널에 진출하는군요... 한국 우승 후보 선수를 만나면 8강에서 좌절되나, 파이널은 진출할 수 있다?!
|